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이 글을 질문에 올려야  하는 것인지 망설이다가 자유글에 올립니다.

xetexko를 사용할 때 유용한 기능중 한 가지인 fallbackhanja를 정의하여 사용하여 왔습니다. 사용된 경우는 없었지만 마음에 평화를 얻을수 있으니까요. 대략 코드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 !TeX program = xelatex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xetexko} % or kotex
\usepackage{jiwonlipsum}
\defaultfontfeatures{Ligatures=TeX, % Mapping = tex-text,
                     Renderer=OpenType,
                     BoldFont=NotoSansCJKkr-Regular.otf,
                     }
\setmainhangulfont{NotoSansCJKkr-Light.otf}[Script=Hangul, Language=Korean]
\newfontfamily{\fallbackhanjafont}{HANDotum-LVT.ttf}[Color=FF4040]
\pagestyle{empty}
\begin{document}

\jiwon

\end{document}

그런데 이 코드가 2024년 5월 초순경 TeX Live 업데이트후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나기 시작하였습니다.

[c:\temp\tmp\test]xelatex receipt.tex
This is XeTeX, Version 3.141592653-2.6-0.999996 (TeX Live 2024) (preloaded format=xelatex)
 restricted \write18 enabled.
entering extended mode
(./receipt.tex
LaTeX2e <2023-11-01> patch level 1
L3 programming layer <2024-04-11>
(c:/bin/TeXLive/2024/texmf-dist/tex/latex/base/article.cls
Document Class: article 2023/05/17 v1.4n Standard LaTeX document class
... 중략 ...
(c:/bin/TeXLive/2024/texmf-dist/tex/latex/fontspec/fontspec.sty
... 중략 ...
(c:/bin/TeXLive/2024/texmf-dist/tex/latex/jiwonlipsum/jiwonlipsum.sty)

! Package fontspec Error:
(fontspec)                The font "HANDotum-LVT" cannot be found; this may
(fontspec)                be but usually is not a fontspec bug. Either there
(fontspec)                is a typo in the font name/file, the font is not
(fontspec)                installed (correctly), or there is a bug in the
(fontspec)                underlying font loading engine (XeTeX/luaotfload).

For immediate help type H .
 ...

l.10 ...hanjafont}{HANDotum-LVT.ttf}[Color=FF4040]

?

무엇이 문제인지 찾으려 이것 저것을 빼고 넣어보던 중 defaultfontfeatures 에서 BoldFont를 빼면 이상없이 동작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defaultfontfeatures{Ligatures=TeX, % Mapping = tex-text,
                     Renderer=OpenType,
                     % BoldFont=NotoSansCJKkr-Regular.otf,
                     }
... 중략 ...
\newfontfamily{\fallbackhanjafont}{HANDotum-LVT.ttf}[Color=FF4040]

혹은 fallbackhanj에 Bold용 글꼴을 지정하여 주거나요.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kotex}
\usepackage{jiwonlipsum}
\defaultfontfeatures{Ligatures=TeX, % Mapping = tex-text,
                     Renderer=OpenType,
                     BoldFont=NotoSansCJKkr-Regular.otf,
                     }
\setmainhangulfont{NotoSansCJKkr-Light.otf}[Script=Hangul, Language=Korean]
\newfontfamily{\fallbackhanjafont}{HANDotum-LVT.ttf}[Color=FF4040, BoldFont=HANDotumB-LVT.ttf]
\pagestyle{empty}
\begin{document}

\jiwon

\end{document}

대략 defaultfontfeat로 BoldFont로 OpenType 글꼴을 넣어 두었는데, fallbackhanja에는 TrueType font만 지정하였으니, newfontfamily로 fallbackhanja를 새로운 fontamaily지정하면서
기본 글꼴에는 TrueType으로 넣고
Bold 글꼴에는 OpenType으로
석여서 문제가 된 것으로 추측하였습니다. ( 글꼴 이름을 부르는 방식에 따른 차이등은 생각하여 보지 않았습니다. )

그래서 fallbackhanja에도 BoldFont로 TrueType을 지정하니 문제는 넘어갑니다.

OpenType 과 TrueType 글꼴을 섞어서 쓰시는 경우 혹시 저와 같은 문제를 만나시면 참조하시라고 기록을 남겨 둡니다.

( 저처럼 미련하게 쓰시지 말라는 의미가 더 큽니다만... 혹시 OpenType + TrueType은 될 까하여 
\setmainhangulfont{NotoSansCJKkr-Light.otf}[Script=Hangul, Language=Korean, BoldFont=HANDotumB-LVT.ttf] 처럼 넣어 보니 NotoSansCJKkr-Light 글꼴을 찾을 수 없다고 나옵니다. ^^  )

---

fontspec이 2.9c에서 2.9e로 업데이트되면서 해당 문제가 없어졌다고 하여 "자유글"에서 "QnA"로  옮깁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Minimal Working Example을 첨부해주세요 [4] nanim 2015.06.23 230514
» xelatex에서 fallbackhanja를 사용할 경우 fontspec2.9c이라면 확인하여 보셔야 할 것 [3] likesam 2024.05.15 110
117 부산체 글꼴을 쓰고 싶습니다. [9] puzzlist 2023.08.24 338
116 R 마크다운를 PDF로 저장하려고 하는데 오류가 계속 뜹니다 [17] R초보자 2022.03.24 5022
115 xelatex 글꼴 배제 질문 [6] 텍사랑 2023.05.06 202
114 Overleaf에서 폰트 설정을 여쭙고 싶습니다. [5] 0408 2023.03.26 1408
113 산돌폰트의 설치 관련 [8] file 판돌이 2022.11.24 846
112 kotex 한자의 bold처리를 문의드립니다. [6] 도토리토 2022.11.10 12189
111 한글Markdown문서로 pdf 생성할 때 kotex 설정하는 방법(Sphinx, ReadtheDocs 환경) [4] jspaik 2022.10.05 336
110 lualatex oblivoir 나눔글꼴 띄어쓰기 문제 [4] file ㅍㅅㅍ 2022.04.08 1480
109 문화부글꼴 hangulfontset 관련과 그밖의 문의 [10] file 텍사랑 2021.10.30 862
108 XeLaTeX과 kotex을 사용할 때 생기는 italic 글꼴에서의 warning [3] 산도깨비 2021.09.28 955
107 한글 글꼴 인식에 대한 질문 [9] file 큰바위 2021.08.30 1084
106 수학 논문을 한글로 쓸 때 정리 내부 글꼴을 무엇으로 하는 게 맞나요? [7] file 위대한 서씨 2014.12.02 8226
105 \newcommand 에 대해 좀 여쭤보고 싶습니다... [1] 진가향 2021.05.28 1400
104 Arial 수식 글꼴에 대하여 [2] file 큰바위 2021.05.15 1398
103 texworks 실행할 때마다 글꼴과 크기 초기화를 해결하는 방법 [7] 박상 2021.04.14 1549
102 글꼴에는 있는 글자가 잘 출력되지 않습니다. [7] file teolsuk 2021.04.13 1396
101 XeLatex에서 한글 폰트 불러오지 못하는 문제 [2] file 바보사랑 2021.04.11 1615
100 한글과 로마자를 함께 사용하는 문서의 숫자 글꼴 식자 문제 [1] file 산도깨비 2021.03.16 1586
99 한영이 섞인 글에서 영어 위치 들어올리기 [5] file 텍린이 2020.12.25 834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