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noname

처음 공개했을 때 mymmd2pdf를 이용하는 것이었습니다만... 그 뒤로 이것저것 추가되고 해서 지금은 조금 다르게 되었습니다. 

굳이 WSL같은 골치아픈 것보다는 ksminitex 버전이 실행해보기 쉬울 텐데요.

간단히 요약해두겠습니다.

  • ksminitex을 설치합니다.
    * http://wiki.ktug.org/wiki/wiki.php/TectonicTypesetting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63773
  • txt2pdfebook for ksminitex을 실행합니다.
    * https://shorturl.at/xI268 or https://bit.ly/3zfWIPx
    * cf.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6438

설치가 끝났으면 txt2pdfebook-readme.md를 컴파일해봅니다.
> kstxt2pdfebook txt2pdfebook-readme.md

주의:
 * ksminitex과 txt2pdfebook을 설치 후에 열려 있는 명령행이나 셸을 닫았다가 다시 여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 위의 마지막 004의 문단별 주석 기능은 현재 이런저런 테스트 중이라 저 소스만으로 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 kstxt2pdfebook for ksminitex은 파일 이름에 민감합니다. 한글이나 공백이 없어야 합니다. 따라서 위의 KTUG문고 소스의 한글 파일 이름을 전부 rename해서 해보셔야 할 겁니다.

혹시 시도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뭐 거의 없겠지만...) 잘 되는지 꼭 좀 알려주십시오. 제가 윈도우즈 사용자가 아니다 보니, 거의 대부분 "이렇게 하면 대충 될 거야"는 감각으로 조성한 파일묶음이라서...

====

Mac이나 Linux의  (또는 Windows의) TeXLive 사용자께서 혹시 관심이 있을지 알 수 없어서 관련 파일을 제공하겠습니다 (https://shorturl.at/itKO7 ). 사용법을 별도로 안내하지는 않습니다. TeXLive 사용자시라면 알아서 하실 수 있을테죠.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