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

Menu

KTUG :: Q&A 마당

blindtext 패키지를 이용하여 조금 긴 문서를 조판해보겠습니다. 

\nouppercaseheads 명령이 선언된 이후, \uppercaseheads 명령이 선언된 이후의 면주(running header)의 대/소문자 변화를 눈여겨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chapter-test.tex

\documentclass[nokorean,10.5pt,b5paper,chapter]{xoblivoir}

% \documentclass[b5paper]{memoir}


\usepackage{amsmath,amssymb,amsthm}

\usepackage[upright]{fourier}

\usepackage[math]{blindtext}


\begin{document}


\tableofcontents


\pagestyle{headings} % 레이텍 북 클래스에 기본으로 들어있는 익숙한 헤딩즈 스타일

\nouppercaseheads %면주를 자동으로 대문자로 찍지 않음

\Blinddocument 

\uppercaseheads %면주를 자동으로 대문자로 찍음

\blindmathpaper 


\clearpage


\pagestyle{ruled} % 면주와 본문 사이에 밑줄을 긋는 스타일, 쪽번호는 판면 밖으로 삐져 나가지 않음. 펼침면 오른쪽 페이지(즉 짝수쪽)의 면주는 작은대문자(small captial)로 식자. 쪽번호를 밖으로 빼려면 `Ruled' 스타일을 사용. 

\nouppercaseheads %면주를 자동으로 대문자로 찍지 않음

\Blinddocument 

\uppercaseheads %면주를 자동으로 대문자로 찍음

\blindmathpaper 


\clearpage


\pagestyle{Ruled} % ruled 스타일과 비슷하지만, 쪽번호가 판면 밖으로 삐져 나감.

\nouppercaseheads %면주를 자동으로 대문자로 찍지 않음

\Blinddocument 

\uppercaseheads %면주를 자동으로 대문자로 찍음

\blindmathpaper 


\clearpage

\pagestyle{companion} % LaTeX Companion에 사용된 면주 스타일. Ruled 스타일과 비슷하나, 면주가 굵은 글자(bold)로 식자되고, 짝수쪽 면주도 작은 대문자가 아닌 일반 텍스트로 식자. 

\nouppercaseheads %면주를 자동으로 대문자로 찍지 않음

\Blinddocument 

\uppercaseheads %면주를 자동으로 대문자로 찍음

\blindmathpaper 


\end{document}


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