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

Menu

KTUG :: 마당

약간의 (쓸데없는) 코멘트입니다.

1. TEXMFLOCAL? TEXMFHOME?

TEXMFDIST 변수에 할당되어 있는 폴더(대체로 c:\texlive\2022\texmf-dist)는 원칙적으로 사용자가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 디렉터리의 관리를 tlmgr (texlive manager)에게 맡겨두어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본문 글에 말씀하신 바처럼 texmf-dist\fonts 아래 파일을 수작업으로 가져다둔다든가 하는 것은 권장하는 바가 아닙니다.

TEXMFLOCAL (보통 c:\texlive\texmf-local)과 TEXMFHOME (보통 ~\texmf)가 따로 존재하는 이유를 조금 설명합니다. 이것은 원래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운영체제(Linux 같은 것)에서 시스템 관리자와 일반 사용자의 권한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TEXMFLOCAL은 local system 관리자의 권한에 속하고, TEXMFHOME은 계정 사용자의 권한에 속합니다. 그 결과,

  1. TEXMFLOCAL은 모든 사용자가 읽을 수 있고 쓰는 것은 시스템 관리자만 가능합니다. 이 디렉터리 아래 설치된 패키지는 해당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가 읽기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TEXMFHOME은 계정 사용자가 읽고 쓸 수 있고 다른 사용자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

TEXMFLOCAL은 mktexlsr이라는 ls-R 파일 목록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ls-R을 생성할 권한(즉 mktexlsr 내지 texhash를 실행할 권한)은 시스템 관리자에게 속합니다. TEXMFHOME은 사용자 개인 파일이므로 ls-R 생성 없이 그냥 설치하거나 삭제하거나 마음대로 할 수 있습니다.

Windows 같이 (다중 사용자 운영체제인 듯하지만) 사실상 단일 사용자 운영체제에서 이런 구별이 사실 큰 의미가 없겠습니다. 편한 쪽이 TEXMFHOME이므로 이것만 주의해서 관리해도 무방하다고 봅니다.

2. 사용자 폰트

사용자 폰트에 대해서
http://wiki.ktug.org/wiki/wiki.php/%EC%84%A4%EC%B9%98%ED%95%98%EA%B8%B0Windows/UserFont
이 위치가 주요 참조 문서가 됩니다.

Windows 사용자라면

  • 모든 (인스톨러 없는) 폰트는 해당 폰트 파일을 우클릭하여 "설치" 또는 "모든 사용자용으로 설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설치합니다.
  • 위의 위키 페이지에 첨부되어 있는 간단한 배치파일을 한 번 실행합니다.
    • 일관되게 "모든 사용자용으로 설치"할 때에는 이 절차조차 필요없습니다.

3. Windows에서 한글 폴더 및 문서 이름

사용자 이름이 한글일 때는 TEMP 환경 변수에 한글이 들어가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TEMP를 적당한 다른 폴더로 바꾸어서 회피할 수 있습니다만, Documents 폴더 같은 곳의 path에 여전히 한글이 들어가기 때문에 문제가 남게 됩니다.

컴파일 자체는 아마 가능할 것입니다만 (한글 Windows 한정) "사용자 계정으로 설치한 폰트"를 XeLaTeX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물론 "모든 사용자용으로 설치"한 것은 문제 없습니다), synctex이 동작하지 않는 것, 일부 에디터가 해당 파일을 찾지 못하는 것 등등의 문제를 만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은 한글 사용자 이름, 한글 폴더 이름, 한글 파일 이름을 쓰지 말라는 것이 현재로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WSL Linux로 텍 작업을 한다면 이 문제를 피해갈 수 있기는 할텐데 일반 사용자에게 보편적 솔루션으로 제공하기는 조금 망설여집니다.)

 

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