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polyglossia 환경에서 여러 언어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영어가 주 언어입니다.
아래 소스를 컴파일해보면
1쪽, 4쪽의 머릿말이 영어의 mainfont로 잘 나오는데 반해
2쪽, 3쪽의 머릿말이 한글 글꼴에 포함된 영어 글리프로 나타납니다.

전체가 다 영어의 mainfont로 나오면 좋겠습니다.

Windows10 x64 eng, XeLaTeX을 사용합니다.



%%%%%%%%%%%%%%%%%%%%% MWE %%%%%%%%%%%%%%%%%%%%%%%
 

%!TEX TS-program = xelatex
%!TEX encoding = utf-8
%!TeX spellcheck = en_US

\documentclass[12pt]{article}
\usepackage{fancyhdr}
\usepackage{fontspec}
    \defaultfontfeatures{Ligatures=TeX}
    \setmainfont[Mapping=tex-text,Scale=1,Ligatures=TeX,]{ztm}

\usepackage{polyglossia}
    \setmainlanguage{english}
    \setotherlanguage{korean}

\newfontfamily\koreanfont
    [Mapping=tex-text,Script=Hangul,Language=Korean,]
        {KoPubWorld Batang_Pro Medium.otf}

\begin{document}
\fancyhead[C]{Header Center}
\pagestyle{fancy}
This page has a header of normal font.
\clearpage
\begin{korean}
    
    영어를 주로 하고 여러 언어를 사용하여 글을 쓰고 있습니다.
    
    한국어(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도 마찬가지로)를 여러 쪽에 걸쳐 쓰면 머릿말의 영어가 한글 글꼴에 포함된 글리프로 달라집니다.
    
    작년 5월에 마지막으로 컴파일 했을 때 안 그랬는데요.
    
    \pagebreak
    
    한국어(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도 마찬가지로)를 여러 쪽에 걸쳐 쓰면 머릿말의 영어가 한글 글꼴에 포함된 글리프로 달라집니다.
    
    작년 5월에 마지막으로 컴파일 했을 때 안 그랬는데요.
    
    \pagebreak
    
    여기는 또 기본 글꼴로 표현됩니다.
    
\end{korean}
\end{documen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Minimal Working Example을 첨부해주세요 [4] nanim 2015.06.23 230465
74 부산체 글꼴을 쓰고 싶습니다. [9] puzzlist 2023.08.24 338
73 TeXLive 2023업데이트후 \hangulfontspec{ }에 한글글꼴이름 인식문제 [4] 구름이 2023.05.28 357
72 xelatex 글꼴 배제 질문 [6] 텍사랑 2023.05.06 202
71 맥용 texlive2023의 xelatex에서 은바탕글꼴을 못 불러들입니다. [3] file 낯선사람 2023.04.23 225
70 lualatex oblivoir 나눔글꼴 띄어쓰기 문제 [4] file ㅍㅅㅍ 2022.04.08 1478
69 문화부글꼴 hangulfontset 관련과 그밖의 문의 [10] file 텍사랑 2021.10.30 862
68 XeLaTeX과 kotex을 사용할 때 생기는 italic 글꼴에서의 warning [3] 산도깨비 2021.09.28 955
67 한글 글꼴 인식에 대한 질문 [9] file 큰바위 2021.08.30 1082
66 수학 논문을 한글로 쓸 때 정리 내부 글꼴을 무엇으로 하는 게 맞나요? [7] file 위대한 서씨 2014.12.02 8106
65 Arial 수식 글꼴에 대하여 [2] file 큰바위 2021.05.15 1397
64 texworks 실행할 때마다 글꼴과 크기 초기화를 해결하는 방법 [7] 박상 2021.04.14 1546
63 글꼴에는 있는 글자가 잘 출력되지 않습니다. [7] file teolsuk 2021.04.13 1396
62 한글과 로마자를 함께 사용하는 문서의 숫자 글꼴 식자 문제 [1] file 산도깨비 2021.03.16 1583
61 TeXworks 편집 글꼴 설정 방법 문의 [3] 라택쟁이 2020.09.13 2058
» polyglossia 환경에서 fancyhdr의 글꼴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 [4] 이기문 2020.09.18 1901
59 XeLaTeX의 글꼴 선택에 문제 [4] fontspec 2020.09.07 2752
58 sectsty에서 글꼴 크기 변경 (kotex 사용시 한영 폰트 크기 설정 방법) [4] file Kotex 2020.08.26 4514
57 xetex.ko 에서 장음기호 (ː) 출력할 수 있는 글꼴 [5] 주이안 2020.08.12 2102
56 한글 글꼴 관련 질문입니다. [4] file Pi 2020.02.07 2126
55 xetexko 한,중,일 다른 글꼴 쓰기 질문 [9] file 큰바위 2020.01.17 8315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