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org, .io,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google.com, sil.org, github.com,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kotexlive2012에 새 폰트를 인식시키는 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2013.08.11 21:26
1. 맥에 TeXlive2013을 깔고 kotex2013를 깔아서 XeLaTeX로 TeX파일을 컴파일을 할려는데 글자체가 이상하게 나오네요!!!
kotexlive2012의 mainfont, mainhangulfont, mainhanjafont가 뭔지 좀 가르쳐 주십시오!!!
2. WindowsXP에 kotexlive2012를 깔아 쓰는데 맥용 LucidaGrande.dfont와 KozMinPro_*.opentype폰트를 윈도우에 깔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되나요??? 고수님들의 상세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댓글 40
-
gromov
2013.08.12 02:57
-
자유인64
2013.08.12 16:16
맥에는 TeXlive2013을 깔고 kotex2013을 깔아서 쓰고 있고 윈도우에는 kotex2012일괄처리파일을 깔아서 쓰고 있읍니다.
그런데 맥에서 XeLaTeX를 이용해서 소스 파일을 컴파일 하니까 한글과 한자 글꼴이 pdflatex로 컴파일 했을 때와 다르게 나타납니다.
또 pdflatex에서는 히브리어를 컴파일하지 못하네요!
그리고 윈도우에서는 한자폰트가 pdflatex를 이용했을 때와는 달리 XeLaTeX와는 달리 너무 가늘게 나와서 해결책을 찾고 있읍니다.
kotexlive2012의 mainfont, mainhangulfont, mainhanjafont가 뭔지 좀 가르쳐 주십시오!!!
그리고 KozMinPro_*.opentype와 LucidaGrande.dfont를 쓰고 싶은데 폰트를 인식시키는 법을 모릅니다.
돠와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소스파일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그로몹
2013.08.13 01:08
제 컴에 있는 폰트 이름은 다음과 같군요.
\setmainhanjafont{Kozuka Mincho Pro EL}
맥이면 서체관리자에서 이름이 보이고요. 자세한 사항은
fc-list
명령을 내려 보면 보입니다.
-
anonymous
2013.08.12 23:19
아마도 main hangul font와 hanja font 는 은글꼴일듯 합니다.
글꼴 설치는 조금만 검색하여 보셔도 나올 텐데요.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61216#comment_161392 를 보세요.
-
자유인64
2013.08.13 13:13
은글꼴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setmainfont, setmainhangul, setmainhanja에 어떻게 넣어줘야 하나요???
그리고 윈도우에서 opentype폰트를 ~/texmf-local/fonts/opentype 디렉토리에 넣고 fontcache를 해도 인식을 못하는 것 같습니다!
좀 더 상세히 가르쳐 주십시오. 부탁드립니다!!!
-
에드
2013.08.13 14:25
일단 터미널(명령프롬프트)에서 tecdoc xetexko 명령으로 매뉴얼을 보시는 좋을 거 같습니다.
-
샘처럼
2013.08.13 18:02
- 은글꼴
- faq의 은글꼴 ( http://faq.ktug.org/faq/%C0%BA%B1%DB%B2%C3 ) 을 참조하세요.
- setmainfont 등,
- xelatex을 사용하신다고 보고, > texdoc xetexko 를 하셔서 xetex-ko의 매뉴얼을 먼저 읽어 보세요.
- font설치 fontcache
- 위의 Link가 쉽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 좀더 상세히 말씀드리면, http://faq.ktug.org/faq/TDS 에 맞춰서 localtexmf ( http://faq.ktug.org/faq/LocalTexmfTree ) 에 fonts/opentype 디렉토리를 만든 후, 여기에 글꼴을 복사하여 넣고, fontcache ( fontcache.bat를 실행하거나, fc-cache 를 실행 ) 하시는 쉬운 과정을 거치시면 됩니다. 여기서 안된다면, 뭔가 글꼴이 잘못 되었거나, 다른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 글꼴이 설치되었는지는 fc-list 를 하여 보시면 됩니다.
-
자유인64
2013.08.14 14:36
답변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됐읍니다!!!
그런데 여전히 맥에서 XeLaTeX를 이용해서 소스 파일을 컴파일 하니까 한글과 한자 글꼴이 pdflatex로 컴파일 했을 때와 다르게 나타납니다.
xelatex에서 pdflatex와 같은 mainfont, mainhangulfont, mainhanjafont를 쓸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신속한 도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샘처럼
2013.08.14 18:58
pdflatex으로 컴파일 한 문서의 사용한 글꼴을 pdffonts 명령을 이용하여 알아내신 후, 알아내신 글꼴로 글꼴을 설정하시면 됩니다.
