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이전 학위 논문 Complie 안되어 도움 요청 드립니다.

2005년도 작성 버전으로 사용하고 있는 cls 파일에
\RequirePackage{hfont} 로 인하여 hfont.sty 발생되는 것으로 사려됩니다.


해당 부분을 kotex 로 바꾸어서 실행할 경우 cls 파일에 있는 한글이 다 깨져 있습니다.
This file was opened with IsoLatin9 encoding 로 열리면서 다음과 같음 Pop-up 창이 나옵니다.
The file could not be opened with Unicode (UTF-8) encoding because it was not saved with that encoding. If you wish to open in another encoding, close the window and open again.

어떻게 해결 해야 할까요 ...

도움 요청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MacTex2020 설치 하고 KTUG 찾아서 할 수 있는 부분은 다 해 보았으나,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없어 문의 드립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Minimal Working Example을 첨부해주세요 [4] nanim 2015.06.23 230485
58 [완료]kotex.sty 질문 있습니다. [8] 구임수 2011.04.12 65789
57 hfont.sty 아시는 분 [3] 자유인 2010.12.28 37934
56 .sty 파일 저장위치는? [4] 카레먹고싶어 2012.12.13 36028
55 \makechapterstyle 을 하면 컴파일이 안됩니다.. [9] ym 2011.07.27 35435
54 목록 numbering style [1] xelloss 2013.08.23 25395
53 File `kotex.sty' not found. [2] 초보 2019.07.09 24686
52 다국어를 위한 usepackage 와 sty 파일위한 디렉토리 [4] jhk 2011.06.09 20639
51 texlive 2011 을 설치했는데, slashbox.sty 파일이 없습니다. [2] 백발마남 2011.07.28 19410
50 새로 받은 sty 파일 자동으로 인식시키려면? [3] 백발마남 2011.07.28 16544
49 hoze님의 hzstyle을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김은찬 2011.06.14 15613
48 terminal에서 latex command할 경우 kotex.sty을 못찾네요. [2] tejeho 2012.10.19 14201
47 TeXWorks의 xelatex template을 이용한 xelatex 컴파일 에러: `expl3.sty' not found. [1] 약천 2011.09.03 13517
46 이맥스에서의 kotex.sty 문제입니다. [2] 막베 2011.03.15 12590
45 \pagestyle{hangul}과 type1 수식폰트의 상호 간섭 [2] file Progress 2012.01.15 11625
44 'textcase.sty' , 'natbib.sty' error [3] nari 2013.04.23 11002
43 안녕하세요 원숫자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sty 설치) [2] 구임수 2011.05.09 9934
42 beamer에서 biblatex 사용시 bibstyle=numeric 옵션이 안먹히는 경우 [2] file mcpark 2013.04.25 9628
41 ! LaTeX Error: File `a4wide.sty' not found. [3] 남성욱 2012.08.24 9326
40 kotex.sty not found. 문제 입니다. [4] 이성숙 2012.07.31 9182
39 mathmanx.sty (Arial Narrow Math)을 찾을수가 없습니다. [2] aeronova 2011.09.20 737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