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중국어 간자체와 xetexko에 대한 질문입니다.

2020.01.03 06:06

Stoneface 조회 수:1729

글을 쓰다 보면 중간 중간에 한자를 넣게 됩니다. 그래서 여러 바업으로 시도했습니다. 

=====================

\documentclass[a4paper,10pt]{article}
\usepackage{graphicx,tikz}

\usepackage{polyglossia}
\usepackage{ctex}

\begin{document}
\section{韓國語史}
\noindent
中文化的 \LaTeX 手。\\
章节标题中文化的 \LaTeX{} 手册。\\
梃\\
그런데 한국어는?\\
\end{document}

결과물은 훌륭합니다.

1.png

=============

이제 폰트를 좀 더 멋진 것으로 바꾸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setmainfont[Language=Chinese Simplified]{HanWangFangSongMedium}

\begin{document}

와 같이 한 줄을 삽입하면, 결과물은 전혀 변화가 없습니다.

이번에는 폰트는 살리고 \usepackage{ctex} 만 지우면 결과물은

폰트는 원하는 대로 나타나지만, 간자체가 왕창 사라집니다.

2.png

물론 두 경우 모두 한글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두 번 째 경우에

\usepackage{xetexko}

 \setmainhangulfont[Mapping=tex-text]{UnShinmun}

를 첨가합니다. 그러면 결과물은

3.png

와 같이 한국어는 은신문체로 지원을 하지만, 한자는 간자체가 네모로 나옵니다.

더구나 한자 마지막 글자인 정(梃)은 1, 2 번과는 다르게 사라집니다.

즉 xetexco에서는 이 글자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1,2,3 세 경우를 합쳐서 사용하면 (당연히 순서는

\usepackage{ctex}
\usepackage{xetexko}
%====================================
\setmainfont[Language=Chinese Simplified]{HanWangFangSongMedium}
 \setmainhangulfont[Mapping=tex-text]{UnShinmun}

입니다.  결과물은 3번째와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usepackage{xetexko}

\usepackage{ctex}

순서를 바꿉니다. 그럼 xetexco가 먼저 지정한 것이 있어서 ctex.sty과 충돌하지만 결과물은 나옵니다.

6.png

보기 좋게 한글은 지원이 안됩니다.  물론 \usepackage{ctex}를 지우면 한글이 지원 되지만

결과물은 3번째와 같습니다.

이 세가지 모두를 만족시킬 방법은 없을까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Minimal Working Example을 첨부해주세요 [4] nanim 2015.06.23 230512
648 CJK 팩키지 [1] joon0721 2012.12.18 4192
647 winedt을 이용한 컴파일상의 문제 [2] file joon0721 2012.12.18 16481
646 페이지 레이아웃에 box표시와 함께 헤더에도 박스 처리를 해야 합니다. [27] file 게으른 엔지니어 2012.12.16 23688
645 Beamer에서 fontspec 사용 [3] TeX Addict 2012.12.16 18856
644 문자열만 저장해둘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3] 불변의진리 2012.12.14 5177
643 texlive2011은 이제 더이상 설치할 수 었나요? [2] 새벽의비너스 2012.12.14 4931
642 갑자기 오류가 나네요. [1] 김종열 2012.12.13 4296
641 .sty 파일 저장위치는? [4] 카레먹고싶어 2012.12.13 36034
640 또 에러가... ㅡ.ㅡ [1] 푸른소나무 2012.12.12 8791
639 에러가 납니다.. [2] 푸른소나무 2012.12.12 44550
638 aysmptote에서 한글 사용하려면? [5] 푸른언덕 2012.12.11 8273
637 "dcolumn" 패키지의 폰트 제어 [5] TeX Addict 2012.12.11 10191
636 명령어가 무슨 뜻인지 알고 싶어요 [6] 푸른소나무 2012.12.09 7280
635 oblivoir 과 xoblivoir의 차이점에 대한 궁금 [2] 푸른소나무 2012.12.08 7164
634 displaystyle의 사용에서... [1] file yoonju 2012.12.06 4325
633 오류메시지에서 소스찾기(notepad++에서) [2] kangbada 2012.12.06 19456
632 Mac 한글텍 설치 관련 [6] 이은혜 2012.12.02 10955
631 TikZ 으로 그림을 그리는데 scale 명령으로 글자크기는 조절하지 못하는지요? [6] 잠심 2012.12.02 24948
630 예제에 문제가 있읍니다. 수정해 주시기를 [12] cantor 2012.12.01 10164
629 book 클래스에서 mdframed [2] 초보자 2012.11.29 1296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