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ktug,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google.com, sil.org, kopus.org, github.com, .io, i.com, tistory.com 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Amazon EC2 호스팅에서 yum으로 TeXLive 2013 설치 후 kotex.sty not found
2023.01.08 00:52
안녕하세요
LINUX환경에서 kotex를 못찾는 문제입니다. > sudo yum install texlive-* 로 설치했구요 (texlive-full이 안되더라구요) overleaf에서는 컴파일 잘 되는데 리눅스 환경에서 kotex설치가 안되는 상황입니다.
에러는 아래와 같은데 manual하게 설치하는 방법을 이리저리 찾아보았는데도 잘 안되네요 ㅠㅠ
혹시 어떻게 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This is pdfTeX, Version 3.1415926-2.5-1.40.14 (TeX Live 2013) restricted \write18 enabled. entering extended mode (/home/ec2-user/~~ LaTeX2e <2011/06/27> Babeland hyphenation patterns for english, dumylang, nohyphenation, uk rainian, russian, bulgarian, loaded. (/usr/share/texlive/texmf-dist/tex/latex/extsizes/extbook.cls Document Class: extbook 1999/01/07 v1.4a NON-Standard LaTeX document class (/usr/share/texlive/texmf-dist/tex/latex/extsizes/size8.clo) (/usr/share/texlive/texmf-dist/tex/latex/base/exscale.sty)) (/usr/share/texlive/texmf-dist/tex/latex/base/inputenc.sty (/usr/share/texlive/texmf-dist/tex/latex/base/utf8.d ef (/usr/share/texlive/texmf-dist/tex/latex/base/t1enc.dfu) (/usr/share/texlive/texmf-dist/tex/latex/base/ot1enc.dfu) (/usr/share/texlive/texmf-dist/tex/latex/base/omsenc.dfu))) ! LaTeX Error: File `kotex.sty' not found. Type X to quit or to proceed, or enter new name. (Default extension: sty) Enter file name:
댓글 4
-
noname
2023.01.08 09:16
-
글쓴이
2023.01.08 14:08
답변 감사드립니다! 꼭 리눅스로 해야만 하는 상황인데 kotex 수동 설치는 어려울까요? 제가 kotex 소스를 다른 tex 패키지 있는 곳에 복사해보았는데도 못읽더라구요 ㅠㅠ
이 환경에서 꼭 해야하는 이유는 tex를 이용해서 pdf를 자동으로 만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
likesam
2023.01.08 16:49
(/home/ec2-user/~~
부분을 보고, 혹시 AWS ( Amazon EC2 )를 쓰시는 것이 아닌가 하여, 여기에 texlive-*를 설치하여 보니 비슷한 TeXLive 2013 환경이 만들어지는 듯 합니다.
[ec2-user]$ pdflatex This is pdfTeX, Version 3.1415926-2.5-1.40.14 (TeX Live 2013)
[ec2-user]$ sudo yum search korea ========================================================== m17n-db-korean. noarch : m17n-db input maps for Korean texlive-uhc. noarch : Fonts for the Korean language [ec2-user]$ sudo yum search cjk ========================================================== cjkuni-fonts-common. noarch : Common package of CJK Unifonts texlive-cjk. noarch : CJK language support texlive-cjk-doc. noarch : Documentation for cjk texlive-xecjk. noarch : Support for CJK documents in XeLaTeX texlive-xecjk-doc. noarch : Documentation for xecjk cjkuni-fonts-ghostscript. noarch : Chinese Unicode TrueType font ghostscript files cjkuni-ukai-fonts. noarch : Chinese Unicode TrueType font in Kai face cjkuni-uming-fonts. noarch : Chinese Unicode TrueType font in Ming face texlive-garuda-c90. noarch : TeX support (from CJK) for the garuda font in thailatex texlive-norasi-c90. noarch : TeX support (from CJK) for the norasi font in thailatex wqy-zenhei-fonts. noarch : WenQuanYi Zen Hei CJK Font wqy-zenhei-fonts-common. noarch : Common files for WenQuanYi Zen Hei CJK Font
잠시 살펴 봤는데, 이 상황으로 예쁜 문서를 만들기는 쉽지 않습니다. ko.TeX을 쓰기도 어렵고 10년전 배포판이 설치된 상황이라서\(\ldots\) 그래도 고수님들은 다 쓰십니다.
