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정보글 TinyTeX 간단 리뷰
2021.11.05 11:17
최근 "텍사랑" 아이디를 쓰시는 분과 다른 몇 분이 힘을 모아서 위키에 TinyTeX 관련 페이지를 작성하였습니다.
http://wiki.ktug.org/wiki/wiki.php/%EC%84%A4%EC%B9%98%ED%95%98%EA%B8%B0/TinyTeX
TinyTeX은 R 사용자 측에서 시작한 프로젝트인 듯합니다. R의 퍼블리싱 도구로 TeX을 사용할 때 TeX Live 전체 설치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너무 부담인 데다가 실제 사용하는 패키지가 아주 많지는 않으니까, 간소한 LaTeX 시스템을 마련하자는 뜻이었을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런 게 있다는 얘기는 진작 듣고 있었지만 실제 테스트해본 적은 없었는데 이번 기회에 한번 써보니 꽤 그럴듯합니다. 생각나는대로 몇 가지를 짚어두려고 합니다.
1. 예전부터 TeX Live 전체설치가 아니라 basic 정도를 미리 깔아두고 필요하다면 패키지를 "즉시" 추가하면서 활용하려는 시도는 많았습니다. 기본적으로 MiKTeX 표준 배포판이 이런 전략을 취하고 있고, MPM (MiKTeX Package Manager)이라는 MiKTeX 유틸리티가 이걸 해주는데 예전부터 명성이 높았던 툴입니다.
1.1 TeX Live에도 MPM에 해당하는 유틸리티가 있습니다. texliveonfly라는 것인데, 이게 python 스크립트이기는 합니다만 Windows에서 바로 돌리는 데는 약간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mac 또는 linux에서는 texliveonfly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2 KTUG의 사설저장소에서 배포하는 ktugbin에는 kconthefly라는 작은 배치파일이 하나 있는데, 이것은 texliveonfly와 매우 유사하게 동작합니다. 이 게시판에도 Progress 님을 비롯하여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글이 몇 개 남아 있습니다. 모양 빠지는 "배치파일"이라는 것만 제외하면 그럭저럭 의도대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이 배치파일은 KTUG Collection 프로젝트의 유물입니다.
2. TinyTeX은 본질적으로 "초기 설치 부담이 작은 TeX Live"입니다. TeX Live 표준설치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다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단, TinyTeX-0만으로 시작했고 TeX Live와 거의 동일한 환경을 원한다면 TeX Live에 대한 이해와 수작업(삽질이라는 거...)을 좀 거쳐야 합니다. 일반적 사용에는 TinyTeX-1 정도가 가장 적절해 보입니다.)
2.1 KTUG 사설저장소의 추가, tlmgr을 이용한 업데이트 등도 확실하게 지원합니다.
2.2 에디터는 VS Code가 좋아 보입니다만 TeX Works가 필요하다면 (Windows에서) tlmgr install texworks 하면 사용 가능해집니다.
2.3 위의 위키 페이지에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 대로, "portable"로 아이콘 트레이로부터 접근하여 쓸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예전 TnXTeX과 비슷한 느낌을 줍니다. 이 texlive portable 모드는 TinyTeX의 기능이 아니고 원래 TeX Live에 있는 것입니다만 전체 설치 시에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잘 쓰이지 않았습니다.
3. 1번 항목에서 언급한 "패키지 실시간 설치"는 tinitex이라는 유틸리티를 이용합니다. 이 유틸리티는 "필요한 패키지의 자동 설치"뿐 아니라 cluttex 방식의 컴파일, 즉 "부수 파일을 작업 디렉토리에 남기지 않는" 클린 컴파일을 지원합니다. (물론 옵션으로 선택 가능합니다.)
3.1 texliveonfly, mpm과 마찬가지로, "폰트"의 설치는 수작업이 조금 필요합니다. 이것은 불가피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크게 불편할 정도는 아닙니다. pdflatex으로 kotex을 사용할 때 nanumtype1이 자동 설치되지 않으니까 이것을 미리 설치해두는 것 정도를 기억하면 될 것입니다. 대부분의 오픈타입은 어차피 수동설치밖에 방법이 없습니다.
3.2 패키지 자동 설치시에 발생하는 문제는 직접 겪었을 때 거의 대부분 tlmgr을 이용하는 install 명령으로 해결 가능합니다.
3.3 XeLaTeX을 주로 쓰는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시스템 폰트의 활용 문제에 관하여, 제가 "tinytexfontconfig.bat"라는 조그만 기여를 하였습니다. 위의 위키 페이지에 첨부되어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TinyTeX이 설치된 디렉토리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fontconfig 설정을 행하고 fc-cache해주는 것입니다. "사용자 설치" 폰트와 texlive 오픈타입을 "폰트 이름으로 " 참조하는 문제는 이것으로 해결될 것입니다.
4. 단지, TinyTeX-1 규모로 설치하였을 때 "문서"들이 설치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texlive-basic을 설치하였을 때와 같습니다. 즉 texdoc을 별도로 인스톨하더라도 문서를 읽을 수 없습니다. 패키지 문서가 필요하면 texdoc. net 사이트를 웹브라우저로 열어서 참고할 수 있겠습니다.
결론적으로, TeX Live 전체 설치에 부담을 느끼시는 분들은 한번 고려해봐도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Windows와 Linux에서는 확실히 좋은 선택일 것이라 생각하고요, Mac의 경우는 MacTeX이 워낙 편한 데다가 MacTeX-Basic도 괜찮기 때문에 굳이 이게 필요할까 하는 개인적 감상이 있습니다.
