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제목 그대로입니다.


1. \fallbackhanjafont로 지정된 폰트와 본문 한자 폰트의 베이스라인이 다르면, 이를 미세하게 조정해주면 좋겠는데요.

xetexko의 CharRaise옵션은 기본 한글이나 한자 폰트 지정 명령(\setmainhangulfont, \newhanjafontfamily 등)에만 적용되고, \fontspec의 폰트 지정 명령인 \newfontfamily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 같아서요.


2. 욕심 같아서는 \fallbackhanjafont도 바탕(세리프) 계열과 돋음(산세리프) 계열도 분리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테스트 파일에는 fallback으로 치환된 한자 글리프를 dark red로 칠해놓았습니다. 
하나조노 폰트: https://osdn.jp/projects/hanazono-font/releases/62072

fallbackhanjafont_test.jpg

===


\documentclass[b5paper]{article}


\usepackage[svgnames]{xcolor}

\usepackage[hangul]{kotex}


\setmainfont{Source Serif Pro}[Ligatures=TeX, BoldFont={* Semibold}]

\setsansfont{Source Sans Pro}[Ligatures=TeX,BoldFont={* Semibold}]


\setmainhangulfont{NanumMyeongjo}

\setsanshangulfont{NanumGothic}


\setmainhanjafont{UnBatang}

\setsanshanjafont{UnDotum}


\newfontfamily\fallbackhanjafont{HanaMinA}[Color=DarkRed,AutoFakeBold]

% charraise=-.125ex


\begin{document}

\section{세리프 계열}

특히 일본의 각 지역에서 한글 활자를 개발해서 판매한 대표 활판소들의 활자 견본장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쿄(東京) 츠키치활판제조소(築地活版製造所), 요코하마(横浜) 슈에이샤·세분도(秀英舎·製文堂), 교토(京都) 세이분활판소(製文堂活版所), 오사카(大阪) 아오야마 신코우도(青山進行堂), 도쿄(東京) 산슈샤(三秀舎), 오사카(大阪) 모니카와 류분도(森川龍文堂)에서 발행한 견본장에서 한글 활자가 소개되고 있다. 각 활판소에서 개발한 한글 1호 활자에서 한글 6호 활자까지 츠키지 활자체의 영향·개량에 따른 변화와 신 활자 개발을 중심으로 한글 활자의 특징을 분석한다. 특히, 각 활판소의 설립 배경과 한글 활자 제작에 관련된 주요 활동에 관해서도 조사가 본 연구의 목적이다.

\bigskip


\section{산세리프 계열}

\sffamily

특히 일본의 각 지역에서 한글 활자를 개발해서 판매한 대표 활판소들의 활자 견본장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쿄(東京) 츠키치활판제조소(築地活版製造所), 요코하마(横浜) 슈에이샤·세분도(秀英舎·製文堂), 교토(京都) 세이분활판소(製文堂活版所), 오사카(大阪) 아오야마 신코우도(青山進行堂), 도쿄(東京) 산슈샤(三秀舎), 오사카(大阪) 모니카와 류분도(森川龍文堂)에서 발행한 견본장에서 한글 활자가 소개되고 있다. 각 활판소에서 개발한 한글 1호 활자에서 한글 6호 활자까지 츠키지 활자체의 영향·개량에 따른 변화와 신 활자 개발을 중심으로 한글 활자의 특징을 분석한다. 특히, 각 활판소의 설립 배경과 한글 활자 제작에 관련된 주요 활동에 관해서도 조사가 본 연구의 목적이다.


\end{documen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Minimal Working Example을 첨부해주세요 [4] nanim 2015.06.23 230466
564 템플릿 작업 [6] file 2013.08.27 8187
563 LyX에서 class 파일(*.cls)은 어떻게 적용해야 하나요? [1] Grimnir 2013.01.18 8211
562 특정 한자의 TeXworks Editor 상의 표시 안됨 문제. [13] file 안개나무 2014.01.05 8227
561 Beamer에서의 inparaenum과 동그라미 표시, 배경색 [3] file 김선중 2012.08.31 8228
560 Yap 사용 시 'permission denied' 메시지 [2] cell 2011.05.07 8266
559 한영이 섞인 글에서 영어 위치 들어올리기 [5] file 텍린이 2020.12.25 8266
558 aysmptote에서 한글 사용하려면? [5] 푸른언덕 2012.12.11 8273
557 oblivoir 부록 각주 번호 [3] file 한스 2012.08.29 8282
556 TnX텍으로만으로 텍으로 작성된 문서 PDF으로 볼수 있나요 [1] 왕초보 2011.03.25 8284
555 세로글쓰기 시도가 안되어서 테이블 안에 한글자씩 썼답니다. [11] 천웅 2012.06.16 8287
554 beamer와 kotex의 충돌 [8] joonghyunji 2011.10.15 8289
553 pdf 파일 변환에 문제가 있습니다. [1] 양희준 2011.03.27 8302
552 latex으로 만든 한글pdf 파일의 copy-paste 문제 [8] aud 2011.09.15 8308
551 A <-----------------> B 처럼 나타내려면? [3] IHSV 2011.03.28 8319
550 텍에서 pdf 변환 후 pdf 에서 더블클릭하여 해당 코드 찾는거요... [1] TAsn 2013.05.06 8319
549 인터넷 웹에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나요 [1] 왕초보 2011.03.28 8321
548 Inverse Search가 안 됩니다. [2] puzzlist 2011.06.21 8327
547 행렬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3] file 운영자 2012.07.10 8359
546 다운로드 오류입니다. [1] file 김종열 2011.09.06 8389
545 captiion안에서 hyperlink [2] aud 2011.08.29 839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