> pdffonts foo.pdf
-
자유인64
2013.08.14 21:51
정말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한가지 더 여쭙고 싶은 것은 xelatex나 pdflatex에서 part나 chapter, 그리고 section 등의 글꼴 크기를 조정할려면 어떻게 하면 되는지도 좀 가르쳐 주시면 고맙겠읍니다!!!
-
그로몹
2013.08.14 22:04
part, chapter, section등의 글꼴 선택과 크기는 사용하시는 클래스 파일마다 따로 지정된 것입니다.
따라서 그 클래스의 정의를 살펴보셔야 합니다.
만일 memoir 클래스를 쓰신다면 (kotex의 (x)oblivoir 클래스는 기본으로 memoir를 부릅니다)
이 경우에 chapterstyle 등을 정의하시면서 제목의 여러 부분을 원하시는 모양으로 디자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memoir 클래스의 매뉴얼을 따라 하셔야 합니다.
매뉴얼은 다음 명령으로 보십시요.
$ texdoc memucs
한글 용으로 oblivoir 클래스에 사용하실 수 있는 미리 정의된
ob-chapterstyle.sty 라는 파일을 찾아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
샘처럼
2013.08.14 22:27
위에서 gromov님께서 말씀하신 것 처럼, class와 style을 따라 갑니다.
memior 혹은 (x)oblivoir 를 사용하신다면 gromov 님께서 말씀하신 memoir의 설명서를 보시고, 올려두신 .tex과 같이 book class를 사용하신다면 FAQ의 장절명령 ( http://faq.ktug.org/faq/%C0%E5%C0%FD%B8%ED%B7%C9 ) 을 보세요.
그 이전에, http://faq.ktug.org/faq/lshort-kr 과 같은 기본적인 LaTeX 명령들을 공부하시는 것이 좋으실 듯 합니다.
-
자유인64
2013.08.16 14:18
book.cls에서 part와 chapter의 폰트 크기를 LARGE를 huge로, Huge를 LARGE로 바꾸어 보아도 part와 chapter의 폰트 크기가 바뀌지 않읍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그리고 munus-manual.tex파일을 구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되나요???
-
자유인64
2013.08.17 16:04
book.cls에서 part와 chapter의 폰트 크기를 LARGE를 huge로, Huge를 LARGE로 바꾸니까 part는 글자 크기가 줄어드는데 chapter는 전혀 바
뀌지가 않읍니다!!! 제 book.cls파일을 첨부합니다. 어디를 어떻게 바꿔야 chapter의 글자 크기를 줄일 수 있는지 도와주십시오!!!
-
샘처럼
2013.08.18 10:48
book class는 latex이 설치되어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나 있기에 올려주실 필요도 없습니다. 그리고,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Book.cls를 직접 고치시는 것은 다른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권장되지도 않을 듯 합니다.
http://www.ctan.org/pkg/sectsty 를 참조하여 보세요. ( 참, 저는 이것을 사용하여 보지 않았기에, xelatex 이나 한글 환경에서 어떤 문제가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에 관련되어서는 이곳을 찾아 보시면 답을 더 구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구글에서 sectsty site:ktug.org 정도로만 검색하여 보셔도 될 것입니다.
-
자유인64
2013.08.18 16:40
book.cls에서 part와 chapter의 폰트 크기를 Huge와 huge를 LARGE로 바꾸니까 part는 글자 크기가 줄어드는데 chapter는
글자 크기가 바뀌지가 않읍니다! 어디를 어떻게 바꿔야 chapter의 글자 크기를 줄일 수 있는지 다시 한번 간곡히 도움을
청하는 바입니다!!! 왜냐하면 chapter가 너무 많아서 일일이 손을 보기가 어려웁고 또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잘 몰라서
그러합니다. 도와주십시오!!!
추신: 제 tex파일과 book.cls파일을 첨부합니다!
-
관리자
2013.08.18 17:03
book.cls는 LaTeX에 기본으로 설치되는 화일이므로, 굳이 올리실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여 삭제합니다.
가급적 화일을 올리실 때에는 압축을 하여 화일 용량을 줄여서 올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샘처럼
2013.08.18 17:13
sectsty package를 참조하세요.
\usepackage{sectsty}
\partfont{\LARGE}
\chapterfont{\LARGE} -
자유인64
2013.08.18 20:24
관리자님 죄송합니다! 그리고 샘처럼님께는 감사를 드립니다!!!
