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

Menu

KTUG :: Q&A 마당 › 중국어 간자체와 xetexko에 대한 질문입니다.

Stoneface | 2020.01.03 06:06:10 | 메뉴 건너뛰기 쓰기

글을 쓰다 보면 중간 중간에 한자를 넣게 됩니다. 그래서 여러 바업으로 시도했습니다. 

=====================

\documentclass[a4paper,10pt]{article}
\usepackage{graphicx,tikz}

\usepackage{polyglossia}
\usepackage{ctex}

\begin{document}
\section{韓國語史}
\noindent
中文化的 \LaTeX 手。\\
章节标题中文化的 \LaTeX{} 手册。\\
梃\\
그런데 한국어는?\\
\end{document}

결과물은 훌륭합니다.

1.png

=============

이제 폰트를 좀 더 멋진 것으로 바꾸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setmainfont[Language=Chinese Simplified]{HanWangFangSongMedium}

\begin{document}

와 같이 한 줄을 삽입하면, 결과물은 전혀 변화가 없습니다.

이번에는 폰트는 살리고 \usepackage{ctex} 만 지우면 결과물은

폰트는 원하는 대로 나타나지만, 간자체가 왕창 사라집니다.

2.png

물론 두 경우 모두 한글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두 번 째 경우에

\usepackage{xetexko}

 \setmainhangulfont[Mapping=tex-text]{UnShinmun}

를 첨가합니다. 그러면 결과물은

3.png

와 같이 한국어는 은신문체로 지원을 하지만, 한자는 간자체가 네모로 나옵니다.

더구나 한자 마지막 글자인 정(梃)은 1, 2 번과는 다르게 사라집니다.

즉 xetexco에서는 이 글자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1,2,3 세 경우를 합쳐서 사용하면 (당연히 순서는

\usepackage{ctex}
\usepackage{xetexko}
%====================================
\setmainfont[Language=Chinese Simplified]{HanWangFangSongMedium}
 \setmainhangulfont[Mapping=tex-text]{UnShinmun}

입니다.  결과물은 3번째와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usepackage{xetexko}

\usepackage{ctex}

순서를 바꿉니다. 그럼 xetexco가 먼저 지정한 것이 있어서 ctex.sty과 충돌하지만 결과물은 나옵니다.

6.png

보기 좋게 한글은 지원이 안됩니다.  물론 \usepackage{ctex}를 지우면 한글이 지원 되지만

결과물은 3번째와 같습니다.

이 세가지 모두를 만족시킬 방법은 없을까요?

 

첨부 [4]

댓글 [5]

댓글 쓰기

목록 삭제

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