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여백의 크기

2014.07.04 22:21

처음처럼 조회 수:2047

안녕하세요..


항상 텍에 대해서 초보인 저에게 상세히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A4를 기준으로 했을 때,  좌우상하 여백은 어느정도를 해야 하지는 알고 싶습니다.

(일반적인 책을 기준으로 한다고 가정하구요)


0601karnes.pdf 의 내용중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잇더군요..


---------------

여백비  : 서양에서는 여러 가지 여백 처리 방법이 발달해 왔는데 좌-상-우-하의 여백 비를
1 : 1.2 : 1.2 2 : 1.2 3 로 하는 모리스 방식과 1.5 : 2 : 3 : 4로 하는 언윈 방식이 있다.
모리스 여백은 자칫하면 판면이 정사각형에 가까워지고 언윈 여백은 우리 책의 일반적인
조판 관행과는 달리 안쪽 위쪽으로 판면이 치우치게 된다. 행간이 좁고 글자가 조밀한 영어권
책에는 적절한 방식일지 모르나 우리 느낌으로는 아무래도 치우친 느낌이 든다.
많은 레이아웃 교재들이 우리 책의 경우 상하 여백을 1 : 1로 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10].
행간이 넉넉해서 최하단 한 행의 마지막 행송이 여백의 일부로 지각될 것을 고려하면 1 : 1
정도의 여백비라면 나쁘지 않다는 판단이다. 다만 상단 면주를 쓰는 경우 면주는 여백 영역에
들어가야 한다. 판면이 내려잡히면 불균형한 느낌이 들고 너무 올려잡히면 부담스럽다.
좌우 여백은 1 : 2까지 취하는 경우도 있으나 여백을 살려 여백단 조판을 하지 않는 경우
라면 1 : 1.5 정도(2 : 3)가 적절한 여백비가 아닌가 한다.

---------------


이것을 geometry package로 구현할 때, 지금 저는 다음과 같이 만들고 있습니다.


\geometry{ includeall, left=20mm, right=20mm, top=15mm, bottom=20mm,  bindingoffset=20mm, marginparwidth=50mm,

marginparsep=10mm

}


그리고, Margin을 제거하는 것으로

\def\newgeo{\newgeometry{includeheadfoot,left=20mm,right=20mm,top=15mm,bottom=20mm,bindingoffset=20mm}}

\def\resetgeo{\restoregeometry}

와 같이 정의해서 사용합니다.


여기서 궁금한것이 몇 mm(혹은 다른 단위)로 해야하는지 궁금하네요... ^^


화면에서보고 대충하는건지.. 일반적인으로 출판하는 책에서 사용하는  여백이 잇는지 궁금하네요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Minimal Working Example을 첨부해주세요 [4] nanim 2015.06.23 230492
1046 악센트 문자 오류 [4] file bach 2014.10.17 1718
1045 페이지 위에 누르면 해당페이지로 가는부분 없앨수있나요? [1] file 통장에천억 2014.09.24 1718
1044 plain TeX \bye에 대한 이해 [11] Zeta 2020.02.19 1715
1043 forward search는 되는데 inverse search가 안됩니다. [1] Srocker 2016.06.07 1713
1042 raisebox 사용 할 때 줄바꿈 문제. [7] file 라젠카 2020.02.26 1712
1041 소제목 및 각주 문의드립니다 [1] 모모 2014.12.05 1712
1040 vs code에서 TnXTeX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 [4] 세모시 2020.01.21 1704
1039 TL2014에서 jpg yihoze 2014.08.20 1702
1038 latex 수식 관련 질문입니다. [1] file kogoome 2020.01.04 1698
1037 xelatex 사용시 kotex의 hangul 옵션이 우리말 이름을 표시하지 않습니다 [5] 돈가스사랑 2020.12.29 1697
1036 XeLaTeX에서 폰트 변경 [2] 초보 2014.01.15 1697
1035 초보가 며칠걸려 만들었는데 에러는 없다면서 안됩니다..ㅠㅠ [3] file 초보초보왕 2020.01.28 1694
1034 수식입력중 글자삽입 [1] 딩딩 2020.10.24 1691
1033 자동으로 구두점 전각문자로 출력하기 [3] 김벤젠 2020.10.21 1691
1032 같은 .tex 으로 만들어 지는 .pdf 파일의 크기가 다릅니다. [2] 세벌 2015.05.12 1691
1031 IEEE 사이트 업로드 Font 에러 [3] file 석이 2014.10.28 1687
1030 그래프 그리는 법 [3] file 미자리 2021.01.05 1686
1029 tex 책의 영문 chapter 를 장으로 변경 [1] xwmooc 2014.12.03 1680
1028 은그래픽, 은신문 체는 pdfLaTeX에서 지원이 되지 않는 것입니까? [3] 김인동 2019.11.11 1679
1027 oblivoir 문서 newsubflot 이용 그림 삽입 후 폰트 관련하여 조언을 구합니다. [2] pinder 2020.02.13 167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