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정보글 폰트에 포함된 글자들 보기

2020.03.27 09:31

yihoze 조회 수:3892

전에 만들었던 것에 하자가 있어서 좀 개선했습니다.

두 가지 명령을 만들었습니다. 하나는 슬롯 번호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는 유니코드 포인트를 기준으로 글자들을 뽑아냅니다. 슬롯이란 글자 하나가 들어있는 방의 번호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ShowGlyphsBySlot{폰트 이름}[슬롯 시작 번호](끝 번호)
\ShowGlyphsBySlot{Noto Serif CJK KR}[10](1000)

여기에서 번호는 10진수입니다. 번호가 지정되지 않으면 슬롯 수를 알아내어 처리합니다. 슬롯 번호와 함께 그 글리프의 유니코드가 무엇인지 알아낼 수 있으면 좋겠는데 xetex 매뉴얼을 살펴봤지만 그런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ShowGlyphsByUnicode{폰트 이름}{유니코드 시작 번호}{끝 번호}
\ShowGlyphsByUnicode{Noto Serif CJK KR}{0020}{FFFF}

여기에서 번호는 16진수입니다. 

NotoCJKKR_glyphs.png

"씗" 같은,  쓰이지 않지만, 현대 한글 자모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글자들이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새삼스레 자랑스럽기도 하고 낭비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93 oblivoir클래스 명령어 불러 쓰기. [2] file 큰바위 2020.02.28 3961
892 레이텍 파일 PDF의 '감리?', '리파인?' [7] Kriss 2020.02.26 9052
891 [후기] 2020 한국텍학회 제13차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3] file Progress 2020.02.19 4169
890 텍 박스와 글루 이해하기 [3] 작나 2020.02.19 3837
889 글꼴 효과 [3] file yihoze 2020.02.17 3872
888 윈도우 10 + texlive 2019 설치기 판돌이 2020.02.13 3694
887 oblivoir와 HTML [9] noname 2020.02.10 3741
886 CTAN 홈페이지 (2020년 1월 25일 11:50 현재) [1] file Progress 2020.01.25 3695
885 Noto Serif CJK [3] file yihoze 2020.01.20 4751
884 옛한글 문서를 입력기 없이 [18] file noname 2020.01.19 12854
883 KTUG과 KTS의 회원 정책 yihoze 2020.01.16 3893
882 제주서체와 제주어 입력 [6] file noname 2020.01.14 3835
881 옛 한글 글꼴 문제. [5] file Stoneface 2020.01.11 4617
880 [공지] 2020 한국텍학회 제13차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13] file yihoze 2020.01.10 13294
879 Backus-Naur form (BNF) 문법을 간단히 표시해주는 패키지 [4] file Zeta 2019.12.24 5477
878 2020 한국텍학회 학술대회 발표 공모 [5] yihoze 2019.12.17 4198
877 G21C 국제 언어학 컨퍼런스 yihoze 2019.12.16 4307
876 XeLaTeX으로 고대 이집트어 구현하기 완성. [2] file 김인동 2019.12.15 4165
875 기존 회원이 아닌데 회비를 납부하신 분 [1] yihoze 2019.12.13 129759
874 LaTeX 고대 페르시아어 입력 문제 해결 [4] 김인동 2019.12.13 413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