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자유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전자법

2015.06.16 00:37

nanim 조회 수:78874 추천:1

별로 관심들은 없으신 것 같지만, 이왕 시작한 얘기니 끝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07243&mid=KTUG_open_board 에 "문제"가 나와 있습니다.

지난 번 글에서 우리는 한글 음절 문자의 초/중/종성 분리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08182&mid=KTUG_open_board )


======


국 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3장 제8항에 나와 있는 규정은, 표기법의 복원을 염두에 둔, 학술적 목적의 로마자 표기법입니다. 이를 "전자법"이라고 한다고 가르쳐주셨습니다. 이것은 한글 자소를 기계적으로 로마자에 대응시키는 것이므로 복잡한 음운현상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서 구현이 쉬운 편에 속합니다.


초/중/종성 각각의 대응 로마자 표기를 clist에 넣는데, 이것은 상수로 취급할 예정입니다. 즉 이 내용이 바뀔 일은 없습니다.


\clist_const:Nn \c_cho_clist
    {g,kk,n,d,tt,l,m,b,pp,s,ss,-,j,jj,ch,k,t,p,h}
\clist_const:Nn \c_jung_clist
    {a,ae,ya,yae,eo,e,yeo,ye,o,wa,wae,oe,yo,u,wo,we,wi,yu,eu,ui,i}
\clist_const:Nn \c_jong_clist
    {0,g,kk,gs,n,nj,nh,d,l,lg,lm,lb,ls,lt,lp,lh,m,b,bs,s,ss,ng,j,ch,k,t,p,h}


종성의 첫 글자는 "없는" 것이므로 '0'으로 넣어두긴 했지만 실제로 사용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지난번 작성한 \SylToLvt를 \split_hangul:n이라는 이름의 함수로 이름만 바꾸고,

한 글자를 전자하는 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cs_new:Npn \to_RR_a_char:n #1
{
%%% 초/중/종 코드를 얻습니다.
    \split_hangul:n #1
%%% 초성의 로마자 표현을 \c_cho_clist에서 얻어내어 \g_output_tl에 넣음
    \tl_gput_right:Nx \g_output_tl {
        \clist_item:Nn \c_cho_clist { \g_cho_int + 1 }
    }
%%% 중성의 로마자 표현을 \c_jung_clist에서 얻어냄.
    \tl_gput_right:Nx \g_output_tl {
        \clist_item:Nn \c_jung_clist { \g_jung_int + 1 }
    }
%%% 종성의 로마자 표현을 \c_jong_clist에서 얻어냄. 종성이 없으면 생략.
    \int_compare:nTF { \g_jong_int = 0 }
    { }
    {
        \tl_gput_right:Nx \g_output_tl {
            \clist_item:Nn \c_jong_clist { \g_jong_int + 1 }
        }
    }
}


=======


이제 단어를 처리할 차례입니다. 아이디어만 소개하면,

  • 인자로 한글 문자열이 들어옵니다.
  • 이 문자열을 토큰리스트(tl)에 넣습니다.
  • tl의 각 아이템에 대하여 반복 작업을 실행하는 mapping함수 \tl_map_inline:Nn을 불러서 출력 문자열을 만듭니다.
  • 완성된 출력 문자열의 첫 문자가 -이면 표기하지 않는다는 규정을 위해 이것을 검사하여 제거하고 출력합니다.

다른 방식의 해법도 얼마든지 있을 것입니다.


아무튼, 이리하여 입력된 문자열의 로마자 전자법 표기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첨부파일을 참고하십시오. RR38.tex


=====


이제 한 번 더 남았습니다. 다음 번에 할 것은 실제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자체를 구현해보는 것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4 최근의 패키지 몇 개 보완 [12] file nanim 2014.06.13 5433
493 KC2008++ 2014, notepad++ [9] nanim 2014.11.17 5411
492 XeLaTeX 한글 문서에서 한자와의 베이스라인 맞추기 karnes 2011.07.06 5410
491 페이스북 그룹을 만드는 건 어떨까요? [11] file 김벤젠 2016.07.05 5393
490 역시 삽질하면 되는군요.. 그럭저럭이지만...@.@; [15] file 불량양파 2016.04.21 5390
489 흠.. 만들고 나니.. 나름대로 괜찮은거 같습니다. [14] 불량양파 2016.05.18 5376
488 세그먼트 명령 file yihoze 2016.06.15 5372
487 xelatex으로 작성한 일본어 문서에 색인달기 DohyunKim 2011.03.28 5363
486 프레임 문단에 관한 잡담 file karnes 2011.12.16 5352
485 첨부파일 초과.. [13] 처음처럼 2014.10.11 5347
484 새로운 한글 폰트(라이센스: OFL) [1] 에드 2014.09.26 5318
483 함초롬바탕 yihoze 2011.01.05 5312
482 함초롬체 2014년 버전이 공개되었네요. [2] 함초롬 2014.10.19 5306
481 [KTUG Rumor] 문서작성 워크숍은 언제? [5] ischo 2014.09.25 5300
480 하나조노 민초 폰트의 글리프 품위 [9] file Progress 2014.10.02 5288
479 혹시 이 사이트에 버그가 있는 것이 아닌지요. [2] 메타 2016.08.03 5285
478 온라인 텍 도구인 Overleaf를 알려봅니다~ [3] 감자돌이 2015.10.10 5284
477 새 페이지에서 시작하는 차례 yihoze 2016.06.02 5262
476 특정 글리프를 가진 글꼴 [12] noname 2020.12.22 5256
475 TeXLive 2011 좀 간단하게 설치하고 쓰기 (Windows) karnes 2011.10.27 524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