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자유글 syshan 패키지

2015.08.05 12:18

anony 조회 수:4300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11684&mid=KTUG_QnA_board

위의 글에 한림대학교 심송용 교수가 2002년 경에 작성한 syshan.sty에 대한 얘기가 나와서 잠깐 살펴봤습니다.

일단 그 패키지 자체는 HLaTeX을 수정한 것입니다. kotex-euc마저 obsolete 비슷한 취급을 받고 있는 요즘, 이 패키지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이 패키지가 수정하거나 추가한 사항은 다음 16(+1)가지라고 하네요. 패키지 문서를 첨부했습니다. syshan.pdf

각 케이스를 요즘은 어떤 식으로 할 수 있겠는지 아이디어를 토론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실상 불필요한 것은 (불필요)라고 표시했습니다.


0. 영문 위주 문서에서 "극히 필요한 부분만" 한글 사용을 가능하게

1. abstract와 독립적인 "국문요약"이라는 타이틀(\hangulabstractname)이 붙는 habstract 환경

2. 수식에서 필요한 부분만 굵게하는 \bm

3. 프레임을 치는 minipage, myfbox 환경

4. 갑, 을, 병,... 카운터 수식자 \hangulb와 ㄱ, ㄴ, 가, 나로 머리가 붙는 henumerate 환경

5. 그림 문자 매크로 (그림 참조)

capture1.png



6. \dankitoday. 단기 연도

7. openany 상황에서 짝수쪽이면 이것을 백면으로 만드는 \checkoddpage 명령. (이 명령 이름은 memoir에 있는 것과 헷갈릴 수 있으므로 다르게 고치는 것이 좋겠습니다.)

8. lineheading 페이지 스타일. (코드 참조. 금칙어 때문에 o*d*d*head로 표기하였으므로 별표를 지우세요.)

\def\ps@lineheading{\@twosidetrue\let\@mkboth\markboth

\def\@evenhead{\protect\makebox[0pt][l]{\protect\underline

             {\protect\makebox[\textwidth][l]{\slshape\thepage\hfill\slshape\mj\leftmark}}}}

\def\@o*d*d*head{\protect\makebox[0pt][l]{\protect\underline

              {\protect\makebox[\textwidth][l]

              {\reset@font\slshape\mj\rightmark\hfill\thepage}}}}

\if@english

  \def\chaptermark##1{\markboth{\uppercase{

    \chaptername~\thechapter.  ##1}}{}}

\else

  \def\chaptermark##1{\markboth{\uppercase{

    \ksTHE \thechapter \chaptername.  ##1}}{}}

\fi


\def\@evenfoot{}

\def\@oddfoot{}

\def\sectionmark##1{\markright {\uppercase{ \thesection. \ ##1}}}

\def\subsectionmark##1{}}


9. \section*{참고 문헌}으로 식자하며 chapter 내부에서 쓸 수 있는 thebibliographys 환경

10. 몇 가지 페이지스타일 (불필요)

11. \HLaTeX 로고 명령. (HLaTeX의 것과 동일. 불필요)

12. verbatim 안의 한글 글자체 (불필요)

13. slide 환경의 한글 기본 글자체 (불필요)

14. 절과 소절의 번호 뒤에 마침표.

15. theorem 번호 뒤의 마침표.

16. 까만 색 네모로 된 \qed. (수식과 텍스트에 모두 사용 가능)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7 [종료] 한국텍학회 설립 10주년 기념문집 발간 관련 [11] file 관리자 2016.11.30 6499
626 그럭저럭 또 하나의 Sample pdf 를 만들어 봤습니다. [2] 불량양파 2016.11.23 6959
625 표지에 대한 테스트도 어느정도 됐네요 :D file 불량양파 2016.11.18 5829
624 조금.. 다른 가능성을 찾게 된듯 합니다. file 불량양파 2016.11.18 5830
623 근래에 삽질한걸로 표지 한번 만들어 봤습니다.. [6] file 불량양파 2016.11.16 9434
622 결국 oblivior 는 KNUworkshop 스타일로 모이게 되네요... [4] 불량양파 2016.11.07 20305
621 논문등에서 사용되는 TeX 예제들을 모아서 작업한 분이 있으시네요.. 불량양파 2016.11.07 6089
620 지금까지 작업한 부분을 정리해서 command 로 만들어 봤습니다. [6] 불량양파 2016.11.04 5818
619 실험적으로 해본겁니다만.. 괜찮네요 결과물이... file 불량양파 2016.11.03 5789
618 근래에 본게 좀 있어서.. Layout 테스트를 좀 해봤는데.. [5] file 불량양파 2016.11.01 5853
617 공주대 문서작성 워크숍에 많이 참석해주세요. [7] file Progress 2016.10.25 6869
616 [참가신청] 문서작성워크숍 2016 [10] ischo 2016.10.11 7039
615 테이블 변환도... 거의 완성단계라고 봐도 될거 같습니다. [7] file 불량양파 2016.09.29 5951
614 작업하고 있는 시스템(?) 에서 템플릿 교체 동작까지 확인했습니다. [2] file 불량양파 2016.09.21 5763
613 흠.... 소 뒷걸음질 치듯이... 어찌어찌 하기는 했네요...-.-; [8] file 불량양파 2016.09.20 5801
612 무료폰트 고양체 발표 [1] 에드 2016.08.21 5724
611 일단 하나의 소스로... 가로/세로 템플릿을 통해 바꿔서 출력하는것까지는 되었습니다. [2] 불량양파 2016.08.05 5528
610 GNU Emacs 24.5 버전의 메뉴얼 초벌번역 정리작업이 끝났습니다. [8] 불량양파 2016.08.04 5856
609 혹시 이 사이트에 버그가 있는 것이 아닌지요. [2] 메타 2016.08.03 5285
608 페이스북 그룹을 만드는 건 어떨까요? [11] file 김벤젠 2016.07.05 539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