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언젠가 같은 내용의 글을 Karnes 님께서 작성하신 것으로 기억하는데 어디에 묻혀 있는지 찾을 수가 없어서 다시 작성함.


목적

우분투/데비안 리눅스의 저장소에서 제공하는 TeX Live 패키지는 TUG가 제작, 배포하는 TeX Live보다 한참 뒤쳐진다. 따라서 많은 텍 사용자들이 저장소의 TeX Live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고 TUG에서 제공하는 설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eX Live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TeX Live에 포함되지 않은 텍과 관련된 다른 프로그램, 예를 들어 gedit용 latex plugin 등을 저장소의 패키지로 설치하려 하면, 같은 저장소에 들어 있는 TeX Live 패키지들에 의존성이 설정되어 있어서, 사용하지도 않을 TeX Live 패키지들을 설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물론 저장소의 패키지를 설치해도 큰 문제는 없다고 하지만 마음이 편안하지만은 않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문제가 되는 TeX Live 패키지들을 대체할 수 있는 내용이 없는, 이른바 '더미 패키지'를 만들어 설치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의존성이 문제가 되는 패키지들의 설치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다.


방법

'더미 패키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equivs라는 패키지를 설치해야 한다.(물론 시냅틱스나 소프트웨어센터에서 설치해도 된다.)


sudo apt-get install equivs


이어서 더미 패키지의 내용을 지정하는 제어 파일(control file)을 만든다. 글쓴이가 우분투 리눅스 11.04를 위해 사용한 제어 파일은 http://texblog.net/latex-archive/linux/kile-texlive-2008-equivs/ 에서 제안한 것으로 다음과 같다.



Section: tex
Package: texlive-dummy
Provides: texlive-latex-base, asymptote, asymptote-doc, context, dblatex, dvipdfmx, dvipng, feynmf, guile-1.8, lacheck, latex-beamer, latex-xcolor, latex2html, libsigsegv0, lilypond, lilypond-data, lilypond-doc, lmodern, luatex, pgf, preview-latex-style, prosper, ps2eps, tex4ht, tex4ht-common, texlive, texlive-base, texlive-base-bin, texlive-base-bin-doc, texlive-doc-base, texlive-extra-utils, texlive-font-utils, texlive-fonts-recommended, texlive-fonts-recommended-doc, texlive-generic-extra, texlive-generic-recommended, texlive-humanities, texlive-humanities-doc, texlive-lang-cyrillic, texlive-latex-base, texlive-latex-base-doc, texlive-latex-extra, texlive-latex-extra-doc, texlive-latex-recommended, texlive-latex-recommended-doc, texlive-math-extra, texlive-metapost, texlive-metapost-doc, texlive-pictures, texlive-pictures-doc, texlive-pstricks, texlive-pstricks-doc, texlive-xetex, tipa
Description: texlive dummy package. This package provides a mock package for texlive-latex-base. Not included texlive-common because it was causing some conflicts with tex-common. This may change by the time Natty is released.


위의 내용을 적절한 텍스트 에디터로 작성하여 texlive.ctl이라는 파일 이름으로 저장한다.(파일 이름은 다른 것이어도 상관 없음)

이어서 터미널을 열어서 texlive.ctl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다음과 같은 명령을 수행한다.


equivs-build texlive.ctl


그러면 같은 디렉토리에 texlive-dummy_1.0_all.deb이라는 파일이 생성된다. 이제 이 파일을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설치한다.


sudo dpkg -i texlive-dummy_1.0_all.deb


이제 이 더미 패키지에 의해 의존성 문제는 사라진다. 경우에 따라 위 제어 파일에서 Provides: 항목에 있는 개별 패키지들을 조절해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4 simplebnf v1.0.0: Backus-Naur form (BNF) 문법을 간단히 표시해주는 패키지 [2] file Zeta 2023.11.24 138
1093 Codehigh 패키지 [7] Zeta 2023.11.23 161
1092 워드 프로세서 사용자를 위한 레이텍 1.2 [20] noname 2023.11.05 444
1091 색인에서 연속하는 페이지 번호 [3] file yihoze 2023.11.16 134
1090 [소소한 팁 03] 특정 명령이 정의된 패키지 찾기 [4] file noname 2023.11.09 216
1089 양력 음력 변환 [9] file noname 2020.11.23 3473
1088 상장 템플릿 [2] file 나그네 2023.11.05 255
1087 영어로 작성된 텍 파일의 철자 검사하기 [2] file yihoze 2023.11.03 193
1086 [유물] 1995년의 TeX: HTEX [6] file noname 2022.04.17 917
1085 [역사] ko.TeX 이전의 한글 LaTeX [5] noname 2023.10.10 415
1084 TeX 매크로 관련 문서 [4] 크사인 2023.09.28 330
1083 문서작성 워크숍 위키를 Zotero 컬렉션으로 만든 파일 공유 [2] file 에드 2023.09.26 285
1082 한국 텍 사용자 수 [10] 크사인 2023.09.14 435
1081 PDF 파일을 열지 않고 페이지 수 알아내기 [15] file yihoze 2020.09.22 15914
1080 Noto 폰트 [4] file yihoze 2023.09.06 280
1079 [참가신청] 문서작성 워크숍 2023: The Last Workshop [7] ischo 2023.05.06 1732
1078 이모지 폰트를 유니코드 테이블로 보기 [1] file yihoze 2023.09.01 385
1077 tblr 환경 안에서 연산 명령을 사용할 때 [2] yihoze 2023.08.29 313
1076 테크닉 - 라텍 조판 게임 [3] 작나 2023.08.13 525
1075 재미있을 배열 문제 [4] file noname 2023.07.21 59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