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

Menu

KTUG :: 마당

아까 질문이 있는 것을 보고 작성했던 답변입니다. 시간을 들인 것이 아까워서 여기에 붙여두겠습니다.

====

"고대 페르시아어의 식자"에 대하여 질문하였습니다. 이것은 전적으로 어떤 텍스트를 처리하려 하는가에 달린 문제입니다. 예컨대 고대 근동 언어나 문명론에 관련된 글로서 상당한 양의 설형문자 텍스트를 조판할 필요가 있는 것이라면 이것은 "고대 페르시아어"를 문제삼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예컨대 "고대 페르시아의 숫자 표기법" 같은 글에서 "텍스트"가 아니라 그냥 숫자 몇 개의 샘플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이 두 가지 상황은 완전히 다른 것으로서 어떤 목적의 글을 쓰는지에 따라 처리 방법도 달라집니다.

다국어 조판에 관한 문제는 주요 언어가 무엇인지, 제2 언어 표기에 있어 "몇 개의 단어 샘플" 또는 "문자 샘플"을 보여주는 것으로 충분한지 아니면 몇 문단에 걸친 "텍스트"를 조판하여야 하는지에 따라 전혀 다른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하고 논의를 이어가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정말로 고대 페르시아어를 조판해야 하는 상황인지는 알 수 없으나(질문만으로는 어떤 상황인지 알 수 없네요), 만약 그런 경우라면 예컨대 "Xerxes, Persepolis, A. XPa를 조판하려 한다"는 정도의 예를 들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는데 이런 경우는 흔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latex 패키지로는 oldprsn인가 하는 게 있다고 하니 참고할 수 있겠지요.

이런 본격적인거 말고, 일반적으로 교양수학사에서 고대 바빌로니아의 위치기수법 따위를 언급하기 위해 설형문자를 조판할 필요가 있을 수 있겠다 싶어서 간단한 샘플을 만들었습니다. 혹시 이런 목적의 문서를 작성하실 적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첨부 문서는 XeLaTeX 또는 LuaLaTeX으로 컴파일할 수 있고 Noto Sans Cuneiform과 Noto Sans Old Persian 폰트, 그리고 본문용 Noto Serif CJK KR 폰트를 요구합니다.

TEX: cuneiformtest.tex  PDF:cuneiformtest.pdf

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