설치되어 있는 한글 글꼴도 UHC글꼴 밖에 없는 듯하고, 사용할 수 있는 한글환경도 xeCJK나 CJK만 있는 듯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AWS에서 벗어나실 수 없고, 꼭 ko.TeX을 쓰셔야 하신다면,
1. yum 으로 설치하신 TeXLive 2013에 맞는 한글 환경을 맞추셔야 합니다. 단순히 kotex.sty화일 하나만 복사하면 되는 것이 아니고, 한글 환경에 맞는 여러 화일들을 가져와서 복사하여 넣고 texmftree도 refresh 하여주시면 됩니다. 어쩌면, http://ftp.ktug.org/KTUG/texlive/2013/ 나 http://ftp.ktug.org/KTUG/ko.TeX/ 의 화일들에 이상이 없다는 가정하에, 화일을 가져와서 설치하실 수도 있습니다. ( Linux From Scratch 보다는 쉽습니다. ) exlive/2013/tlpkg/ 에서 texlive.tlpdb.xz 화일을 가져오셔서 각 화일들이 어느 디렉토리에 들어가는지 잘 살펴보시고 ( 아마도 RELOC은 /usr/share/texlive 일 것입니다.) texlive/2013/archive/ 에서 필요한 화일들을 가져와서 압축을 풀어서 각각 맞는 위치에 넣어 주신 후, permission을 잘 맞춰주고, > texhash 나 > texlsr 명령을 실행시켜준다. 이후 필요한 TTF글꼴이 있으면 가져와서 잘 설치하면 된다. 순서대로 천천히 복사하여 넣으시면 되는 쉬운 작업이지만, AWS에서 제공한 texlive 배포판의 엔진이 kotex에서 원하는 버젼보다 예전 엔진이라면 안될 수도 있습니다.
2. AWS에서 제공하는 TeXLive 2013 를 지우시고, CTAN에서 제공하는 최신 TeX Live를 설치하세요.
Wiki:설치하기 Linux, tlinstall을 참조하세요. ( 이게 최선입니다. )AWS는 벗어나실 수 없지만, ko.TeX을 안써도 되고, 문서를 수정하실수 있는 상황이라면
3. xelatex으로 컴파일 할 수 있으시다면, ko.TeX을 포기하시고, xeCJK 패키지를 사용하세요.
https://www.overleaf.com/learn/latex/Korean 를 보시면 예제가 있습니다. 다만 한글 글꼴들이 AWS 서버에 없을 것이므로 잘 찾아서 설치하셔야 합니다. Compile도 PDFLaTeX이 아닌 xelatex으로 하셔야 합니다. ( 이게 그나마 쉬울 것입니다. )4. xelatex도 쓸 수 없고, pdflatex만으로 컴파일 하여야 하는 상황이시면, ko.tex을 포기하시고 CJK 패키지를 이용하세요.
https://www.overleaf.com/learn/latex/Korean 를 보시면 예제가 있습니다. (한글 부분을 지정하여 주여야 하므로, 소스를 많이 고치셔야할 수 있습니다.) -
글쓴이
2023.01.09 13:46
와 정말 감사드려요
4번 방법으로 해결했습니다. 그냥 한글만 나오면 되는거라 CJK로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This is pdfTeX, Version 3.1415926-2.5-1.40.14 (TeX Live 2013)
TeXLive 2013인데요, 제 기억으로 ko.TeX이 CTAN에 업로드된 것이 2013년 가을이었던 듯하고, 그 이후 TeXLive로 배포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kotex.sty가 발견되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배포패키지가 2013인 것으로 보아서 이 시스템(레드햇일까요?)에 현재의 TeXLive를 설치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이 당시는 ko.TeX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던 때인데 그 때 파일을 구해서 당시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을지 어떨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찌어찌 그렇게 하더라도 요즘 문서를 컴파일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입니다.
운영체제 자체를 업그레이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그냥 Overleaf을 쓰시는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