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정보글 eqnarray와 align

2022.09.20 17:04

noname 조회 수:283 추천:1

eqnarray를 쓰지 말자는 주장을 꽤 열심히 해왔습니다.

그런데, 그런데, 이미 eqnarray로 입력된, 그것도 상당한 양의 수식이 있는 "기존 문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eqnarray 수식은 대부분 amsmath align으로 바꾸면 큰 문제없이 식자됩니다. 다만 eqnarray에는 & 정렬자가 두 곳에서 나타나는데, align은 두 번째 이후의 &가 다른 의미를 갖는다는 거죠. 따라서 표준적으로 입력된 eqnarray의 "& (something) &" 부분을 "& (something)"으로 고쳐주어야 하는데요, 처음에는 이것을 간단한 찾기-바꾸기로 처리하려고 했는데 그게 생각만큼 간단치 않더라고요. 단순히 &(+)&를 &\0로 바꾸면 tabular라든가 array라든가 다른 목적의 입력과 충돌하기 때문에 eqnarray 환경 안에 있는지를 확인해서 치환해야 합니다.

그래서 expl3의 regex를 써보기로 하였습니다.

\ExplSyntaxOn
\RenewDocumentEnvironment { eqnarray* } { b }
  {
    \tl_set:Nn \l_tmpa_tl { #1 }
    \regex_replace_all:nnN { \& (.+?) \& (.+?) \c{\\} }
        { \c{c_alignment_token} \1 \2 \c{\\} } \l_tmpa_tl
    \regex_replace_once:nnN { \& (.+?) \& (.+?) $ }
        { \c{c_alignment_token} \1 \2 } \l_tmpa_tl
    \exp_last_unbraced:Nno \begin {align*}
        \l_tmpa_tl
    \end{align*}
}{}
\ExplSyntaxOff

적어도 표준적으로 입력된 eqnarray*에 대해서는 적당히 동작하는 것 같습니다. 별표 없는 환경도 비슷하게 만들면 되겠죠. 아무튼 expl3의 regex_ 함수는 귀하네요. 이거 없던 시절을 돌이켜보면...

이 글의 주제는 eqnarray를 쓰지 말자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2 [건의]예전처럼 위키 링크를 메인 화면과 메뉴에 배치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2] Kunggom 2010.07.20 42695
111 [알림] 한국텍학회 트위터 개설 [8] karnes 2010.10.02 42701
110 iPad에서 텍을 사용할 수 있는 모양이네요. [3] 더하기 2011.04.29 43170
109 Adobe 사의 Source Sans Pro 폰트 패밀리 [7] file Progress 2012.08.14 43240
108 Windows 사용자를 위한 (ko.)TeX Live 2014 관련 안내 [1] 관리자 2014.09.23 43252
107 TeXWorksEditor 탬플릿에 대하여 [5] 2011.05.02 43302
106 한/글 2010을 설치하였습니다. [3] Kunggom 2010.06.16 43346
105 네이버 나눔글꼴 OFL로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7] 권순선 2010.06.04 43535
104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3] Progress 2011.01.01 43646
103 [알림] 신청마감 - 문서작성 워크숍 2011 [5] ischo 2011.05.09 43694
102 html5 사이트 몇 개 [1] 에드 2010.06.13 44069
101 새 홈페이지 개장을 축하합니다. Karnes 2009.12.19 44195
100 Asia 글꼴이 다시 나왔네요. [8] gromov 2010.08.22 44204
99 TnXTeX 다음 버전을 준비하면서 [4] karnes 2010.06.30 44344
98 구글 크롬 확장 프로그램 daum equation editor 에드 2012.03.08 44403
97 LaTeX과 돌다리 [16] 메타 2010.07.27 44503
96 현재 묻고답하기, 팁게시판을 볼 수 없습니다. likesam 2010.12.22 44721
95 [공지?] 워크숍 숙제와 후기 관련 [12] karnes 2010.11.07 44840
94 TeXworks 0.4.1 번역 테스트 [4] file DohyunKim 2011.04.18 44856
93 [포스터-재공지] 공주대학교 문서작성 워크숍 2010 [13] file Progress 2010.10.21 4488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