그런데 문제는 partfont를 이용하면 글자 크기를 자유자재로 줄일 수 있는데,
chapterfont는 전혀 그 기능을 못합니다!!!
이로보아 kortex2012의 book.cls나 sectsty.? 파일에 이상이 있는 듯합니다!!!
-
그로몹
2013.08.18 21:29
올려주신 파일을 보니 한글 관련 세팅을 두 번 불러주셨어요.
먼저
\usepackage{xetexko}
그리고 나중에
\usepackage[utf,hangul]{kotex}
이 가운데 두 번째 것을 지워주시면 잘 작동합니다.(xelatex 으로 컴파일)
이상하게 앞의 것을 지워주면 저는 파트 글꼴 사이즈가 변하지 않네요.
이것은 고수분들이 확인해 주셔야 할 듯.
-
자유인64
2013.08.18 22:25
그로몹님, 먼저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저는 \usepackage[utf,hangul]{kotex}를 지워도 chapter의 글꼴 크기가 변하지 않네요ㅠㅠ!!!
그로몹님께서는 part글꼴 사이즈가 변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혹 book.cls파일을 수정하셨다면 어떻게 수정하셨는 지
좀 가르쳐 주십시오. 부탁드리겠읍니다!!!
그리고 고수님들 제발 좀 도와주십시오, 간곡히 부탁드리겠읍니다, 꾸벅!!!
-
그로몹
2013.08.19 00:35
book.cls 파일은 손대지 않았어요.
그냥 샘처럼님의 secsty 을 사용했습니다.
제 텍은 2013으로 업되어 있어요.
하지만 book.cls는 별로 변했을리가 없고요.
kotex은 변화가 있을 것 같아요.
혹시 모르니까 texlive 2013과 kotex 2013으로 바꾸어 보시는 것은 어떠실지.
저는 kotex을 남겨두고 xetexko를 지우면 한쪽이 제대로 안 들어요.
그런데 kotex은 지난 몇 개월 사이에 많은 것이 변했으니까
혹시 그런 차이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
샘처럼
2013.08.19 09:07
저도 book.cls 는 고치지 않았으며, TeXLive 2013 + ko.TeX 환경입니다.
chapter, part 글꼴 크기가 모두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book.cls는 손대지 않았습니다. ( book.cls는 손대지 않는 것이 당연한 것입니다. )
첨부 화일을 보시면, 글꼴의 크기가 바뀌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어쩌면, 고치셨다는 book.cls가 원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듭니다만, Book.cls만을 원래대로 고쳐두는 것으로 문제가 해결될 것인지도 의문입니다.
-
자유인64
2013.08.19 20:35
저도 맥에는 texlive2013에 kotex를 깔아씁니다. 그런데 문제는 2013에서는 한글과 한자 등의 font를 달리하면 microtypography가
깨진다는데 문제가 있읍니다!!! 그런데 texlive2012는 그런면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2012가 2013보다 글자간의 간격
등이 훨씬 보기에 좋아보이는 것 같아서 2012를 고집했는데(2013은 2012보다 조밀함) 근본적으로 book.cls 등을 고치지 않으면
문제가 해결될 것 같지 않아 보입니다! 앞으로 KTUG에서 좀 더 신경을 쓰셔야 할 부분인 것 같습니다!!!
그 동안 답변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정말 많은 것을 배웠고 많은 도움이 됐읍니다!!!
다음에도 많은 도움을 부탁드리겠읍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
Progress
2013.08.19 21:21
흥미롭습니다.
문제는 2013에서는 한글과 한자 등의 font를 달리하면 microtypography가 깨진다는데 문제가 있읍니다!!! 그런데 texlive2012는 그런면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2012가 2013보다 글자간의 간격 등이 훨씬 보기에 좋아보이는 것 같아서 2012를 고집했는데(2013은 2012보다 조밀함) 근본적으로 book.cls 등을 고치지 않으면 문제가 해결될 것 같지 않아 보입니다!
