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

Menu

KTUG :: Q&A 마당

간략히 답변해두겠습니다.

1. 한글이 포함된 이름의 폰트

  * Mac, Linux: 문제없음
  * MiKTeX: 문제없음 (위에 다른 분이 확인해주셨습니다.)
  * Windows WSL Linux에 설치한 texlive: 문제없음 (스크린샷 참조)

abcd.png

   * 아키텍처 Windows TEXLIVE: 인식 못함(말씀하신 대로입니다.)

2. 한글이 포함된 이름을 가진 폰트의 호출

따라서, 한글이 포함된 이름을 가진 폰트를 (주로 XeLaTeX에서) 활용하려 할 때는 "파일 이름으로" 부르기보다 "폰트 이름으로" 부르기가 안전하다고 하겠습니다. 테스트에 사용한 "나눔손글씨 세화체.ttf" (이름에 한글과 공백이 다 있음)의 정보를 조사하면

efga.png

이와 같으므로

\setmainhangulfont{Nanum SeHwaCe}

이렇게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주로 ARCH windows TEXLIVE 사용자와의 정보 교환을 위해서.

===

이런저런 점을 고려할 때 MiKTeX은 좋은 선택이 아닐까 합니다. 훌륭한 매뉴얼도 있으니까요.

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