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

Menu

KTUG :: 마당정보글 › lualatex으로 cp949 문서를 컴파일

karnes | 2014.03.16 15:55:57 | 메뉴 건너뛰기 쓰기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와 응용통계연구라는 학회지에서 제공하는 논문 기고용 스타일 파일은 HLaTeX 또는 kotex-euc를 요구한다.


kotex-euc를 설치하면 해결되는 문제이기는 하지만 MiKTeX이라든가... kotex-euc 설치 자체가 어려운 경우도 없지 않으므로 별도의 추가 설치 없이 어찌해볼 수 없을까...


간단히 UTF-8으로 바꾸고 hangul 대신 kotex을 쓰게 하고 몇 가지 호환되지 않는 명령을 재정의하면 컴파일하는 것 자체는 문제가 없을지도 모르지만, 이런 종류의 문서는 기본적으로 "제출"을 전제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편집자가 알지 못하는 문서를 작성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1. 샘플 파일의 원형을 수정하지 않고
  2. kotex-euc를 별도로 설치하지도 않고

샘플 파일을 컴파일할 수 있겠는가 테스트해보았다.


해결책은 대략 다음과 같다.

  1. 이 두 스타일이 hangul.sty를 부른다. 따라서 (가짜로) hangul.sty를 만들어둔다.
  2. LuaLaTeX으로 컴파일한다. 이 때 hangul.sty는 luatexko+CP949한글로 설정한다.
  3. 위의 스타일은 각각 \그래프 라는 명령과 \신문 이라는 명령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kotex-euc에서 그라픽체와 신문체를 부르는 폰트 명령이다. 이것을 UnGraphic이나 UnShinmun 트루타입을 부르도록 해둔다. 이를 위해 이 두 종류의 폰트를 시스템에 설치해야 한다.

이렇게 작성된 hangul.sty를 첨부한다. 편의를 위하여 각 스타일의 샘플도 함께 올린다.

요컨대, 이 hangul.sty를 작업폴더에 두고 샘플 문서를 lualatex으로 컴파일하는 것이다. 혹시 이렇게 작성된 문서를 "제출"하는 경우, hangul.sty를 제외하고 해당 문서만 제공하면 되지 않을까 한다.


이 트릭은 lualatex으로만 된다.


(참고: 현재 배포되는 은글꼴에는 은신문체가 없다. 구글링하면 간단히 찾을 수 있음.)

screenshota.png

첨부 [4]

댓글 쓰기

목록

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