조판 결과가 달리 나오는 TL2012과 TL2013으로 컴파일한 pdf 파일, 그리고 사용하신 텍 소스 파일을 좀 올려주시겠습니까? (총 세 개의 파일이겠네요)
마이크로타이포그래피가 microtype 패키지가 구현해주는 font expansion(글리프 스케일링이라고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문장부호가 판면의 시작점, 또는 끝점에 위치할 때 판면 밖으로 살짝 내보내는 문장부호 매달기(hanging punctuation 또는 character protrusion) 기능을 가리키는 것이라면, 제가 알기로 이 기능은 현재 pdftex과 luatex에서만 가능합니다. xetex에서는 hanging punctuation만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김도현 선생님께서 만드신 xetexko에서도 관련 부분, 즉 xetexko-hanging 패키지를 얹은 다음, 폰트 설정 이후에 \hangingpunctuation 선언을 함으로써 가능하다고 언급하였고요.
마이크로타이포그래피가 일반적인 폰트 운영, 즉 자간, 장과 평, 어간 등을 지칭하는 것이라면, TL2012 저장소에서 제공하는 kotex과 TL2013 저장소에서 제공하는 kotex의 기본값에 차이가 있는지 한번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물론 여기서 kotex은 xetexko를 말합니다.
-
자유인64
2013.08.20 12:47
Progress님께서 말씀하신 자료를 올립니다.
첨부된 자료에서 2012는 TL2012_WindowsXP에서 컴파일한 것이고 2013은 TL2013_mac에서 컴파일한 것입니다.
제가 용어를 잘못 선택한 것이 아니라면 xetexko를 이용해 컴파일할 때 mainfont와 mainhangulfont, 그리고 mainhanja
폰트를 똑같이 하면 microtypography가 성립하는데(test2_2013.pdf) 그렇지 않으면 test_2013_pb.pdf와 같이 자간 등이
엉망이 됩니다. 참고하시기를!!!
-
DohyunKim
2013.08.20 14:14
마이크로타입하고는 무관하고요,
mainfont를 애플명조로 설정해서 생긴 결과입니다.
애플명조의 인용부호 폭이 전각이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를 피해가려면 mainfont를 영문글꼴로 지정하시거나, 아니면
\semainhangulfont[quotewidth=0.25em,Mapping=tex-text]{...}
\semainhanjafont [quotewidth=0.25em,Mapping=tex-text]{...}
처럼 한글과 한자 글꼴에 quotewidth 옵션을 주십시오.
-
Progress
2013.08.20 14:31
자유인64님께서 조판에 사용하신 폰트가 달라서 비교가 좀 무의미합니다.
test2_2013.tex에서는 Apple Myungjo를, test2_2012.tex에서는 한컴바탕을 사용하였으니까요.
김도현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듯이 두 폰트는 다릅니다.
특히 애플명조는 따옴표가 전각이라 닫는 따옴표 다음의 단어에 공백이 들어가게 됩니다.
어쨌거나 xetexko를 사용하실 때 자유인64님께서 놓치신 부분은
\usepackage[hangul]{xetexko}
입니다. xetexko 매뉴얼을 읽어보시면 한글을 주 문서로 사용할 때는 'hangul' 옵션을 주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 장치는 줄간격 조정 등 몇 가지 작업을 하게 됩니다.
다음 그림을 참조하십시오.
-
그로몹
2013.08.20 16:23
아 왜그런지 알 것 같습니다.
아마 제대로 확인하려면 TeXLive 2012에 애플명조 등을 깔고 컴파일해 보셔서
2013에 잘못 나왔다고 생각하신 것과 비교해 보면 충분하겠습니다.
그러면 2012와 2013의 차이가 아니라 두 글꼴의 차이라는 것이 확실하겠네요.
-
자유인64
2013.08.20 20:19
네 잘알겠읍니다. 제 무지의 소치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맥에서 texlive2013을 이용해서 말씀하신대로 \usepackage[hangul]{xetexko}를 하면
제목이 긴 part와 chapter가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 버린다는 것과 여전히 무슨 이유인지는 몰라도
part는 \package{sectsty}옵션을 사용하면 글자 크기가 주는 반면에 chapter는 <요지부동>입니다!!!
또 말씀하신대로 하니까 '제 1편'이 아니라 '편 1"로 나오네요!!!
아무래도 texlive의 book.cls에 이상이 있다고 밖에는 생각을 할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고수님들의 혜량 있으시기를!!!
-
샘처럼
2013.08.20 22:30
말씀드렸던 바와 같이 글꼴의 크기도 제가 예제로 올려드린 화일에서 보시면 part와 chapter 모두 잘 바뀌고 있습니다.
book.cls 는 이상이 없다고 보시는 편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오히려 자유인64님께서 임의로 고치신 book.cls때문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닐까 라고 생각합니다. book.cls에 말씀하신 문제가 있었다면 30년가까이된 LaTeX 2e가 수정이 되지 않았을 리가 없습니다. ^^
-
자유인64
2013.08.21 11:14
샘처럼님, book.cls를 원상복귀 시켰는데도 마찬가지 랍니다!!!
