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자유글 TnXTeX 1.0.6 배포에 관하여

2010.01.14 10:20

karnes 조회 수:20735 추천:1

TnXTeX은 TinyXeTeX의 줄인 말로서 설치없이 즉시 문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XeLaTeX 시스템입니다.

지난번 공주대학교 워크숍과 한국외대, 숭실대 특강에서 TnXTeX을 실습용으로 이미 활용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 날 회원들에게 배포되는 USB에 이 시스템을 넣기로 함에 따라 몇몇 분들의 도움을 받아 엄청난 수정을 가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면모를 일신한 TnXTeX을 1.0으로 릴리스하였습니다.

그 후, xetex-ko의 최근 업데이트를 반영하고 요긴한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다음은 눈에 띄는 수정사항입니다.

  1. TnXTeX을 실행하면 시스템의 트레이 영역에 imtnx라는 셸이 아이콘으로 자리잡습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여 TnXTeX 작업을 시작합니다.
  2. 최신의 TeX Live 2009와 xetexko 최신 버전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3. 실행 속도의 개선에 많은 신경을 썼습니다. 맨처음 실행시의 fc-cache에 걸리는 1--2분은 어쩔 수 없는 것이지만 그 이외의 속도 저하는 거의 체감하지 못할 정도가 되었습니다. 한편, fc-cache가 끝나기 전에도 TeXworks를 열어 문서 작성을 시작할 수도 있게 개선되었습니다. 더구나, 같은 컴퓨터에서라면 두번째 이후의 실행시에는 fc-cache에도 거의 시간이 걸리지 않습니다.
  4. 이전보다 훨씬 많은 패키지를 포함하여 웬만한 문서 작성에 거의 불편을 느끼지 않을 정도가 되었습니다. 그 중에는 pstricks와 같은 패키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5. 전체적으로 상당히 쾌적하고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합니다.
  6. "Check Update" 기능을 포함하여 갱신된 버전이 있으면 업데이트해주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7. CTAN 문서찾기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texdoc과 유사한 방식으로 온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면 바로 원하는 관련 문서를 검색하여 찾아 읽을 수 있게 했습니다.

새로 조성된 TnXTeX은 일단 회원용 USB 형식으로만 배포합니다. 비회원을 위한 공개 버전은 1.0 USB 버전의 테스트, 제작, 배포가 종료된 이후 별도로 공개하게 될 예정입니다. (현재는 기존의 0.6.3 다운로드버전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1.0이 0.x와 제법 많이 다르기 때문에 혹시 시험해보실 분은 1.x의 공개판을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이 알림글은 학술대회 참가를 독려하는 의미도 있습니다. 당일 간단한 TnXTeX 사용법 설명과 시연/실습이 있을 예정입니다. 또한 TnXTeX의 기반인 XeTeX, XeTeX-ko가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시간이 되시는 대로 오셔서 테스트도 해보시고 의견도 제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학술대회의 참가비는 무료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http://conf.ktug.kr/ .


TnXTeX 자체는 일종의 응급도구 내지 보조적 활용을 위한 것입니다만 본격적으로 TeX을 사용해보기 전에 맛보기로도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4 [잡담] 안 되는 게 어딨어? [25] yihoze 2010.03.29 53310
1073 [잡담, 샘플문서, 소스] 러브레터 [9] file karnes 2010.03.09 53234
1072 Lyx에 대해서.. [1] 초보초보 2011.02.24 52672
1071 [잡담] 음성 검색 yihoze 2010.10.10 52532
1070 Lyx 1.6.10 KoreanUCS file [2] file sookibae 2011.05.18 52123
1069 한/글 워드프로세서의 포맷이 공개되었습니다. Kunggom 2010.06.30 50958
1068 windows에서 jbig2을 이용한 pdf만들기 file 샘처럼 2011.07.09 50855
1067 매뉴얼 스타일: 활용 예 [3] file yihoze 2010.03.09 50014
1066 KoPub 서체 공개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인회의 ) [1] 샘처럼 2011.12.27 50010
1065 카스퍼스키가 xetex을 의심하는군요. [3] file Dennis 2011.01.06 49979
1064 한국텍학회 2010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감상문 [3] file sookibae 2010.02.04 49896
1063 회원가입 및 잡담 조군 2011.03.12 49890
1062 한국인쇄문화협회: 바른바탕체, 바른돋움체 에드 2010.11.29 49869
1061 [잡담]역시 구글링이 빠르고 좋군요. [2] Kunggom 2010.04.04 49828
1060 latex 에디터 Gummi 소개입니다. [9] file guest 2011.05.01 48966
1059 저... 왜 이랬을까요.... 후우... [4] 불량양파 2018.11.10 48864
1058 잡담: 텍 문서 번역 [3] yihoze 2010.10.04 48764
1057 [링크]군대워드 요령 연재 -- 1 Kunggom 2010.06.04 48461
1056 수식 조판에서 특정 기호의 표기에 대한 물음 [5] file Progress 2010.11.18 48095
1055 새 사이트를 오픈하였습니다 [3] 관리자 2009.12.19 4807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