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수식 입력 방법별 줄 간격 차이

2016.09.13 12:04

김준용 조회 수:2128

안녕하세요. ShareLaTeX 입문 중인 초보자입니다.

수식 입력을 공부하던 중에 의문점이 있어 여쭤보고자 합니다.

아래는 제가 같은 수식을 몇 가지 다른 방법으로 입력한 것입니다.


1. 코드 내 줄 바꿈과 결과물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위 두 가지 코드의 경우 오른쪽 부분 결과물의 줄 간격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납니다.

LaTeX은 코드의 줄 바꿈이 결과물의 줄 바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위처럼 equation에 한하여 코드의 의미가 달라지는지 궁금합니다.


2. 방정식-글 사이 간격과 글-글 사이 간격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tabto{0in} \phantom{}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5)}\\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50)}


\tabto{0in} \phantom{}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99)}


a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100)}


\end{document}


위 코드는 (2), (5), (50), (99), (100) 수식을 표현하는 부분입니다.

위의 경우 (2, 방정식)와 (5, 글) 사이의 간격은 방정식-방정식 간의 간격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5, 글)와 (50, 글) 사이의 글-글 간격은 바로 위의 방정식-글 간격보다 좁습니다.

(50, 글)과 (99, 글) 사이에는 줄 바꿈이 있는데, 방정식-방정식 간격보다 넓습니다.

(99, 글)와 (100, 글) 사이는 혹시 (5)처럼 줄 앞에 \phantom{} 등의 요소가 보이지 않게 줄 간격에 간섭하는지 알아본 것입니다.

그래서 \phantom{} 대신 글자 a를 입력해보았으나 글-글 간격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가 생각한 바로는 (ㄱ) 방정식 간, 글 간, 방정식-글 간의 줄 간격이 다르고,

(ㄴ) $$로 입력된 수식은 글로 취급되며,

(ㄷ) 방정식과 방정식 사이에 위치한 줄 바꿈은 일반적인 skip(두 번 줄 바꿈) 기능과 다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setlength로 글-글 간의 줄 간격은 조정된 것 같은데, 방정식-방정식과 방정식-글 간의 줄 간격은 조정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한 판단이 서질 않아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아래는 출력된 결과물입니다.


160912_1.png


아래는 전체 코드입니다.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margin=1in]{geometry}

\setlength{\parindent}{.2in}

\setlength{\parskip}{.0in}

\setlength{\abovedisplayskip}{0pt}

\setlength{\belowdisplayskip}{0pt}

\setlength{\abovedisplayshortskip}{0pt}

\setlength{\belowdisplayshortskip}{0pt}

\usepackage{titlesec}

\titlespacing \section{0pt}{\parskip}{\parskip}

\titlespacing \subsection{0pt}{\parskip}{\parskip}

\titlespacing \subsubsection{0pt}{\parskip}{\parskip}

\usepackage[cjk]{kotex}

\usepackage{mathtools}

\usepackage{tabto}

\usepackage{ulem}

\usepackage{upgreek}


\begin{document}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begin{equation}

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varepsilon_i

\end{equation}

\tabto{0in} \phantom{}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5)}\\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50)}


\tabto{0in} \phantom{}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99)}


a \tabto{3.25in} \clap{$y_i = \beta_1 + \tilde{\mathbf{x}}_i^\top \tilde{\mathbf{\upbeta}} + \varepsilon_i$} \tabto{6.5in} \llap{(100)}


\end{documen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Minimal Working Example을 첨부해주세요 [4] nanim 2015.06.23 230476
1724 커멘드.. [4] 2013.11.01 3312
1723 Tex Live 2024 설치시 "Locale 'Korean_Korea.949' is unsupported," Warning이 납니다. [7] 문수 2024.03.15 3306
1722 C 코드를 LaTeX 문서에 넣고 싶은데요. [1] 지나가다 2014.05.20 3303
1721 보통 수식그래프를 어떤식으로 그리시나요? [6] file 하늘연 2014.08.28 3285
1720 latex] equation과 align을 같이 쓸때 오류가 생기네요 [6] ㅂㅂ 2014.10.15 3270
1719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좀 봐 주셔요~ ^^ [2] file 하이스트 2011.12.05 3269
1718 2단편집에서.. [2] 울랄라 2012.01.21 3264
1717 안녕하세요 컴파일할수 있도록 도와주시길 부탁드립니다. [2] file beavim 2012.05.16 3263
1716 mactex2014 설치 - texmf.cnf [5] 지나가다 2014.07.24 3258
1715 section 페이지의 넘버링이 되지 않습니다. [2] 워량 2016.04.19 3257
1714 XeTeX에서 아래아한글의 덧말 기능은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요? [12] file ganglioside 2016.04.16 3251
1713 행렬,조합 기호 말인데요.. [6] 궁금이 2014.12.26 3248
1712 verbatim text 에서 화면 그리기??? [15] file 뭬깟 2013.11.28 3247
1711 fontspec package requires either XeTeX 오류 [2] file blessed 2020.11.03 3242
1710 섹션별 페이지 번호 포맷 [2] 김준용 2017.05.31 3230
1709 옛한글 세로쓰기시 폰트별 문제점 [3] file 옛한글 2019.03.01 3227
1708 section 번호 뒤에... [2] 이제텍 2012.02.07 3226
1707 이 에러는 왜 나는 것일까요? [8] file hee 2017.09.15 3225
1706 Circuitikz에서 전구(lamp) 모양을 바꿀 수는 없을까요? [1] file Wool 2018.09.09 3222
1705 한 줄에 쓴 수식에 색 넣기에 대해 [1] file jklee 2012.03.17 32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