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새로운 환경에서 일하다 보니 약간의 문화적 충격을 겪게 됩니다.

인디자인이란 놈이 보아 하니 여러 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일러스트레이터 같은 것이더군요. 그러니까 페이지를 하나씩 추가하면서 글 상자를 앉히는 것이지요. (쿽도 마찬가지인가요?)

편집이 다 끝난 상태에서 중간에 반 페이지 정도 내용을 추가하여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동으로 내용들이 뒤 페이지들로 밀려 내려가는지 궁금해서 물어봤습니다.

그랬더니 아무렇지도 않게, 그냥 중간에 새 페이지를 하나 추가한다고 하네요.

홈쇼핑 목록 같은 것이라면 몰라도, 전통적인 조판술을 중시하는 출판사에서 이것으로 작업한다면 좀 수고로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다가 문득 활판 시절에는 어떻게 했을까 궁금해졌습니다. 한 400 번 판 정도 만들어서 찍었는데 100 번 판에 한 단락이 더 들어가거나 빠져야 한다고 한다면... 아예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작업을 했겠지요? 만약 이런 일이 생긴다면 색인과 차례도 다시 만들어야 하잖아요? 활판 시절에도 색인과 차례를 만들었는지 모르겠지만요.


텍에서도 페이지 브레이크 개념을 없애버리면, 좋아하는 사람이 더 많을까요, 싫어하는 사람이 더 많을까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6 한글 카운터 [1] file yihoze 2020.06.30 3699
275 CTAN 홈페이지 (2020년 1월 25일 11:50 현재) [1] file Progress 2020.01.25 3699
274 윈도우 10 + texlive 2019 설치기 판돌이 2020.02.13 3694
273 다가 올 파이데이를 미리 기념하며 [17] file 작나 2015.03.05 3692
272 lshort 원저자에게 메일을 받았어요. [1] 세벌 2015.05.16 3691
271 함초롬 바탕 LVT의 "키보드" 부호 [5] file noname 2020.10.15 3657
270 추억의 문서: 반곡으로 돌아가는 이원을 보내며 [2] file Progress 2020.05.04 3635
269 lshort가 새 버전이 나왔군요 [1] Dennis 2015.01.04 3635
268 메뉴얼을 올리고 싶은데..용량 초과인데.. [6] 처음처럼 2015.01.17 3628
267 에헤헤헤 재가입 했습니다. [2] 불량양파 2015.01.10 3623
266 LaTeX로 멋진 출판을 할 수 있는 편집자를 모십니다. kyungmoon 2021.03.23 3615
265 명령 스무 개만 알면 [9] nanim 2015.06.14 3612
264 파이 데이 기념? [6] file nanim 2015.03.06 3584
263 왜 우리는 tikz 따위에 더 이상 열광하지 않는가? [5] yihoze 2015.06.15 3583
262 한글 TeX 사용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 예노바르가 2015.06.15 3580
261 대화형 인용문에 대하여 [4] file noname 2020.10.28 3558
260 김 군 [9] yihoze 2015.06.12 3544
259 제가 좀 까칠하기는 하죠? [3] 세벌 2015.06.08 3537
258 Mediawiki의 mediawiki2latex [1] file 한힘찬 2020.03.09 3513
257 574돌 한글날, 발표된 글꼴들 [1] likesam 2020.10.09 350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