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ktug,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google.com, sil.org, kopus.org, github.com, .io, i.com, tistory.com 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에러사항이요
2014.05.15 16:30
안녕하세요 Latex초보 질문입니다.
windows 8.1 64bit 운영체제에서 Ko.Tex 2013아래의 주소에서 다운받아서 설치 했습니다.
댓글 5
-
Progress
2014.05.15 19:01
-
이가영
2014.05.18 00:34
안되는 파일 첨부 합니다. 그리고 글꼴을 네이버에서 받았는데도 되지 않습니다.
-
Progress
2014.05.18 00:57
다른 이들이 테스트 해보도록 hufsthesis09 클래스 파일도 올려주세요.
올려준 template.tex 파일 하나만 가지고 컴파일 되지 않잖아요.
어쩌다 보니 제가 이 상황을 조금 알아서 말씀 드립니다. 결국은 클래스 파일을 손대야하는데...
0. 우선 cmd 창을 열고 다음 명령을 내립니다. 은바탕과 은돋움이 적당한 TDS에 설치됩니다.
> tlmgr install kotex-base
1. 클래스 파일에 다음 부분을 주석처리하세요.
% \input{konames-utf}
2. 그 밑에 거기 글꼴 정의한 부분에 나눔글꼴을 otf 쓸 때와 ttf 쓸 때의 경우로 나눠놓았을 겁니다.
그리고 한글은 나눔글꼴, 한자는 은글꼴 쓰도록 해놨을 겁니다.
다 주석처리하고 간단하게 합시다.
%\def\Location{}
%\ifthenelse{\boolean{@external}}{\def\Location{ExternalLocation}}{}
%\def\OTF{}
%\ifthenelse{\boolean{@otf}}{\def\OTF{OTF}}{}
%\setmainhangulfont[BoldFont={*ExtraBold}]{NanumMyeongjo\OTF}
%\setsanshangulfont[BoldFont={*ExtraBold}]{NanumGothic\OTF}
%\setmainhanjafont[\Location]{UnBatang}
%\setsanshanjafont[\Location]{UnDotum}
%수정 후\setmainhangulfont[BoldFont={*ExtraBold}]{NanumMyeongjo}
\setsanshangulfont[BoldFont={*ExtraBold}]{NanumGothic}
\setmainhanjafont{UnBatang}
\setsanshanjafont{UnDotum}
이렇게 하시고 컴파일해보시죠.===나눔글꼴이 kotexlive2013에 포함되어 배포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 정확히 기억나지 않습니다만,혹시 네이버에서 내려받은 글꼴 파일 네임이 한글로 되어 있어서 찝찝하다면,우선 C:\windows\fonts에 있는 나눔글꼴을 모두 지우고http://hangeul.naver.컴/download.nhn (컴을 com으로 바꾸세요)에서 별도로 받으세요. 나눔고딕/나눔명조에 대하여 각각 [TTF 일반사용자용]-[수동설치버전(모든 OS용)]을 내려받아 C:\windows\fonts에 넣습니다. 윈도 운영체제는 새로 글꼴을 설치하면 폰트 캐시를 해줘야합니다.> fontcache===그래도 해결이 안 되면... 먼저 논문 쓴 "선배"들한테 도움을 청하세요. -
진초
2014.05.16 13:04
Ko.tex 2013을 깔면 나눔글꼴이 자동으로 설치된다던데... 아닌가요? 별도로 깔아야 하나요?
-
Progress
2014.05.16 13:23
그게 잘 기억나지 않아요.
texmf 어딘가에 설치되어 있다면 굳이 설치할 필요는 없겠죠.
에러나는 파일을 올려주세요. 클래스 포함해서요.
올려주신 정보만으로는 뭐가 문제인지 잘 몰라요.
여하튼 XeTeX으로 컴파일하신다고 간주하겠습니다.
나눔글꼴은 네이버 나눔글꼴 홈페이지에서 NanumFontSetup_TTF_ALL_hangeulcamp.exe 를 내려받아 설치했다고 간주하겠습니다.
\documentclass[a4paper]{memoir}
\usepackage[hangul]{kotex}
\setmainhangulfont{나눔명조}
\setsanshangulfont{나눔고딕}
\setmainhanjafont{함초롬바탕} % 나눔명조에 한자 글리프가 없기 때문에
\setsanshanjafont{나눔고딕}
\title{윈도에서 XeTeX 폰트 설정}
\begin{document}
\maketitle
\begin{enumerate}
\item
윈도에서는 다음과 같이 `한글 이름'으로 폰트 이름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begin{verbatim}
\usepackage[hangul]{kotex}
\setmainhangulfont{나눔명조}
\setsanshangulfont{나눔고딕}
\setmainhanjafont{함초롬바탕} % 나눔명조에 한자 글리프가 없기 때문에
\setsanshanjafont{나눔고딕}
\end{verbatim}
\item 윈도에서는 새로운 폰트를 설치하면 텍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폰트 캐쉬를 해줘야합니다.
\begin{verbatim}
> fc-cache -f -v
\end{verbatim}
kotexlive 2013을 깔았다면 더 간단하게
\begin{verbatim}
> fontcache
\end{verbatim}
\end{enumerate}
지금 나는 밤중에 한 강을 아홉 번 건넜다. 강은 새외(塞外)로부터 나와서 장성을 뚫고 유하(楡河)와 조하(潮河) · 황화(黃花) · 진천(鎭川) 등의 모든 물과 합쳐 밀운성 밑을 거쳐 백하(白河)가 되었다. 나는 어제 두 번째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은 하류(下流)였다.
{\bfseries 지금 나는 밤중에 한 강을 아홉 번 건넜다. 강은 새외(塞外)로부터 나와서 장성을 뚫고 유하(楡河)와 조하(潮河) · 황화(黃花) · 진천(鎭川) 등의 모든 물과 합쳐 밀운성 밑을 거쳐 백하(白河)가 되었다. 나는 어제 두 번째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은 하류(下流)였다.}
{\sffamily 지금 나는 밤중에 한 강을 아홉 번 건넜다. 강은 새외(塞外)로부터 나와서 장성을 뚫고 유하(楡河)와 조하(潮河) · 황화(黃花) · 진천(鎭川) 등의 모든 물과 합쳐 밀운성 밑을 거쳐 백하(白河)가 되었다. 나는 어제 두 번째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은 하류(下流)였다.}
{\sffamily\bfseries 지금 나는 밤중에 한 강을 아홉 번 건넜다. 강은 새외(塞外)로부터 나와서 장성을 뚫고 유하(楡河)와 조하(潮河) · 황화(黃花) · 진천(鎭川) 등의 모든 물과 합쳐 밀운성 밑을 거쳐 백하(白河)가 되었다. 나는 어제 두 번째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은 하류(下流)였다.}
\end{doc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