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

Menu

KTUG :: Q&A 마당 › polyglossia 환경에서 fancyhdr의 글꼴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

이기문 | 2020.09.18 10:08:27 | Skip to menu Write

안녕하세요,

polyglossia 환경에서 여러 언어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영어가 주 언어입니다.
아래 소스를 컴파일해보면
1쪽, 4쪽의 머릿말이 영어의 mainfont로 잘 나오는데 반해
2쪽, 3쪽의 머릿말이 한글 글꼴에 포함된 영어 글리프로 나타납니다.

전체가 다 영어의 mainfont로 나오면 좋겠습니다.

Windows10 x64 eng, XeLaTeX을 사용합니다.



%%%%%%%%%%%%%%%%%%%%% MWE %%%%%%%%%%%%%%%%%%%%%%%
 

%!TEX TS-program = xelatex
%!TEX encoding = utf-8
%!TeX spellcheck = en_US

\documentclass[12pt]{article}
\usepackage{fancyhdr}
\usepackage{fontspec}
    \defaultfontfeatures{Ligatures=TeX}
    \setmainfont[Mapping=tex-text,Scale=1,Ligatures=TeX,]{ztm}

\usepackage{polyglossia}
    \setmainlanguage{english}
    \setotherlanguage{korean}

\newfontfamily\koreanfont
    [Mapping=tex-text,Script=Hangul,Language=Korean,]
        {KoPubWorld Batang_Pro Medium.otf}

\begin{document}
\fancyhead[C]{Header Center}
\pagestyle{fancy}
This page has a header of normal font.
\clearpage
\begin{korean}
    
    영어를 주로 하고 여러 언어를 사용하여 글을 쓰고 있습니다.
    
    한국어(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도 마찬가지로)를 여러 쪽에 걸쳐 쓰면 머릿말의 영어가 한글 글꼴에 포함된 글리프로 달라집니다.
    
    작년 5월에 마지막으로 컴파일 했을 때 안 그랬는데요.
    
    \pagebreak
    
    한국어(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도 마찬가지로)를 여러 쪽에 걸쳐 쓰면 머릿말의 영어가 한글 글꼴에 포함된 글리프로 달라집니다.
    
    작년 5월에 마지막으로 컴파일 했을 때 안 그랬는데요.
    
    \pagebreak
    
    여기는 또 기본 글꼴로 표현됩니다.
    
\end{korean}
\end{document}

 

Comment [4]

Write a comment

List Delete

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