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64bit Linux에서 texlive2014를 tug.org에서 받은 iso image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bash> ttf2kotexfont -c conf파일 

로 tfm을 비롯한 각종 파일을 local 디렉토리에서 생성 후, pdflatex 으로 제가 작성한 my.tex 파일을  변환하면 pdf가 정상적으로 생성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각종 파일들을 ttf2kotexfont로 시스템에 등록시켜 사용하기 위해,


bash> ttf2kotexfont -c conf파일 -i /usr/local/texmf/

bash> echo 'f cid-HCttf.map' >> /usr/local/texlive/2014/texmf-dist/dvipdfmx/dvipdfmx.cfg
bash> echo 'map +HCttf2pk.map' >> /usr/local/texlive/2014/texmf-dist/ttf2pk/ttf2pk.cfg

bash> mktexlsr


을 실행시킨 후에 local에서 시험해본 my.tex파일을 pdflatex으로 변환하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마지막에 뜨면서 중단됩니다.

(texmf.cnf의 TEXMF 경로에 '/usr/local/texmf/' 를 추가시켜놓았습니다.)


kpathsea: Running mktexpk --mfmode / --bdpi 600 --mag 1+120/600 --dpi 720 oHCmjm54
mktexpk: don't know how to create bitmap font for oHCmjm54.
mktexpk: perhaps oHCmjm54 is missing from the map file.
kpathsea: Appending font creation commands to missfont.log.
(see the transcript file for additional information)
!pdfTeX error: pdflatex (file oHCmjm54): Font oHCmjm54 at 720 not found
 ==> Fatal error occurred, no output PDF file produced!


제가 사용한 conf파일 및 my.tex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f파일

===========

FOUNDRY: HC
FONTmj: m=HANBatang-LVT.ttf b=HANBatangB-LVT.ttf
FONTgt: m=HANDotum-LVT.ttf b=HANDotumB-LVT.ttf


my.tex

==========

\documentclass[12pt,a4paper]{article}
\usepackage{kotex}
\usepackage{HCttf}
\begin{document}

혹시나 해서 tfm을 비롯한 각종 파일이 생성된 local 디렉토리에서,

UCS2.sfd, UKS-UCS2.sfd를 지우고

pdflatex으로 my.tex을 변환하니 뜨는 메세지가 중단의 일부만 다르고, 상기의 메세지가 뜨면서 중단됩니다.

그래서 전 제가 변환한 함초롬 글꼴 사용시 UCS2.sfd, UKS-UCS2.sfd을 참조하지 못해서 발생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틀 전부터 xetex으로 작업하고 있긴 하지만, 궁금하고 답답해서 여쭙습니다.


(추신: UCS2.sfd, UKS-UCS2.sfd는 설치된 texlive의 sfd 디렉토리에 있는 것을 복사하여 사용했습니다.

texlive2014는 /usr/local/texlive/2014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 해결 -----------------------------------------

1. UCS2.sfd, UKS-UCS2.sfd를 texmf-dist/fonts/sfd/ttf2pk/ 에 복사

bash> cp UCS2.sfd UKS-UCS2.sfd  /usr/local/texlive/2014/texmf-dist/fonts/sfd/ttf2pk/


2. mktexlsr

bash> mktexlsr



제가 사용한 UCS2.sfd UKS-UCS2.sfd는 /usr/share/texmf/fonts/sfd/ 에 있던 것인데,

아마도 기존에 사용하던 tetex + kotex(2007년도)이 생성해 놓았던 것 같습니다.

/usr/share/texmf/fonts/sfd/아래에는 Unicode.sfd 등만 있고, 상기 두 파일은 없었습니다.


xetex-ko로 갈아타기로 결정해서, 앞으로 쓸 일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속이 시원합니다.

혹시 필요하시분 들을 위해 UCS2.sfd, UKS-UCS2.sfd를 본 글에 첨부합니다.

(참고: texlive의 Unicode.sfd를 대신 사용할 수 있다는 글을 본 적이 있으나, 시도한 적은 없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Minimal Working Example을 첨부해주세요 [4] nanim 2015.06.23 230964
45 hfont.sty 아시는 분 [3] 자유인 2010.12.28 37936
44 pxfont, txfont 설치방법 [1] 등대지기 2011.06.02 14060
43 TeXWorks의 xelatex template을 이용한 xelatex 컴파일 에러: font-not-found [4] 양사장 2011.09.02 13433
42 fontspec, cambria math, 에서 \hat 사용 문제 [10] file 모자 2011.10.05 12928
41 lualatex에서 font설정? [2] synapse 2011.11.24 5875
40 ttf2kotexfont로 만든 폰트 이용 컴파일 빠르게 하는 방법은요? [1] 이용규 2012.01.03 3860
39 Beamer에서 fontspec 사용 [3] TeX Addict 2012.12.16 18857
38 xetexkofontregime이 루어텍에는? [2] yihoze 2013.07.04 4254
37 AMS Euler 폰트를 true type font로 구할 수 있나요? 잠심 2013.07.06 18684
36 LaTeX Font Warning [3] 공명 2013.11.26 2383
35 Font 가 Not loadable 하다네요 [6] file 김민규 2013.12.05 3137
34 \everydisplay에 \setstretch 명령을 주었을 때 font warning 문제 [5] file Progress 2014.01.03 3461
33 hfont.sty [2] file nari 2014.01.13 5169
32 Fontspec 옵션 문의 (newcommand와의 충돌) [2] file 하늘연 2014.04.25 2462
31 xetexkofontregime와 따옴표 [7] file yihoze 2014.05.27 4645
30 memoir document class에서 \rm font를 어떻게 사용하나요? [6] 초보 2014.09.22 1554
» 함초롬 글꼴을 ttf2kotexfont로 시스템에 등록 후의 문제. [해결] [11] file kdi 2014.10.02 6756
28 fallbackhanjafont 사용후 깨진 글자가 보이네요. (extB 영역 한자 사용) [6] file 안개나무 2014.10.22 1883
27 IEEE 사이트 업로드 Font 에러 [3] file 석이 2014.10.28 1688
26 hfont.sty 와 kotex에 관해서.. [2] 갱갱 2014.12.10 165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