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우분투 11.04 에 TeX Live 2010 을 설치했을 때 lualatex 을 원활히 쓰기 위해선 조금 손 댈 게 있다.

  • /usr/share/fonts 아래에 설치된 은글꼴을 제거한다. TeX Live 에도 동일한 이름의 은글꼴이 설치돼 있어서 사소하지만 성가신 문제가 발생한다. 컴파일할 때마다 매번 luatex이 은글꼴의 캐시 파일을 새로 쓰는 것이다.
    sudo apt-get purge ttf-unfonts-core ttf-unfonts-extra
    
    이렇게 은글꼴을 시스템에서 지워도 나눔글꼴을 설치하면 더 미려한 한글을 볼 수 있어 문제가 없다.
    sudo apt-get install ttf-nanum ttf-nanum-coding
    
    cf. 나눔과 함초롬을 디폴트로 쓰기 위한 나의 ~/.fonts.conf 파일: http://people.ktug.or.kr/~nomos/mine/dot_fonts.conf

  • TeX Live 2010 에 cidmap 파일의 대소문자가 부정확하게 들어가 있는 문제가 있다. 가령 파일이름이 Adobe-Korea1-2.cidmap 이라야 하는데 adobe-korea1-2.cidmap 으로 돼 있다. 이 문제는 TeX Live 2011 에서 해결될 예정이지만 어쨌든 당장 CID-keyed 오픈타입 글꼴을 쓰려면 임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fontforge 를 설치해서 관련 파일을 심볼릭 링크한다.
    sudo apt-get install fontforge fontforge-extras
    mkdir -p ~/texmf/fonts/cid
    ln -s /usr/share/fontforge/Adobe-* ~/texmf/fonts/cid/
    
    이렇게 해도 여전히 CID-keyed 글꼴을 제대로 읽지 못한다면 ~/.texlive2010/texmf-var/luatex-cache 를 깨끗이 지우고 다시 시도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2 함초롬체 2017년 버전이 있는 것 같습니다 [1] 허생원 2017.06.30 5928
531 [사전공지] 문서작성워크숍 2018 [2] ischo 2018.10.16 5917
530 ksbaduk 패키지 이야기(1): 흰돌과 검은돌 [7] file nanim 2015.06.06 5917
529 minipage 병치 [5] file yihoze 2017.07.14 5916
528 바둑 자료 - 병국세해 [43] 잠수 탔던 하수 2015.05.29 5916
527 케이턱.가 [4] nanim 2014.07.25 5874
526 GNU Emacs 24.5 버전의 메뉴얼 초벌번역 정리작업이 끝났습니다. [8] 불량양파 2016.08.04 5856
525 11월 15일에 후원해주신 분 [2] yihoze 2017.11.20 5855
524 근래에 본게 좀 있어서.. Layout 테스트를 좀 해봤는데.. [5] file 불량양파 2016.11.01 5853
523 Visual Studio Code yihoze 2017.08.04 5849
522 TeX Live 2015 설치하기, Windows [7] nanim 2015.06.26 5849
521 "가"를 찍는 일곱 가지 방법 DohyunKim 2011.04.21 5844
520 한자에 독음을 다는 몇 가지 방법 [10] file nanim 2015.04.29 5831
519 조금.. 다른 가능성을 찾게 된듯 합니다. file 불량양파 2016.11.18 5830
518 표지에 대한 테스트도 어느정도 됐네요 :D file 불량양파 2016.11.18 5829
517 제주어 지원 첫가끝 표준 글꼴 DohyunKim 2012.09.19 5829
516 ID/PASS 찾기 메일전송 기능 확인 부탁합니다. onionsjk 2017.08.16 5826
515 네이버 손글씨 [2] 에드 2019.10.10 5819
514 지금까지 작업한 부분을 정리해서 command 로 만들어 봤습니다. [6] 불량양파 2016.11.04 5818
513 XeTeX에서 폰트를 쓸 때 가장 주의해야 할 문제 [5] 메타 2017.08.10 581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