댓글 5
-
yihoze
2021.11.05 14:03
-
지나가다
2021.11.06 13:11
딴 이야기지만, 아이패드에 TeX Live를 설치하고, XeLaTeX로 시스템 폰트를 사용하는 날이 올까요?
-
likesam
2021.11.06 14:39
TnXTeX이후로 여러가지 작은 대안들이 나와서 즐겁습니다. 얼마전까지 tectronic도 재미있게 가지고 놀았구요. TinyTeX은 tectronic보다 가지고 놀기 좋아 보입니다.
-
에드
2021.11.07 00:13
저도 이 글을 보고 관심이 생겨 써볼까 살펴보다가 여러 이유로 포기했습니다.
1. 저는 우분투를 도커에서만 사용해서 도커 이미지로 만들어야 하는데, 패키지 하나 깔 때마다 이미지를 새로 만드는 수고를 해야 하더군요. 패키지 리스트를 사전에 다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의 유저가 아니라서 포기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폰트나 매뉴얼 등을 제외한 기본+왠만한(?) 패키지 리스트만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면 꼭 시도해보고 싶습니다.
2. 윈도우즈는 하드디스크가 넉넉해서 호기심 외에 굳이 쓸 일이 없습니다.
3. 다음에 맥텍을 설치할 때는 basic으로 깔아야겠습니다. full 버전은 용량을 10GB 차지하는데, basic은 100MB이더군요. 너무 넘사벽이라 지금 깔려있는 맥텍조차 날리고 새로 깔까 고민이 되는 정도입니다(255GB SSD가 참 아쉽네요). 다음엔 기필코 basic으로 깔아야겠습니다.
-
noname
2021.11.24 05:28
1번 문제에 대한 코멘트입니다.
이 문제를 피해가는 방법은 TinyTeX의 texmf-dist 부분을 외부 volume으로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docker volume create --name tinytextexmf
이렇게 해서 tinytextexmf라는 이름의 볼륨을 만들고, tinytex이 설치된 디렉터리가 /usr/.TinyTeX이라고 한다면, docker를 실행할 때 볼륨 옵션을
-v tinytextexmf:/usr/.TinyTeX/texmf-dist
이렇게 실행하면 일단 설치된 패키지들은 외부 볼륨에 저장될테니 매번 commit하지 않아도 됩니다.
저라면 아예 TinyTeX 전체를 외부 볼륨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패키지만이 아니라 바이너리도 tlmgr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거든요. 볼륨의 배포 관리가 문제가 되겠지만...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986 | 구구단 [5] | noname | 2021.11.29 | 613 |
985 | Beamer와 MS Office [3] | dynamics | 2013.05.09 | 6321 |
984 |
pdfpc로 멀티 스크린으로 PDF 슬라이드 사용
![]() | Zeta | 2021.11.28 | 1105 |
983 |
애니메이션
[2] ![]() | yihoze | 2021.11.24 | 587 |
982 |
두 이미지들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삽입하기
[2] ![]() | yihoze | 2021.11.23 | 607 |
» | TinyTeX 간단 리뷰 [5] | noname | 2021.11.05 | 915 |
980 |
문화부 글꼴에 관하여
[2] ![]() | noname | 2021.10.29 | 885 |
979 | Spix 소개 [5] | noname | 2020.07.27 | 3850 |
978 | kswrapfig 수정본, 발표자료 [4] | nova de hi | 2012.02.06 | 24636 |
977 |
은 글꼴 폰트 세팅
[2] ![]() | noname | 2020.06.08 | 3748 |
976 |
안중근 의거일, <동양평화론> 서문
[1] ![]() | noname | 2021.10.26 | 714 |
975 |
한자에 독음을 다는 몇 가지 방법
[10] ![]() | nanim | 2015.04.29 | 5689 |
974 |
정본 훈민정음 언해 어제 서문
[9] ![]() | noname | 2021.09.17 | 1262 |
973 | 한글날이네요 [10] | Progress | 2021.10.09 | 972 |
972 | 정본 <훈민정음 언해> 2 [7] | noname | 2021.09.27 | 1083 |
971 |
스타일 매크로
[4] ![]() | yihoze | 2021.09.15 | 1035 |
970 |
네이버 마루부리 폰트 테스트
[4] ![]() | Progress | 2021.10.06 | 1167 |
969 |
철 지난 맥 OS에 텍라이브 2021 설치하기
[5] ![]() | Progress | 2021.05.02 | 3048 |
968 |
xetexko의 한자음
![]() | noname | 2021.09.25 | 843 |
967 |
ichingforyou 2021
[6] ![]() | noname | 2021.09.11 | 1009 |
작은 것을 선호하는 이유는 드라이브를 차지하는 공간 그리고 다운로드와 설치에 들어가는 시간인데요. (처음) 설치 시간을 놓고 보면, 어쩌다 한 번 하는 것이니, 그게 큰 장점으로 보이지는 않고요.
드라이브 공간은 문제가 되겠네요. 저는 항상 전체를 설치하는데, 지금 확인해 보니 TeXLive가 무려 9 GB 가까이 차지하고 있네요. 텍을 직접 사용하는 것도 아니고 이따금 백엔드로 텍을 돌리는 R 사용자들에게는 확실히 낭비라는 느낌이 들 것 같습니다.
하지만, 뭔가 문제가 생길 때마다 원인을 찾고 손수 설치해야 하는 수고와 불편을 감안하면, 1 TB HDD가 칠팔만 원에 불과한 요즘에, 드라이브를 좀 낭비하는 편이 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간이 돈이라고 하니 말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