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자유글 KC2008++ 2014, notepad++

2014.11.17 10:47

nanim 조회 수:5409

돌이켜보면, WinEdt을 버린 순간부터 에디터에 얽힌 고난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유감스럽게도 WinEdt이 Unicode를 제대로 지원하게 된 것은 극히 최근 일이므로,

hangul-ucs가 등장하던 때부터 이 "극히 최근"까지 거의 10여년 동안 WinEdt 없이 살아야 하는 상황이었지요.

WinEdt으로 다시 돌아가기 전에 TeXworks가 나와서 이 모든 문제를 다 해결해버렸습니다만.


KC2008은 KtugCollection 시리즈 마지막 버전으로 그 후 ko.TeX Live에 자신이 하던 일을 물려줍니다.

그러나 KC2008이 가지고 있던 Notepad++, KCmenu와 sumatrapdf를 이용하는 작업환경은 별도로 KC2008plus로 보존되었습니다.

Notepad++가 가진 장점은 분명했습니다. 무엇보다 한글 문서의 인코딩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다는 것이었죠.

인코딩 문제로 골머리를 썩이던 당시, 이 기능은 그야말로 가뭄의 단비같은 거였고요,

특히 sumatrapdf와 함께 우아하게 작동하는 Forward/Inverse Search는 적이 감동적인 바가 있었습니다.


이것저것 다 써봐도 이만한 게 없더라는 분도 계시지만... 제가 알기로 이 환경을 아직도 쓰고 계신 분은 두 분? 세 분?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만,

원래 KC2008plus 프로젝트가 "이 환경은 없애지 말고 남겨두자"는 데서 시작된 것이니만치 굳이 누군가 사용하지 않더라도 2014년 현재도 작동한다는 것은 알려둘 필요가 있겠다 싶어서

KC2008++ 2014를 제작하였습니다.


http://wiki.ktug.org/wiki/wiki.php/KC2008PlusPlus


버전이 alpha인 이유는 정식 버전이 나오려면 KCmenu가 업데이트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 이전까지는 0.1alpha.


=====


2014/11/17일 오후 4시 이전에 설치하셨던 분은 다시 한번 다운로드받아서 실행하십시오.

(예전 KC2008에서 직접 업그레이드는 지원하지 않지만 KC2008++ 2014 자체는 삭제하지 않아도 업데이트가 됩니다.)

에러 발생시 "e"를 입력하면 에러 위치로 이동해주는 기능과 한국어 철자 검사 사전을 추가하였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9 흠.. 만들고 나니.. 나름대로 괜찮은거 같습니다. [14] 불량양파 2016.05.18 5376
568 역시 삽질하면 되는군요.. 그럭저럭이지만...@.@; [15] file 불량양파 2016.04.21 5389
567 페이스북 그룹을 만드는 건 어떨까요? [11] file 김벤젠 2016.07.05 5393
» KC2008++ 2014, notepad++ [9] nanim 2014.11.17 5409
565 최근의 패키지 몇 개 보완 [12] file nanim 2014.06.13 5431
564 레이텍 사용 비율 [1] file yihoze 2016.05.27 5463
563 jiwonlipsum 판올림 [15] file nanim 2014.05.19 5506
562 polyglossia를 이용하는 한국어 조판 [2] nanim 2015.07.27 5509
561 일단 하나의 소스로... 가로/세로 템플릿을 통해 바꿔서 출력하는것까지는 되었습니다. [2] 불량양파 2016.08.05 5528
560 안녕하세요? 이제 막 가입했습니다. 강랭 2017.05.29 5572
559 설연휴 기간중 홈페이지 접속 장애 안내 관리자 2017.02.01 5670
558 callout을 우리말로 옮기자면? [5] yihoze 2015.04.29 5677
557 2017 한국텍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개최 안내​ [1] 이기황​ 2017.01.24 5705
556 무료폰트 고양체 발표 [1] 에드 2016.08.21 5724
555 작업하고 있는 시스템(?) 에서 템플릿 교체 동작까지 확인했습니다. [2] file 불량양파 2016.09.21 5763
554 KNUworkshop2013.sty [4] file nanim 2014.06.25 5774
553 실험적으로 해본겁니다만.. 괜찮네요 결과물이... file 불량양파 2016.11.03 5789
552 흠.... 소 뒷걸음질 치듯이... 어찌어찌 하기는 했네요...-.-; [8] file 불량양파 2016.09.20 5801
551 XeTeX에서 폰트를 쓸 때 가장 주의해야 할 문제 [5] 메타 2017.08.10 5813
550 지금까지 작업한 부분을 정리해서 command 로 만들어 봤습니다. [6] 불량양파 2016.11.04 581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