실례가 안된다면 샘처럼님께서 가지고 계신 book.cls파일을 제게 한 번 보내주실 수 있으신지요?
제 이메일은 jbl4355@naver입니다.
-
샘처럼
2013.08.21 13:10
제가 가지고 있는 TnXTeX ( TeXLive2012 기반) 과 TeX Live 2013의 book.cls는 토씨하나 틀리지 않고 동일합니다. 첨부화일로 보내드립니다.
-
자유인64
2013.08.22 10:24
TL2012에 kotex2013을 깔고 싶은데 tlmgr을 이용해서 repository를 http://ftp.ktug.org로 지정해도 install명령을 내리면
repository를 http://ftp.ktug.or.kr로 인식해서 failed라는 에러가 납니다.
어디있는 파일을 어떻게 수정하면 되나요???
-
그로몹
2013.08.22 10:30
TL2012에는 kotex2013을 까시면 안 됩니다.
TeXLive부터 2013으로 업그레이드 하십시요.
-
DohyunKim
2013.08.22 10:37
여러 이슈를 하나의 글타래에서 다루다보니 글타래가 복잡해졌습니다.
새로운 문제마다 따로 새 글을 작성하는 쪽이 좋겠습니다.
또 항상 간단한 소스를 첨부해서 질문해주셔야 답변하기 수월합니다.
[hangul] 옵션은 sectsty 패키지와 궁합이 맞지 않습니다.
sectsty는 서양식 제목 달기만 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편 1”과 같은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은 dhucs-sectsty 패키지를 이용하는 겁니다.(오래 전 강수님이 만든 겁니다)
texlive가 최신까지 업데이트돼 있다는 가정 하에 다음을 고쳐 사용해 보십시오.
\documentclass{book}
\usepackage[hangul,unfonts]{xetexko}
\AtBeginDocument{\usepackage{dhucs-sectsty}}
\begin{document}
\partfont{\Large}
\chapterfont{\Large}
\part{가나다}
\chapter{라마바}
\end{document} -
자유인64
2013.08.22 11:00
김도현 선생님, 정말 감사를 드립니다!!!
말씀하신데서 unfonts를 빼니까 에러 하나 없이 깨끗하게 컴파일이 되고 글자 크기도 다 줄고
'편 1'과 같은 문제도 생기지 않네요!!!
그 동안 노심초사하던 모든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게 해주셔서 너무 너무 감사를 드립니다, 꾸벅!!!
-
자유인64
2013.08.24 11:32
또 다시 고수님들께 도움을 청합니다!
위 test2.tex에서
1. 책의 '표제'와 '제 1편 서언' '제 1장 테트라그라마톤의 비밀' 등을 'boldface'로 쓸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2. 그리고 본문 내용 중에서 강조하기 위해 글자를 진하게 하거나 기울이거나 이탤릭체로 쓸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고수님들의 가르침을 부탁드립니다!!!
-
샘처럼
2013.08.24 12:23
1. 위의 setcsty package의 설명을 보세요. 도스 명령창에서 texdoc sectsty 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
2. 위에서 말씀 드린 lshort-kr ( http://faq.ktug.org/faq/lshort-kr )과 같은 기본 문서라도 한 번 읽어 보세요. lshort-kr 이라면 "6.2 글꼴과 크기"를 보세요.
-
Progress
2013.08.24 12:23
글타래가 너무 길어졌으니, 방금 올린 질문은 새로 포스팅해주세요.
거듭 말씀드리지만, lshort-kr이라는 문서를 한번 일독하시면
본문에서 글자를 기울이거나 진하게 하는 것은 아주 기본적인 기능임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제 답글 이후에 더 이상의 댓글이 달리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자유인64님께 다시한번 말씀드리니, 새로운 질문은 새로운 포스팅으로 달아주십시오.
몇 가지 사항을 자세히 알려주셔야 합니다.
우선 맥텍은 2013인가요? 코텍도 2013을 까시는 것이 좋습니다.
소스 파일 인코딩은 당근 utf-8이겠죠?
설치 페이지에 있는 폰트 디렉토리 설정은 해 주셨겠죠?
이런 것이 잘 되어 있다면 소스 파일과 에러가 난 log 파일을 같이 올려주시는 것이 도움을 얻는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