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

Menu

KTUG :: Q&A 마당

고생하시는 것 같아서 시간을 내서 한번 해봤습니다. 목표는 새로 설치한 ubuntu에서 <문장강화> 소스를 컴파일하여 pdf를 보는 데까지입니다.

  1. Kubuntu focal fossa (20.04)를 Virtualbox에 설치. (kubuntu는 개인적 취향입니다.)
  2. texlive설치
    1. sudo apt install texlive texlive-latex-extra texlive-lang-korean texlive-xetex
    2. 설치하여 버전을 확인하였는데, 예상과 같이 TeXLive 2019 later 버전에 해당합니다. 정확하게는 TeXLive 2019 2020-01-27버전입니다. tlmgr 버전은 53568. (참고로 현재 TeXLive 2020의 tlmgr 버전은 54446입니다.)
  3. hanjacnt 설치 (KTUG 사설저장소 패키지 설치.) ubuntu 20.04의  tlmgr usermode로는 pinning을 만들 수 없는 버그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KTUG 사설저장소 패키지를 tlmgr로 관리할 수 없고, 사용자 TEXMF에 설치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하였습니다. (build-essential 정도는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특히 xzdec가 꼭 필요합니다. 만약 Ubuntu 언어를 English로 하였다면 한글 폰트가 자동설치되지 않으므로 fonts-noto-cjk를 apt를 이용하여 설치할 필요도 있습니다.)
    1. cd ~
    2. mkdir texmf && cd texmf
    3. wget http://ftp.ktug.org/KTUG/texlive/tlnet/archive/hanjacnt.tar.xz
    4. wget http://ftp.ktug.org/KTUG/texlive/tlnet/archive/hanjacnt.doc.tar.xz
    5. tar xvf hanjacnt.tar.xz
    6. tar xvf hanjacnt.doc.tar.xz
  4. 게시판에서 소스를 다운로드 
  5. xelatex munjangganghwa.tex
  6. okular munjangganghwa.pdf

현재 Ubuntu 20.04의 경우, 굳이 TeX Live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충분히 최신 시스템이라고 봐도 될 듯합니다. Noto 폰트 같은 게 기본으로 들어 있는 것도 좋구요. (위의 과정에서 폰트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위의 순서대로 설치가 잘 되었다면 texdoc hanjacnt로 문서를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

KTUG 한국 텍 사용자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