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자유글 (ko.) TeX Live 2014 설치를 권장합니다.

2014.07.14 16:33

nanim 조회 수:122001

ko.TeX Live 2014 일괄 설치 파일은 예상보다 늦게 나오거나 아예 제공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지 않은가 추측합니다.

  1. ko.TeX Live가 필요했던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로서 ko.TeX을 설치하려면 TeX Live 이외에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했던 저간(2013년까지)의 사정이 올해부터는 TeX Live만 설치해도 ko.TeX이 거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설치 과정의 편의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2. ko.TeX Live = TeX Live + ktugbin + texworks-config + hcr fonts인데, ktugbin과 texworks-config가 KTUG 사설저장소를 통해 제공되기 때문에 이 역시 별도의 설치 실행파일을 만들어야 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3. 남은 하나의 문제는 함초롬 LVT 폰트들입니다만 폰트 설치가 어려운 것도 아니고 ko.TeX Live를 통하여 설치하는 것보다 직접 폰트를 더블 클릭하여 설치하는 쪽이 더 낫다고 생각하므로 이것도 중요한 문제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결국 ko.TeX Live 2014 설치 실행파일을 만든다 해도 TeX Live 그 자체일 것이기 때문에 이를 별도의 실행 파일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는 판단을 하게 됩니다. 앞으로는 (아마도) ko.TeX Live란 윈도우즈 실행파일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TeX Live + ktugbin + texworks-config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환경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윈도우즈 사용자분들께서는 다음 안내글을 참고하여 TeX Live를 설치하고 ktugbin과 texworks-config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TeX Live 2014로 이행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아래 두 페이지는 서로 다른 방식의 인스톨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원하시는 방식대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설치 과정에서 겪었던 소소한 감상이나 질문 등을 이 게시글의 답글로 소개해주시기를 바랍니다.



< 관리자, 이 글은 TeX Live 2015 가 발표된 현 시점에서 추가 댓글이 달릴 경우, 초보사용자들에게 혼란을 줄 가능성이 높아, 댓글 작성을 막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1 새로운 한글 폰트(라이센스: OFL) [1] 에드 2014.09.26 5318
650 첨부파일 초과.. [13] 처음처럼 2014.10.11 5347
649 프레임 문단에 관한 잡담 file karnes 2011.12.16 5352
648 xelatex으로 작성한 일본어 문서에 색인달기 DohyunKim 2011.03.28 5363
647 세그먼트 명령 file yihoze 2016.06.15 5372
646 흠.. 만들고 나니.. 나름대로 괜찮은거 같습니다. [14] 불량양파 2016.05.18 5375
645 역시 삽질하면 되는군요.. 그럭저럭이지만...@.@; [15] file 불량양파 2016.04.21 5389
644 페이스북 그룹을 만드는 건 어떨까요? [11] file 김벤젠 2016.07.05 5393
643 XeLaTeX 한글 문서에서 한자와의 베이스라인 맞추기 karnes 2011.07.06 5408
642 KC2008++ 2014, notepad++ [9] nanim 2014.11.17 5409
641 최근의 패키지 몇 개 보완 [12] file nanim 2014.06.13 5431
640 수식 이미지를 Latex 수식으로 변경해주는 사이트입니다. [4] file SMC 2020.08.29 5445
639 레이텍 사용 비율 [1] file yihoze 2016.05.27 5462
638 Backus-Naur form (BNF) 문법을 간단히 표시해주는 패키지 [4] file Zeta 2019.12.24 5475
637 jiwonlipsum 판올림 [15] file nanim 2014.05.19 5506
636 polyglossia를 이용하는 한국어 조판 [2] nanim 2015.07.27 5509
635 우분투/데비안 리눅스에서 TeX Live 관련 더미 패키지 만들기 MadToad 2011.08.30 5520
634 일단 하나의 소스로... 가로/세로 템플릿을 통해 바꿔서 출력하는것까지는 되었습니다. [2] 불량양파 2016.08.05 5528
633 안녕하세요? 이제 막 가입했습니다. 강랭 2017.05.29 5572
632 폰트를 설치했는데 텍이 찾지 못할 때 [2] file yihoze 2020.09.11 557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