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정보글 \sloppy 와 \fussy

2011.04.29 14:05

DohyunKim 조회 수:4756 추천:1

\sloppy 가 뭐하는 놈인지 찾아봤다. LaTeX 에서 \sloppy 는 이렇게 정의돼 있다.

\def\sloppy{%
  \tolerance 9999
  \emergencystretch 3em
  \hfuzz .5pt
  \vfuzz\hfuzz}

\tolerance 가 9999 나 된다. \tolerance 는 텍이 줄바꿈을 시도할 때 문단을 보기 좋게 만드느라 고생하지 않아도 되는 정도를 말한다. 10000 이 무한대에 해당한다. \tolerance=10000 이면 단어간 간격이 아무리 듬성듬성 해도 텍은 전혀 개의치 않고 overfull도 절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9999 라는 값은 단어 간격이 벌어져서 보기 싫게 되더라도 "거의" 신경쓰지 말라는 뜻이다.

\emergencystretch 값이 양의 길이라면, 그리고 문단 정렬이 아무리 해도 예쁘게 되지 않는다면, 텍은 마지막으로 한번 더 줄바꿈 조정을 시도한다. 위의 경우, 각 줄마다 3em 만큼 추가로 공백을 잡아늘일 수 있게 허용한다. 따라서 overfull 이 억제된다. 이유는 잘 모르겠으나 크누스는 overfull 을 억제할 때 \tolerance=10000 을 주지 말고 \emergencystretch 를 조정하라고 권고하고 있다.(The TeXbook, 107쪽)

\hfuzz 와 \vfuzz 는 overfull이 발생하더라도 지시된 값을 초과하지 않는 한 경고를 내보내지 않게 한다. 이건 별로 중요치 않은듯.

LaTeX 은 \sloppy 상태를 다시 기본 설정값으로 되돌리는 명령도 제공한다. \fussy 가 그것이다.

\def\fussy{%
  \emergencystretch 0pt
  \tolerance 200
  \hfuzz .1pt
  \vfuzz\hfuzz}

여하튼 텍의 줄바꿈 알고리듬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다. 그저 \sloppy 는 듬성듬성한 미운 줄바꿈을 허용하는 명령이고 \fussy 는 overfull 의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되도록 예쁘게 줄바꿈하라는 명령 정도로만 아는 데 만족해야겠다.

  • \sloppy : 너무 애쓰지 마라. 대충대충 해도 된다.
  • \fussy : 최선의 결과를 보여다오. 고생 좀 하더라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93 oblivoir클래스 명령어 불러 쓰기. [2] file 큰바위 2020.02.28 3961
892 레이텍 파일 PDF의 '감리?', '리파인?' [7] Kriss 2020.02.26 9052
891 [후기] 2020 한국텍학회 제13차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3] file Progress 2020.02.19 4169
890 텍 박스와 글루 이해하기 [3] 작나 2020.02.19 3837
889 글꼴 효과 [3] file yihoze 2020.02.17 3872
888 윈도우 10 + texlive 2019 설치기 판돌이 2020.02.13 3694
887 oblivoir와 HTML [9] noname 2020.02.10 3741
886 CTAN 홈페이지 (2020년 1월 25일 11:50 현재) [1] file Progress 2020.01.25 3695
885 Noto Serif CJK [3] file yihoze 2020.01.20 4751
884 옛한글 문서를 입력기 없이 [18] file noname 2020.01.19 12854
883 KTUG과 KTS의 회원 정책 yihoze 2020.01.16 3893
882 제주서체와 제주어 입력 [6] file noname 2020.01.14 3835
881 옛 한글 글꼴 문제. [5] file Stoneface 2020.01.11 4617
880 [공지] 2020 한국텍학회 제13차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13] file yihoze 2020.01.10 13294
879 Backus-Naur form (BNF) 문법을 간단히 표시해주는 패키지 [4] file Zeta 2019.12.24 5477
878 2020 한국텍학회 학술대회 발표 공모 [5] yihoze 2019.12.17 4198
877 G21C 국제 언어학 컨퍼런스 yihoze 2019.12.16 4307
876 XeLaTeX으로 고대 이집트어 구현하기 완성. [2] file 김인동 2019.12.15 4165
875 기존 회원이 아닌데 회비를 납부하신 분 [1] yihoze 2019.12.13 129759
874 LaTeX 고대 페르시아어 입력 문제 해결 [4] 김인동 2019.12.13 413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