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제 블로그에 올린 내용입니다. (http://sajangyang.blogspot.com/2011/08/how-to-install-kotex-2011-on-ubuntu.html 참조하시고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리고 항상 자세히 도움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하드 디스크가 갑자기 깨지는 바람에 새로 다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그렇잖아도 TeXLive2011이 새로 나와서 인스톨하려고 마음먹고 있었는 데, 떡본 김에 제사지낸다고 전부 다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하드웨어만 빼고... 음 하드 ``디스크''는 갈았습니다.)

When    : August 31, 2011; Wednesday
Env        : Dell E4310, Windows 7-64 bit, Oracle VirtualBox 4.1.2, Ubuntu10.04 LTS 64 bit  
Directory    : /home/sajang/texlive

저는 네트웍 인스톨보다는 DVD 인스톨을 좋아합니다. 미리 다운받아 DVD 굽지않고 그냥 파일 통째로 마운트해서 인스톨하니 훨씬 빠르다고 생각합니다. 또 시스템에 설치하는 것보다 개인 계정 밑에 설치하는 게 좋습니다. ( http://sajangyang.blogspot.com/2010/05/install-kotex-on-ubuntu-1004-lts.html 참조) ko.TeX 안 쓰는 사람도 있으니 괜히 성가시게 할 필요 없겠지요. 또 같이 일하는 사람과 문서를 공유할 때는 영문 LaTeX이 필요하니  Ubuntu 시스템 TeXLive 2009를 그대로 두는 게 편하기도 합니다. TeXLive2011을 먼저 설치하는 데, 설치방법이 예전 ( http://sajangyang.blogspot.com/2010_09_01_archive.html ) TeXLive 2010과  별 차이 없습니다. 32 bit OS를 쓰다가 64 bit OS로 바꿨더니 64 bit용 경로가 다른 것이 눈에 띄는 차이일 뿐입니다.

1. Run TeXLive installer

    $ cd /media/TeXLive2011
    $ install-tl --gui

2. To install under home directory, change TEXDIR from "/usr/local/texlive/2011" to "/home/sajang/texlive/2011"

3. After finishing the installation, update .bashrc or .profile file with the below three lines:
32 bit OS인 경우:
    PATH=/home/sajang/texlive/2011/bin/i386-linux:$PATH;export PATH
64 bit OS인 경우:
    PATH=/home/sajang/texlive/2011/bin/x86_64-linux:$PATH;export PATH
공통:
    MANPATH=/home/sajang/texlive/2011/texmf/doc/man:$MANPATH;export MANPATH
    INFOPATH=/home/sajang/texlive/2011/texmf/doc/info:$INFOPATH;export INFOPATH

4. Reconfigure Font for XeTeX and Update ConTeXt

    $ cp ~/texlive/2011/texmf-var/fonts/conf/texlive-fontconfig.conf  ~/.fonts.conf
    $ cd ~
    $ fc-cache  -fv
    $ context --generate

5. It's not absolutely necessary, but update any change using tlmgr
    $ tlmgr option repository http://mirror.ctan.org/systems/texlive/tlnet
    $ tlmgr  -gui
or
    $ tlmgr update --all

I use TeXWorks to write a TeX document, let's install TeXWorks.

6. sudo apt-get install texworks

7 Now, I need to let TeXWorks know where is my local TeXLive 2011 installed.

    - Run TeXWorks
    - Goto "Edit" -> "Preferences..." -> "Typesetting"
    - Add the local path "/home/sajang/texlive/2011/bin/x86_64-linux" into "Paths for TeX and related programs"
    - Move the path on top of everything using the Arrow Button on the right.


ko.TeX을 안 쓰고 TeXLive2011만 필요한 분은 위까지만 하시면 됩니다.
====================================================================


자, 이제 ko.TeX을 설치합니다.

1. $ tlmgr --repository=http://ftp.ktug.or.kr/KTUG/texlive/2011 install collection-kotex

2. It will take some time. Be patient, get a coffee or whatever you want. After the installation, run texworks "Edit" -> "Preferences" -> "Typesetting" -> "Paths for TeX and related programs"

put the below two lines on top of the paths:
32 bit OS인 경우:
/home/sajang/texlive/2011/bin/i386-linux
64 bit OS인 경우:
/home/sajang/texlive/2011/bin/x86_64-linux
공통:
/home/sajang/texlive/2011/texmf-dist/tex/latex/kotex

