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자유글 KTS 2013 학술대회에 대하여

2013.02.18 14:09

yihoze 조회 수:17287

텍학회 학술대회 또는 문서작성 워크숍에 참석할 때마다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가 되풀이되어 지루하지 않을까 우려한다.

그러나 놀랍게도 이 예상은 매번 깨졌다.

항상 새로운 이야기가 나왔다. 한글텍의 역사는 언제나 빠지지 않는 주제였지만 그것조차도 전에는 미처 알지 못했던 것을 일깨워준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내게 가장 흥미로웠던 이야기들은 이렇다.


1. 조명철: 

"일본의 산들이 갖고 있는 고유한 특징이 일본 문화를 형성하는 데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본 주제에서 벗어난 얘기가 훨씬 더 재미있을 때도 있다.

"왜 일본인들이 할복을 좋아하는지" 그 이유에 대해서도 언젠가는 듣게 될 것이다.


2. 이기황: 

"텍을 설치하는 데에 한 달이 걸렸던 적도 있다."

그것을 인내하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이 더 신기하다.


3. 윤석천: 

'내가 게시판에 저렇게 많이 글을 썼었나?'


4. 목봉균:

"100개의 한글 글꼴과, 100개의 라틴 글꼴과, 100개의 색상을 테스트해 보았다."

이것이 전에 그가 내게 한 말을 떠오르게 했다.

"저는 등산할 때, 지리산 노고단에 오를 때조차도, 한번도 쉬지 않습니다."

대단한 인내의 소유자다.

아무튼 그래서 마지막으로 간택된 글꼴이 "무슨 야옹이"체라나?


5. 김현선:

"수식에서 오버풀이 발생하지 않게 작은 판면을 이용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수식에서도 오버풀이 생기다니!


6. 이주호:

"그림이 우리의 시선을 끄는 방향을 고려하여 판면에 배치해야 한다."

오랜 경험에서 비롯된 공력이 느껴지지 않는가?


7. 김영록:

"지오지브라를 이용하면 그래프와 도형을 쉽게 그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ikz 코드로 내보낼 수 있다."

중학교 2학년 때 담임 선생님이 떠올랐다. 수학 선생님이셨다. 삼각자와 콤파스의 달인이셨다. 

분필 가루를 평생 엄청 드셨을 것 같다.

이것을 이용하면 4x4x4 루빅스 큐브 해법 책도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8 일단 하나의 소스로... 가로/세로 템플릿을 통해 바꿔서 출력하는것까지는 되었습니다. [2] 불량양파 2016.08.05 5528
327 polyglossia를 이용하는 한국어 조판 [2] nanim 2015.07.27 5509
326 jiwonlipsum 판올림 [15] file nanim 2014.05.19 5506
325 레이텍 사용 비율 [1] file yihoze 2016.05.27 5463
324 최근의 패키지 몇 개 보완 [12] file nanim 2014.06.13 5431
323 KC2008++ 2014, notepad++ [9] nanim 2014.11.17 5409
322 페이스북 그룹을 만드는 건 어떨까요? [11] file 김벤젠 2016.07.05 5393
321 역시 삽질하면 되는군요.. 그럭저럭이지만...@.@; [15] file 불량양파 2016.04.21 5389
320 흠.. 만들고 나니.. 나름대로 괜찮은거 같습니다. [14] 불량양파 2016.05.18 5375
319 세그먼트 명령 file yihoze 2016.06.15 5372
318 첨부파일 초과.. [13] 처음처럼 2014.10.11 5347
317 새로운 한글 폰트(라이센스: OFL) [1] 에드 2014.09.26 5318
316 함초롬체 2014년 버전이 공개되었네요. [2] 함초롬 2014.10.19 5305
315 [KTUG Rumor] 문서작성 워크숍은 언제? [5] ischo 2014.09.25 5300
314 혹시 이 사이트에 버그가 있는 것이 아닌지요. [2] 메타 2016.08.03 5285
313 하나조노 민초 폰트의 글리프 품위 [9] file Progress 2014.10.02 5285
312 온라인 텍 도구인 Overleaf를 알려봅니다~ [3] 감자돌이 2015.10.10 5282
311 새 페이지에서 시작하는 차례 yihoze 2016.06.02 5262
310 특정 글리프를 가진 글꼴 [12] noname 2020.12.22 5253
309 MiKTeX 이나 TeXLive 에서 biber.exe 설치나 업데이트 에러 [1] file 쿠피 2014.10.09 52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