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ktug,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google.com, sil.org, kopus.org, github.com, .io, i.com, tistory.com 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xoblivoir로 작성한 문서를 XeLaTeX으로 컴파일했는데 한글이 공백으로 나옵니다..
2014.06.17 16:29
제목 그대로 입니다.
컴파일한 화면을 첨부합니다.
예전에는 아무런 패키지 없이도 한글이 자동으로 표시되었던 것 같은데요
지금은 xetexko를 불러오고 옵션 (unfonts)을 주어도 한글이 표시가 안되네요..
tex파일이 있는 폴더의 상위폴더 이름이 한글인데(윈도우 8.1에서 자동으로 만들어진 사용자 폴더) 이것이 문제일지요..
도와주세요 ㅠ
댓글 3
-
anonymous
2014.06.17 17:56
-
Progress
2014.06.18 10:31
oblivoir 매뉴얼을 한번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 texdoc oblivoir
1. 한글 폰트 지정을 해주셔야합니다.
\setkormainfont, \setkorsansfont 등과 같이 오블리부아 클래스에서 제공하는 명령을 써도 좋고
\setmainhangulfont, \setsanshangulfont 등과 같이 xetexko에서 제공하는 명령을 써도 좋습니다.
2. 클래스 옵션으로 nanum을 부여하면 나눔글꼴(명조/고딕)을 자동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3. \numberwithin 명령은 amsmath 패키지를 얹으면 사용할 수 있는 명령으로 그대로 사용하셔도 됩니다만,
memoir나 oblivoir 클래스는 chngcntr 패키지의 \counterwithin 명령을 제공하므로 이걸 사용하셔도 됩니다.
\counterwithout 명령도 편리하게 있습니다.
4. memoir나 oblivoir 클래스는 타이틀 페이지 구성과 관련하여 다음 명령을 제공합니다.
\maketitlehooka, \maketitlehookb, \maketitlehookc, \maketitlehookd
\maketitle 명령은 \title, \author, \date의 인자를 차례대로 식자해주잖아요?
그것들 사이에 뭔가 넣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maketitlehooka: 타이틀의 윗부분에 어떤 글자를 식자하고 싶을 때
\maketitlehookb: 타이틀과 저자 사이에 어떤 글자를 식자하고 싶을 때
\maketitlehookc: 저자와 날짜 사이에 어떤 글자를 식자하고 싶을 때
\maketitlehookd: 날짜 아랫부분에 어떤 글자를 식자하고 싶을 때
대략 다음과 같은 소스를 컴파일해보시기 바랍니다.
\documentclass[a4paper]{oblivoir}
%\documentclass[a4paper,nanum]{oblivoir} %nanum 옵션을 주면 한글 폰트로 나눔명조/나눔고딕을 사용하게 된다.
% 즉 \setkormainfont, \setkorsansfont로 한글 폰트 지정이 필요하지 않다.
\usepackage{fapapersize}
\usefapapersize{*,*,20mm,*,25mm,*}
\usepackage{graphicx}
\usepackage{amsmath,amssymb,amsfonts}
\usepackage{xcolor}
%\usepackage{fontspec}
\setlength{\parindent}{1em}
\setlength{\parskip}{.4\onelineskip}
\addtolength{\droptitle}{-6ex}
%\numberwithin{equation}{section}
\counterwithin{equation}{section} % memoir/oblivoir에선 요 명령을 쓰는 게 좋겠습니다.
\setkormainfont[Ligatures=TeX,BoldFont={NanumMyeongjoBold}]{NanumMyeongjo}
\setkorsansfont[Ligatures=TeX,BoldFont={NanumGothicBold}]{NanumGothic}
\begin{document}
\title{ERP paradox}
\author{홍길동}
\renewcommand\maketitlehookb{\centerline{\small 한국대학교}} % 타이틀과 저자 사이에 넣고 싶다
\date\today
\maketitle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bfseries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sffamily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bfseries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end{document}
-
최석영
2014.06.18 15:34
답변해 주신 두 분 모두 정말 감사합니다. 덕분에 오래된 방식의 코도 고칠수 있었습니다
oblivoir로 한글문서를 쓸때 글꼴을 지정해 주어야만 한글이 나오는것 같네요..
예전엔 글꼴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은글꼴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기억나네요
oblivoir 문서 한번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하게 보이는 부분만 말씀드립니다.
1. xoblivoir 를 부르시면 fontspec, xetexko등을 부르실 필요가 없을 텐데요. 게다가 최신판이라면 xoblivoir를 부르실 것 없이 oblivoir만 부르시고, fontspec, xetexko등을 부르실 필요가 없습니다.
2. xetexko를 쓰셨다면 반드시 한글 설정이 들어가야 합니다. 어디서도 한글을 부르는 부분이 없습니다.
저라면 그냥 oblivoir를 부르고, xoblivoir, fontspec, xetexko 등을 모두 지워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