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

Menu

KTUG :: Q&A 마당

(김도현 교수님 답변과 비슷합니다만)

align* 환경이 불릴 때만 displayskip 값을 제어하면 되겠습니다. etoolbox 패키지의 \AtBeginEnvironment 명령을 쓰면 좋겠습니다. 


etoolbox_AtBeginEnvironment.png


\documentclass[nanum,a4paper]{oblivoir}


\usepackage{amsmath,amssymb,amsthm}                                %


\usepackage{jiwonlipsum}


\usepackage{etoolbox}


\AtBeginEnvironment{align*}{%

\setlength{\abovedisplayskip}{0pt}

\setlength{\belowdisplayskip}{0pt}

\setlength{\abovedisplayshortskip}{0pt}

\setlength{\belowdisplayshortskip}{0pt}

}


\begin{document}


산중의 내 집 문 앞에는 큰 시내가 있어 매양 여름철이 되어 큰 비가 한번

지나가면, 시냇물이 갑자기 불어서 항상 차기와 포고의 소리를 듣게 되어 드디어

귀에 젖어 버렸다. 

\begin{align*}

C_{JC}(u,v;\lambda_U,\lambda_L) & = 1-(1-\{[1-(1-u)^\kappa]^{-\gamma}

+[1-(1-v)^\kappa]^{-\gamma}-1\}^{-1/\gamma})^{1/\kappa}\\

\mathrm{where}\;\kappa & = 1/\log_{2}(2-\lambda^U),\;\gamma=-1/\log_

{2}(\lambda^L)\\

\lambda_L & \in (0,1),\;\lambda_U \in (0,1)\\

\lambda_L & = 2^{-1/\gamma},\;\lambda_U=2-2^{1/\kappa}

\end{align*}

내가 일찍이 문을 닫고 누워서 소리 종류를 비교해 보니, 깊은

소나무가 퉁소 소리를 내는 것은 듣는 이가 청아한 탓이요,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지는 듯한 것은 듣는 이가 분노한 탓이요, 뭇 개구리가 다투어 우는 것은 듣는

이가 교만한 탓이요, 천둥과 우레가 급한 것은 듣는 이가 놀란 탓이요, 찻물이 끓는

듯이 문무가 겸한 것은 듣는 이가 취미로운 탓이요, 

\begin{align*}

& \quad C_{JC}(u,v;\lambda_U,\lambda_L) \\

& = 1-(1-\{[1-(1-u)^\kappa]^{-\gamma}

+[1-(1-v)^\kappa]^{-\gamma}-1\}^{-1/\gamma})^{1/\kappa}\\

\mathrm{where}\;\kappa & = 1/\log_{2}(2-\lambda^U),\;\gamma=-1/\log_

{2}(\lambda^L)\\

\lambda_L & \in (0,1),\;\lambda_U \in (0,1)\\

\lambda_L & = 2^{-1/\gamma},\;\lambda_U=2-2^{1/\kappa}

\end{align*}

지금 나는 밤중에 한 강을 아홉 번 건넜다. 강은 새외로부터 나와서 장성을 뚫고

유하와 조하 · 황화 · 진천 등의 모든 물과 합쳐 밀운성 밑을 거쳐 백하가 되었다.

나는 어제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은 하류였다.

\begin{align}

& \quad C_{JC}(u,v;\lambda_U,\lambda_L) \\

& = 1-(1-\{[1-(1-u)^\kappa]^{-\gamma}

+[1-(1-v)^\kappa]^{-\gamma}-1\}^{-1/\gamma})^{1/\kappa}\\

\mathrm{where}\;\kappa & = 1/\log_{2}(2-\lambda^U),\;\gamma=-1/\log_

{2}(\lambda^L)\\

\lambda_L & \in (0,1),\;\lambda_U \in (0,1)\\

\lambda_L & = 2^{-1/\gamma},\;\lambda_U=2-2^{1/\kappa}

\end{align}

거문고가 궁우에 맞는 것은

듣는 이가 슬픈 탓이요, 종이창에 바람이 우는 것은 듣는 이가 의심나는 탓이니,

\[

1-(1-\{[1-(1-u)^\kappa]^{-\gamma} +[1-(1-v)^\kappa]^{-\gamma}-1\}^{-1/\gamma})^{1/\kappa}

\]

모두 바르게 듣지 못하고 특히 흉중에 먹은 뜻을 가지고 귀에 들리는 대로 소리를

만든 것이다.


\end{document}


p.s. 질문하실 때 최소한의 샘플을 만들어서 올리세요. 

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