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영어 문서에서 별행수식을 작성하다 보면 한 줄에 여러 수식을 작성하고, 그 사이에 ‘and’ 등을 \text 명령어를 사용해 입력하는 일이 있습니다. 영어는 단어 단위로 띄어 쓰므로, \text{and} 앞뒤를 \qquad로 띄워 주면 특별한 어색함 없는 문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아래 그림의 (a) 참조).

한국어 문서에서는 (적어도 제가 느끼기에는) 상황이 다릅니다. 한국어는 조사를 앞 단어와 붙여 쓰기 때문에, 비슷한 상황에서 \text{와} 앞을 붙여 보았더니 한글이 앞 수식과 너무 가까운 느낌이 듭니다(아래 그림의 (b) 참조). (영어 문서를 주로 보다가 한국어 문서를 보아 어색하게 느끼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영어 문서를 작성할 때처럼 \qquad\text{와} 앞에 입력해 보았더니 공백이 너무 넓은 느낌이 듭니다(아래 그림의 (e) 참조).

어느 공백이 적절할지 테스트(아래 그림의 (b)~(e) 참조)를 해 보았습니다. ‘와’ 앞에 각각 0 em, 0.5 em, 1 em, 2 em의 공백을 넣은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널리 쓰이는 관행이 있는지, 만약 없다면 여러분께서는 어떤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고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스크린샷 2024-03-10 09.03.34.png

아래는 테스트에 사용할 수 있는 예제입니다.

\begin[a4paper]{article}
\usepackage{amstext}
\usepackage[hangul]{kotex}
\setmainhangulfont{나눔명조}

\begin{document}
영어 문서:
\begin{quote}
  \linespread{}\selectfont
  For two elements \(a\) and \(b\) of a ring \((R, +, \times\)), two equations
  \[ a+b = b+a \qquad \text{and} \qquad a\times b = b \times a \]
  holds. It is called the `commutative law'.
\end{quote}

한국어 문서:
\begin{quote}
  환 \((R, +, \times)\)의 두 원소 \(a\)와 \(b\)에 대하여, 두 등식
  \[ a+b = b+a \qquad \text{와} \qquad a\times b = b\times a \]
  가 성립한다. 이를 `교환법칙'이라고 부른다.
\end{quote}
\end{documen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Minimal Working Example을 첨부해주세요 [4] nanim 2015.06.23 230471
2524 textworks 말고 다른 편집기를 사용할 때 한글 표기 방법 [4] file 지덩 2021.04.14 1669
2523 글꼴에는 있는 글자가 잘 출력되지 않습니다. [7] file teolsuk 2021.04.13 1396
2522 투컬럼일 때 페이지 하단에 표 넣는방법 [2] file 고라파덕 2021.04.13 44756
2521 XeLatex에서 한글 폰트 불러오지 못하는 문제 [2] file 바보사랑 2021.04.11 1615
2520 옛한글 입력기 [11] file yihoze 2021.04.06 1500
2519 로마자에 방점찍기 [7] file 판돌이 2021.04.03 2075
2518 PDF 파일 생성 후 임의로 변하는 테이블 선들 [2] invisiblelines 2021.04.01 2957
2517 oblivoir 타이틀 페이지 trim mark 표시 관련 문의 드립니다. [4] file pinder 2020.09.01 2038
2516 pas-cv를 이용해서 이력서 작성중입니다만.. [6] file 이력서 2020.12.08 2124
2515 .tex 소스 파일에 손을 안 댔는데 행 간격 변동 시? [1] parskip 2021.04.01 1359
2514 TeXstudio 가 느려집니다 [4] 궁금이 2021.03.23 1426
2513 다단에서 vfill 처리 (양쪽 단의 여백 일치화) [8] file Kriss 2019.02.28 3030
2512 <낱말 찾기>에서 그리스 문자 깨짐 현상. [3] file 큰바위 2021.03.27 1396
2511 etoolbox string test 질문드립니다 [11] Kriss 2021.03.24 1451
2510 수평선 만드는 방법 [3] file 미자리 2020.12.31 2029
2509 oblivoir에서 trim을 부분만 표현하기 [7] file 판돌이 2021.03.21 1387
2508 kotex-oblivoir 패키지 업데이트 후 은폰트 추가됩니다. [6] file pinder 2021.03.14 1480
2507 Package installation [1] file 박영진 2021.03.17 1400
2506 mdframed package 사용상의 문제점 [3] file 이창섭 2021.03.17 1458
2505 한글과 로마자를 함께 사용하는 문서의 숫자 글꼴 식자 문제 [1] file 산도깨비 2021.03.16 158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