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자유글 tectonic과 ksminitex

2023.06.05 09:08

noname 조회 수:499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6681

지난 주말의 공주대학교 마지막 문서작성워크숍에서 이재호 군의 흥미로운 발표 중간에 ksminitex에 대한 간략한 언급이 있었기 때문에 조금 부연해둡니다.

ksminitex이란 무엇인가?

  1. Windows 설치형 프로그램 (PATH 추가, 설치/삭제/업데이트 등)
  2. tectonic을 기반으로 합니다. 당연히 tectonic이 들어 있습니다.
  3. tectonic 자체로는 지원하지 않는 "한글 인덱스 생성 프로그램" komkindex의 수정판이 들어 있습니다.
  4. tectonic 자체로는 지원하지 않는 biber 실행 파일이 들어 있습니다. (bibtex은 tectonic에 통합되어 있음)
  5. tectonic에서 동작하는 (즉 xetex에서 동작하는) KTUG 사설저장소 패키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6. 함초롬 LVT 폰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현재 ksminitex 1.9는 tectonic 0.14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최신 버전입니다.

ksminitex은 ischo.org에서 호스팅하고 있습니다.
   https://mirror.ischo.org/aux/ksminitex/ksminitex.zip

ksminitex 실행 배치파일은 V1 CLI입니다. 이 때는 평범한 tex compiler처럼 사용하면 되고 필요한 패키지와 폰트를 %ksminitex%\Resources\pkgs에서 찾습니다. 폰트 설정에만 조금 주의하면(README.pdf를 읽으십시오) 대부분의 웬만한 문서는 다 컴파일됩니다. 기반 배포판은 TeX Live 2022입니다.

tectonic을 V2 CLI로 사용하려면 tectonic 자체를 이용하면 될 것입니다. 다만 이 경우 설정 등은 사용자에게 전적으로 맡겨져 있습니다.

tectonic에 대한 대화를 이재호 군과 나누었던 것이 교대 근처 어딘가 커피숍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에 대한 발표를 들으니 뭔가 감개가 있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 내가 왜 스패머냐고!!! [8] Dennis 2010.11.12 44906
91 wikipedia의 PDF 변환이 [1] siwon 2010.10.27 44944
90 그림을 자신이 원하는 위치, 오른쪽, 왼쪽, 정가운데에 놓기 [1] file 큰바위 2020.04.18 45443
89 아이폰4 만져보고 왔습니다. [9] 에드 2010.08.11 45665
88 라텍 초보용 "LaTeX Primer with TnXTeX" [9] ChoF 2010.10.06 45910
87 글이 안 써지는데요.. 행자역습 2011.03.24 46150
86 [소개] 맥 사파리 사용자들을 위한 ClickToFlash 2010.12.31 46336
85 나눔글꼴 3.0, 나눔손글씨 [8] karnes 2010.10.08 46474
84 윤폰트연구소에서 글꼴 2종을 공개하였습니다. [4] Kunggom 2010.11.01 46997
83 ko.tex에서 o가 기울임꼴인 이유가 있나요? [6] 에드 2010.03.21 47579
82 함초롬체에 옛한글 GSUB/GPOS 넣기 [5] DohyunKim 2010.04.02 47806
81 시작하면 멈출 수 없는 게임 하나 [3] Progress 2010.04.09 47879
80 새 사이트를 오픈하였습니다 [3] 관리자 2009.12.19 48071
79 수식 조판에서 특정 기호의 표기에 대한 물음 [5] file Progress 2010.11.18 48092
78 [링크]군대워드 요령 연재 -- 1 Kunggom 2010.06.04 48460
77 잡담: 텍 문서 번역 [3] yihoze 2010.10.04 48764
76 저... 왜 이랬을까요.... 후우... [4] 불량양파 2018.11.10 48841
75 latex 에디터 Gummi 소개입니다. [9] file guest 2011.05.01 48966
74 [잡담]역시 구글링이 빠르고 좋군요. [2] Kunggom 2010.04.04 49828
73 한국인쇄문화협회: 바른바탕체, 바른돋움체 에드 2010.11.29 4986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