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자유글 문단의 첫 글자를 크게

2017.08.17 09:48

yihoze 조회 수:7149

문단을 구분짓는 여러 방법들이 있죠. 들여쓰기, 내어쓰기, 행간 띄우기 등. 첫 글자를 크게 식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것을 lettrine 또는 drop cap이라고 부르는가 봅니다.

lettrine.png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kotex}
\usepackage{lettrine}
\setlength\parskip{.5\baselineskip}
\begin{document}
\lettrine{나}{ am} happy to join with you today in what will go down in history as the greatest demonstration for freedom in the history of our nation.
\par \lettrine{F}{ive} score years ago, a great American, in whose symbolic shadow we stand today, signed the Emancipation Proclamation. This momentous decree came as a great beacon light of hope to millions of Negro slaves who had been seared in the flames of withering injustice. It came as a joyous daybreak to end the long night of their captivity.
\par \lettrine{B}{ut} one hundred years later, the Negro still is not free. One hundred years later, the life of the Negro is still sadly crippled by the manacles of segregation and the chains of discrimination. One hundred years later, the Negro lives on a lonely island of poverty in the midst of a vast ocean of material prosperity. One hundred years later, the Negro is still languished in the corners of American society and finds himself an exile in his own land. And so we've come here today to dramatize a shameful condition.
\end{documen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4 새 사이트를 오픈하였습니다 [3] 관리자 2009.12.19 48071
1133 [공지] 한국텍학회 회원들께 알립니다. 관리자 2009.12.19 65910
1132 새 홈페이지 개장을 축하합니다. Karnes 2009.12.19 44195
1131 와우. 드디어! Dennis 2009.12.19 42573
1130 DNS관련 알림 Karnes 2009.12.19 40758
1129 여러분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이기황 2009.12.19 40777
1128 [공지] 한국텍학회 회원들께 안내메일을 발송했습니다 ChoF 2009.12.20 40517
1127 브라우저별 특성 [10] Karnes 2009.12.20 39406
1126 홈페이지 통합 개편에 즈음하여 조인성 2009.12.20 37038
1125 2010 한국텍학회 학술대회 사전등록 Progress 2009.12.21 30052
1124 [공지] 한국텍학회 회원들께 3차 안내메일을 발송했습니다. [1] ChoF 2009.12.22 35191
1123 minipage의 parskip이 tikz에 미치는 영향 [1] 이호재 2009.12.23 39654
1122 [공지] ko.TeX Live 2009 발표 [9] MadToad 2009.12.23 150475
1121 시작페이지의 게시판 최근 글 보기에 대한 의견을 구함 [17] karnes 2009.12.24 36715
1120 [묻고 답하기] 게시물의 글꼴 [2] file Progress 2009.12.24 38867
1119 RevTeX에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karnes 2009.12.24 37641
1118 IE6에서 우리 홈페이지를 보니 [1] file Progress 2009.12.26 32762
1117 [참여요청] faq wiki의 사용 방식에 관하여 Karnes 2009.12.27 30504
1116 KTUG 사이트의 베스트 게시물은 어떤 것인가요? [6] Karnes 2009.12.30 32393
1115 [홈페이지] 설치 페이지에서 [1] file Progress 2009.12.30 2750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