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자유글 texmaker 2.2 사용소감

2011.01.29 01:04

에드 조회 수:88458

texmaker 2.2(2011. 1. 26)가 나왔다길래 테스트해봤습니다.

(http://www.xm1math.net/texmaker/)


인터페이스는 WinEdt랑 비슷한데, 좌측 사이드바에 현재 문서의 구조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나오는 게 편리해 보입니다.

중첩된 구조도 잘 나타내주고, 파일 변경시 바로바로 적용해 줍니다.


사이드바에는 문서 구조 뿐만 아니라 특수기호, 수학기호, PSTricks나 Tikz 등의 명령어를 마우스 클릭만으로 바로 쓸 수 있게 해둔 점도 좋아보입니다.


그리고 문서편집창 옆에도 bold, italic, flushleft, \sqrt 등의 명령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버튼들이 있습니다.

이걸 사용자가 정의해서 쓸 수 있도록 하면 좋을텐데 그런 기능은 없습니다.




문서구조가 보이고, 바로 이동해서 편집도 가능해서 편리해 보이는데 TeXShop 대신 이걸 쓸 생각은 없습니다.

일단 맥에서 바람입력기 사용시 Shift+Space로 한영전환이 안되구요, XeTeX을 아직 지원하지 않습니다. 물론 환경설정창에서 LaTeX 옵션을 xelatex으로 바꿔주면 가능하겠지만 그렇게까지 해서 쓰고 싶지 않은 결정적인 이유는 PDF뷰어때문입니다. 아주 형편없습니다. (직접 테스트해보지는 않았지만)편집기와 싱크할 수 있는 기능은 제공합니만 뷰어가 페이지를 바로바로 나타내주지 못합니다. 첫페이지를 제외하고는 느린 게 아니라 아예 안뜹니다. pdf뷰어를 외부뷰어로 설정할 수는 있는데 이 때도 편집기와 싱크가 되는지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지우지말까 고민하는 유일한 이유는 Help메뉴에 있는 LaTeX Reference때문입니다.

A-Z까지 항목별로 간단하게 설명이 되어있는데 꽤 쓸모있어 보입니다.


버전이 2.2인데 꽤 실망스럽습니다.

그래서 윈도우와 리눅스에서는 테스트하지 않았습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4 [KTUG Rumor] 문서작성 워크숍은 언제? [5] ischo 2014.09.25 5300
653 함초롬체 2014년 버전이 공개되었네요. [2] 함초롬 2014.10.19 5305
652 함초롬바탕 yihoze 2011.01.05 5312
651 새로운 한글 폰트(라이센스: OFL) [1] 에드 2014.09.26 5318
650 첨부파일 초과.. [13] 처음처럼 2014.10.11 5347
649 프레임 문단에 관한 잡담 file karnes 2011.12.16 5352
648 xelatex으로 작성한 일본어 문서에 색인달기 DohyunKim 2011.03.28 5363
647 세그먼트 명령 file yihoze 2016.06.15 5372
646 흠.. 만들고 나니.. 나름대로 괜찮은거 같습니다. [14] 불량양파 2016.05.18 5375
645 역시 삽질하면 되는군요.. 그럭저럭이지만...@.@; [15] file 불량양파 2016.04.21 5389
644 페이스북 그룹을 만드는 건 어떨까요? [11] file 김벤젠 2016.07.05 5393
643 XeLaTeX 한글 문서에서 한자와의 베이스라인 맞추기 karnes 2011.07.06 5409
642 KC2008++ 2014, notepad++ [9] nanim 2014.11.17 5409
641 최근의 패키지 몇 개 보완 [12] file nanim 2014.06.13 5431
640 레이텍 사용 비율 [1] file yihoze 2016.05.27 5463
639 수식 이미지를 Latex 수식으로 변경해주는 사이트입니다. [4] file SMC 2020.08.29 5468
638 Backus-Naur form (BNF) 문법을 간단히 표시해주는 패키지 [4] file Zeta 2019.12.24 5477
637 jiwonlipsum 판올림 [15] file nanim 2014.05.19 5506
636 polyglossia를 이용하는 한국어 조판 [2] nanim 2015.07.27 5509
635 우분투/데비안 리눅스에서 TeX Live 관련 더미 패키지 만들기 MadToad 2011.08.30 552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