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MathJax를 이용한 \(\rm\LaTeX\)수식 조판을 시험중입니다.

  • \[ 수식 \] 의 형태로 글을 넣으시면 수식이 조판되어 화면에 보입니다.
  • 행간 수식은 \( 수식 \) 의 형태로 쓰시면 됩니다.
  • 사용할 수 있는 텍명령은 MathJax 홈페이지를 보시면 됩니다.

아래의 예를 보세요.



 

소스

\[
\left( \sum_{k=1}^n a_k b_k \right)^{\!\!2} \leq
\left( \sum_{k=1}^n a_k^2 \right) \left( \sum_{k=1}^n b_k^2 \right)
\]

결과

\[
\left( \sum_{k=1}^n a_k b_k \right)^{\!\!2} \leq
\left( \sum_{k=1}^n a_k^2 \right) \left( \sum_{k=1}^n b_k^2 \right)
\]



 

소스

\[
\newcommand{\foo}[1]{\biggl(\sum_{k=1}^n #1\biggr)}
\foo{a_kb_k}^{\!\!2} \leq \foo{a_k^2} \foo{b_k^2}
\]

결과

\[\newcommand{\foo}[1]{\biggl(\sum_{k=1}^n #1\biggr)}
\foo{a_kb_k}^{\!\!2} \leq \foo{a_k^2} \foo{b_k^2}
\]



 

소스

\[
\prod_{j\ge0}\biggl(\sum_{k\ge0}a_{jk}z^k\biggr)
=\sum_{n\ge0}z^n\,\Biggl(\sum_
{\scriptstyle k_0,k_1,\ldots\ge0\atop
\scriptstyle k_0+k_1+\cdots=n}
a_{0k_0}a_{1k_1}\ldots\,\Biggr).
\]

결과

\[
\prod_{j\ge0}\biggl(\sum_{k\ge0}a_{jk}z^k\biggr)
=\sum_{n\ge0}z^n\,\Biggl(\sum_
{\scriptstyle k_0,k_1,\ldots\ge0\atop
\scriptstyle k_0+k_1+\cdots=n}
a_{0k_0}a_{1k_1}\ldots\,\Biggr).
\]



 

소스

\[\rm C_6H_6 + 3 H_2 \rightarrow C_6H_{12}\]

결과

\[\rm C_6H_6 + 3 H_2 \rightarrow C_6H_{12}\]

소스

\(\rm\LaTeX\) 의 명령을 행간 수식으로 보시려면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결과

\(\rm\LaTeX\) 의 명령을 행간 수식으로 보시려면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정리하면,

  • 질문이나 답변을 하시기위하여 수식의 소스 코드를 보여주시려면 \[ ]\ 나 \( \)없이 코드만 이곳 게시판에 적어주시면 되고,
  • 조판된 결과를 보여주시려면 수식의 소스코드를 \[ ]\ 나 \( \)로 감싸주시면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3 ipe 맥에서 사용하기 (메뉴얼 설치) [5] serene 2011.10.02 9142
312 [공지] spam 댓글로 발생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초기화면의 게시글 정렬순서를 변경합니다. [3] 관리자 2011.11.21 56087
311 회원가입승인요청 [2] latex장갑 2012.01.18 21579
310 인자를 verbatim으로 찍는 명령 file karnes 2012.01.19 4960
309 Texmaker 3.2.2 update [3] 에드 2012.01.16 33006
308 A4 용지를 꽉 채우는 판면 karnes 2012.01.09 5770
307 KTUG Companion 에드 2012.01.05 27727
306 KTUG 여러분 [3] Progress 2011.12.30 21919
305 한글과컴퓨터 한컴의 오피스뷰어 (Office Viewer) 이용 라이센스 변경 에드 2011.12.28 25394
304 KoPub 서체 공개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인회의 ) [1] 샘처럼 2011.12.27 50009
303 프레임 문단에 관한 잡담 file karnes 2011.12.16 5352
302 킨들 파이어 첫날 소감. [5] 양사장 2011.11.19 39669
301 쓸만한 LaTeX 관련 문서 소개 두텁 2011.11.23 4843
300 고생이 막심 [4] 이윤석 2010.10.28 41781
299 KTUG 10주년 기념 모임 [22] file Progress 2011.10.30 40780
298 텍관리자님 메일 문제 [2] z0nam 2011.11.15 27901
297 TeX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1] 2011.11.03 31521
296 KTUG 10주년을 기념하여, KTUG와 첫 인연이었던 글을 찾아보면? [3] file 샘처럼 2011.11.02 38779
295 사랑하는 progress님.. 아직도 삐치셨나.. ㅡ.ㅜ~ [1] 2011.11.03 37655
294 이쯤에서 다시 읽어보는 옛날 글 ^^ [2] nova de hi 2011.11.01 3604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