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자유글 PDF, HTML 그리고 ePub

2020.05.13 16:38

yihoze 조회 수:3429

비교적 최신(?) 기술인 lwarp를 시험삼아 돌려봤습니다. 십수 년 전에 latex2html도 써 봤지만, 신형 아이패드나 맥북이 나올 때마다 처음에 느꼈던 것과 비슷한 정도로 여전히 감동하듯이, 그런 변환의 결과가 제대로 나올 때마다 신기합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개인적으로 또는 업무에서 HTML과 PDF를 동시에 만드는 작업을 몇 차례 해봤습니다. 텍 기반이 아닌 다른 서너 가지 마크업 언어도 해봤습니다. 기대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끙끙대며 시도하는 내내 떠나지 않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도대체 왜 둘 다 만들려 하는 거지?"

저는 문서 포맷이 독자 취향에 달린 문제라고 보지 않습니다. "나는 HTML이 좋으니까 HTML로 받아봤으면 좋겠다"고 우기는 독자는 없습니다. 대개의 사람들은 읽는 것을 싫어하고, 호기심 때문에 또는 의무적으로 읽어야 하는 사람들은 문서 포맷을 가리지 않습니다.

어느 포맷이 적절한지는 메시지나 정보를 제공하려는 사람이 독자들이 그것을 얼마나 빨리 그리고 깊이 이해하길 기대하는지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서 포맷 사이에서 기능적 차이점들은 많이 사라졌습니다. 이를테면, 이제는 MathJax 덕분에 HTML 문서에서도 미려한 수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ePub은 그 점에서 아직도 문제이긴 합니다만. ePub의 장점은 reflow와 독자들이 폰트 크기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는 것 따위인데, 요즘에는 그것들이 더 이상 장점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태블릿은 물론이고 스마트폰들도 FHD 이상의 해상도를 제공하니까요. 하드웨어 만세!

"알겠고, 그래도 난 HTML, PDF 둘 다 원해." 이렇게 갑님이 요구한다면, 어떤 방법을 시도해야 할까요? 원고를 텍으로 작성해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lwarp가 최선의 선택임을 반박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원고가 특정 포맷으로 제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라면 여러 선택지가 있습니다. 생각보다 꽤 많은 방법들이 있을 터인데, 분명한 것은 어느 것을 선택하든 그 과정은 고통스럽고 결과물은 흡족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저라면 가아아~장 덜 고통스러운 방법을 (권한이 있다면) 선택하겠습니다.  pdf2htmlex는 더 이상 개발되지 않지만, 최종 버전에 아쉬울 게 전혀 없습니다.

http://www.ktug.org/public/lshort/lshort-ko.html

혹자들은 이 문서가 무늬만 HTML이라고 논박하겠지만, 어떻든 분명 HTML입니다. HTML의 가장 큰 장점이 웹 브라우저로 볼 수 있다는 것임을 유념해야 합니다.

결론: 둘 다 어떻게 만들지 고민할 시간에 내용을 어떻게 더 홍익스럽게 꾸밀지 고민하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5 개행(line-break)에 대하여 [8] yihoze 2015.06.02 9912
454 beamer 템플릿 조금 수정한거 올려요. [7] file 퓨이스 2016.03.21 10162
453 머리글에 간단히 밑줄 넣기 DohyunKim 2011.03.17 10209
452 KTUG 사설 TL 저장소 소식​ [26] DohyunKim 2014.04.26 10272
451 TeX Live 2014 와 ko.TeX 설치 [2] likesam 2014.05.28 10291
450 EUC-KR 기호문자 file DohyunKim 2011.08.18 10485
449 오늘 발표한 hmltotex 관련 자료입니다. [9] file hmltotex 2019.02.16 10490
448 TeXLive 2017 설치 안내 [3] file Progress 2017.09.18 10518
447 TL2017 설치 기념 포스팅 [3] 작나 2017.06.07 10555
446 [TL2014] [win32] 한글 파일 이름 문제 해결(?) [11] DohyunKim 2014.07.09 10647
445 한국텍학회 제 7 차 정기총회 및 KTUG 미팅 안내 [1] file 관리자 2014.02.06 10939
444 poppler 이용 어플에서 임베딩 안 된 기호문자 문제 DohyunKim 2011.03.31 11044
443 텍의 기본기 [2] yihoze 2015.06.03 11134
442 Adobe Reader X 에 대응하는 KCmenu 최신판 샘처럼 2011.03.31 11259
441 MS Word에서 LaTeX을 지원하다네요. 허허 [2] file 허허 2017.10.11 11347
440 천원술을 아십니까? [8] file yihoze 2017.03.15 11484
439 ubuntu에서 texworks 실행화일 가져와 설치하기 샘처럼 2011.04.27 11832
438 문화관광부와 한국저작권 위원회에서 배포하는 "폰트 파일에 대한 저작권 바로 알기" [1] likesam 2014.02.06 11835
437 일단 smartdiagram 의 1차적인 개조를 통한 가능성은 봤네요.. [6] file 불량양파 2015.12.09 11838
436 sharelatex 오픈소스화 [2] 두텁 2014.02.24 1186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