3. ko.TeX이 설치되었다고 해서 다 끝난 것이 아닙니다. 저 같이 영문 Ubuntu에서 쓰는 사람은 또 한글 설정을 해야됩니다. 제가 작년에 nabi, imhangul, ibus 순서대로 여러가지를 시도해봤다가 ( http://sajangyang.blogspot.com/2010/05/install-kotex-on-ubuntu-1004-lts.html , http://sajangyang.blogspot.com/2010/10/how-to-install-imhangul-on-ubuntu-1004.html , http://sajangyang.blogspot.com/2010/10/return-to-ibus-to-type-in-hangul.html ) 어리버리하게 해결하였는 데, 오늘 또 어찌하다 보니 ibus를 재설치하는 것이 TeXWorks에서 한글을 쓸 수 있는 방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Linux에서 TeXWorks 입력 방식에 KDE 호환 입력 라이브러리를 쓰는 것 같은 데, 그냥 ibus만 인스톨되어 있으면 안 되는 것 같았습니다. 과감하게 ibus 관련 전체 패키지를 다음처럼 재 인스톨합니다.

how to reinstall ibus:

$sudo apt-get remove ibus
$sudo apt-get install ibus-*

아참,  그리고 ibus 설정에서 ibus의 기본 한글입력기(Korean)을 쓰지 마시고, ibus-hangul을 선택하세요. (태극 모양이라 찾기에 쉬울 겁니다.) 헛갈리신 분이 계시면 다음에 자세히 올리겠습니다. 댓글 달아 주시구요.

4. 위와 같이 하면 드디어 TeXWorks에서 한글이 써지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아직도 문제점이 있는 것이, 입력하는 글자가 한참 후에 나타나는 현상이 보이는 것입니다. 미치고 팔짝 뛸 지경이지요. 이것은 예전에 ktug 게시판에도 몇 번 올라왔었는 데, 어떤 분은 그런 경우없다고 무시해버리고, 다행히 "도은이아빠"님께서 답글 단 것이 어렴풋이 기억났습니다.

기억나는 대로, 이유는 이렇습니다. Ubuntu ibus에서 한글을 치면 아직 완성이 안된 글자는 역상 비슷하게 화면에 출력되는 데, TeXWorks의 기본 설정 중에 현재 줄을 하이라이트 하는 것이 있습니다. 줄이 하이라이트 되어 있는 데, 역상이 들어가면서 글자가 안 보이게 되는 걸로 추측해봅니다.

원인을 알았으니 해결 방법은 간단하지요. 현재 줄 하이라이트 기능을 없애버리면 되는 것이지요.

TeXWorks -> Edit -> Preferences... -> Editor로 GUI 메뉴를 찾아들어가면

Global editor options의 Highlight current line이 원래는 체크돼 있는 데,위 그림과 같이uncheck하시면 TeXWorks에서 입력 중인 글자가 또렷이 보이기 시작할 겁니다. 한글도 입력하고 koTeX과 pdflatex을 이용하여 문서를 하나 만들어봅니다. 잘 됩니다.


Happy TeXin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0 자모에 색 입히기 [4] file yihoze 2019.02.13 7705
289 오늘 발표한 hmltotex 관련 자료입니다. [9] file hmltotex 2019.02.16 10484
288 논문쓰실 때 LaTex 이용하시는 분들 괜찮은 워크샵이 있는 것 같아서 공유드려요! [5] 소미 2019.02.18 7846
287 팀블로그 게시판 권한에 대하여 [2] Kriss 2019.02.18 6838
286 [expl3] 살아온 날은 며칠? [3] file noname 2019.02.26 7803
285 임명장 템플릿 [2] file yihoze 2019.03.06 7842
284 파이데이 이야기 [1] file noname 2019.03.14 42105
283 이분.. 양반은 못되시는듯 합니다... [1] 불량양파 2019.03.23 7830
282 최현배 한글 풀어쓰기 [21] file Tzetachi 2019.04.13 27339
281 [Expl3] 소인수분해 [3] file noname 2019.04.28 7697
280 TexLive 2019 릴리즈 [7] Dennis 2019.05.02 14547
279 TeX Live 2019와 xindex [3] file noname 2019.05.04 7125
278 [소식] lshort korean 2019 릴리스 [6] noname 2019.05.08 7828
277 grruby와 "선언서" [2] file noname 2019.05.17 7299
276 루비 [5] file noname 2019.05.22 7147
275 parallel pages, parallel columns, and progress [7] file noname 2019.05.30 6746
274 LuaLaTeX을 활용한 고서적 조판 [8] file 옛한글 2019.06.13 7307
273 stackexchange.com sourceforge.net 등의 도메인은 게시물에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리자 2019.07.10 6774
272 TeX Template 제작이 가능한 분을 찾고 있습니다. (완료) [2] 윤세은 2019.07.15 6100
271 메무아 매뉴얼 서문의 1890년대풍 번역 [4] file noname 2019.07.16 683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