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

Menu

KTUG :: Q&A 마당

해명입니다.


유니코드 ko.tex 매크로를 처음 작성할 당시, 한글을 찍어내는 게 일차 목표였습니다. 한글은 2바이트 문자이고 라틴 문자는 1바이트 짜리인지라 관건은 식자 그 자체였습니다. 그래서 영어 문서를 작성하면서 한글을 잠시 쓸 때도 ko.tex을 불러 쓸 수 있게 하는 걸 염두에 두었습니다.


xetex 이후에는 텍 엔진 자체가 두 바이트 이상의 문자도 잘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ko.tex은 한글을 찍는 것을 넘어 한글 문서를 조판하는 데로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습니다. 영어문서에 한글을 잠깐 삽입하는 정도라면 굳이 ko.tex을 부를 필요가 없습니다. 그래서 ko.tex을 부르면 줄간격을 넓게 잡도록 하는 명령을 xetexko에 집어넣었고 luatexko도 마찬가지입니다. 한글은 라틴문자보다 평균적으로 글자 높이가 상당히 크니까요.


어쨌든 줄간격은 사용자가 간단히 조절할 수 있습니다. linespread 명령을 이용하면 되죠. 또는 baselinestreatch를 재정의하고 selectfont 해도 됩니다. 아니면 setspace 패키지를 로드해서 그 패키지가 제공하는 명령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취향에 맞게 쓰시면 되겠습니다.


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