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

Menu

KTUG :: Q&A 마당

ktug 지식인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이 곳의 QnA 혹은 wiki 라고 짐작하고 생각나는 대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우선 axodraw2라는 패키지의 사용설명서를 읽어 보시고, 사용 환경을 살펴 보세요. https://ctan.org/pkg/axodraw2 에서 사용 설명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잠깐 간단히 살펴보니, 컴파일하는 방법도 이 메뉴얼의 section 4.3 에 나와 있는 듯 합니다.

latex + dvips + ps2pdf 는 말씀하신 것처럼, 작성하신 .tex 화일을 latex 명령을 이용하여 기기와 무관한 출력화일인 .dvi를 만들고, 이를 PDF로 만들기 위하여 전단계로 .dvi 를 dvips명령을 이용하여 .ps (postscript) 화일로 만들고, 만들어진 .ps 화일을 ps2pdf를 이용하여 PDF를 최종 출력물로 얻는 것입니다. 물론 .dvi화일이나 .ps화일을 다루시는 것이 더 편리하시다면 .pdf까지 만드실 필요는 없지만, 요즘은 거의 .pdf까지 만드는 것이 제대로 된 방법이지요.  물론 latex + divps + ps2pdf는 오래된 방법이며 pdflatex, xelatex, lualatex 으로 바로 pdf로 만드는 것이 요즘은 일반적이지만, 일부 예전 문서를 다루려면 latex + dvips + ps2pdf 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위의 설명서를 읽어 보시고 판단하여 보시길 바랍니다. 참, 굳이 비교하자면 Visual C++, GCC, Watcom C 등과 같이 서로 다른 compiler로 .C 화일을 컴파일하여 .exe를 만들 때, 같은 경로로 컴파일 되지는 않지요? 이와 같이 .tex도 서로 다른 컴파일 경로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kcruncommand 는 무엇인지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아마도 긴 명령어를 쉽게 처리하도록 도와 주기 위하여 누군가 만들어 같이 배포된 Shelll script 혹은 Batch화일이었을 듯 합니다. 이는 무시하시는 편이 좋으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 axodraw2는 왜 이런 복잡한 과정을 겪어야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에 대해서라면 설명서를 읽어 보시고 더 쉬운 컴파일 경로를 찾으시길 바랍니다.

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