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

Menu

KTUG :: Q&A 마당 › 수식 입력 방법별 줄 간격 차이

김준용 | 2016.09.13 12:04:04 | 메뉴 건너뛰기 쓰기

안녕하세요. ShareLaTeX 입문 중인 초보자입니다.

수식 입력을 공부하던 중에 의문점이 있어 여쭤보고자 합니다.

아래는 제가 같은 수식을 몇 가지 다른 방법으로 입력한 것입니다.


1. 코드 내 줄 바꿈과 결과물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위 두 가지 코드의 경우 오른쪽 부분 결과물의 줄 간격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납니다.

LaTeX은 코드의 줄 바꿈이 결과물의 줄 바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위처럼 equation에 한하여 코드의 의미가 달라지는지 궁금합니다.


2. 방정식-글 사이 간격과 글-글 사이 간격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tabto{0in} \phantom{}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5)}\\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50)}


\tabto{0in} \phantom{}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99)}


a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100)}


\end{document}


위 코드는 (2), (5), (50), (99), (100) 수식을 표현하는 부분입니다.

위의 경우 (2, 방정식)와 (5, 글) 사이의 간격은 방정식-방정식 간의 간격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5, 글)와 (50, 글) 사이의 글-글 간격은 바로 위의 방정식-글 간격보다 좁습니다.

(50, 글)과 (99, 글) 사이에는 줄 바꿈이 있는데, 방정식-방정식 간격보다 넓습니다.

(99, 글)와 (100, 글) 사이는 혹시 (5)처럼 줄 앞에 \phantom{} 등의 요소가 보이지 않게 줄 간격에 간섭하는지 알아본 것입니다.

그래서 \phantom{} 대신 글자 a를 입력해보았으나 글-글 간격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가 생각한 바로는 (ㄱ) 방정식 간, 글 간, 방정식-글 간의 줄 간격이 다르고,

(ㄴ) $$로 입력된 수식은 글로 취급되며,

(ㄷ) 방정식과 방정식 사이에 위치한 줄 바꿈은 일반적인 skip(두 번 줄 바꿈) 기능과 다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setlength로 글-글 간의 줄 간격은 조정된 것 같은데, 방정식-방정식과 방정식-글 간의 줄 간격은 조정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한 판단이 서질 않아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아래는 출력된 결과물입니다.


160912_1.png


아래는 전체 코드입니다.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margin=1in]{geometry}

\setlength{\parindent}{.2in}

\setlength{\parskip}{.0in}

\setlength{\abovedisplayskip}{0pt}

\setlength{\belowdisplayskip}{0pt}

\setlength{\abovedisplayshortskip}{0pt}

\setlength{\belowdisplayshortskip}{0pt}

\usepackage{titlesec}

\titlespacing \section{0pt}{\parskip}{\parskip}

\titlespacing \subsection{0pt}{\parskip}{\parskip}

\titlespacing \subsubsection{0pt}{\parskip}{\parskip}

\usepackage[cjk]{kotex}

\usepackage{mathtools}

\usepackage{tabto}

\usepackage{ulem}

\usepackage{upgreek}


\begin{document}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tabto{0in} \phantom{}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5)}\\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50)}


\tabto{0in} \phantom{}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99)}


a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100)}


\end{document}

첨부 [3]

댓글 [4]

댓글 쓰기

목록

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