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한글 폰트 관련 질문입니다.
2021.08.22 10:53
Texing: Texmaker/texlive 2021/window 10
고딕체를 사용하고 싶어 인터넷 검색하던 중 아래와 같은 코드를 찾아서 넣었는데, 계속 해서 에러가 뜹니다.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xetexko} \setmainfont{Nanum Pen Script} \setmainhangulfont{Nanum Pen Script}%나눔펜글씨 \newfontfamily\testfont{Nanum Gothic} \newhangulfontfamily\testhangulfont{Nanum Gothic}%나눔고딕 \begin{document} {\testfont\testhangulfont 한글과 영어와 숫자가 섞인 문장 ABCDEFGasdbadf1243546576797} {\testhangulfont 한글과 영어와 숫자가 섞인 문장 ABCDEFGasdbadf1243546576797} \end{document}
에러내용
File:c:/textlive/2021/texmf-dist/tex/xetex/xetexko/xetexko.sty
Type:Error
Message: !Bad character code(4095)
Message: !Bad character code(4096)
아직 완전 초보라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없어서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7
-
likesam
2021.08.22 12:11
-
dbsxowls
2021.08.22 21:17
답변 감사드립니다 !
알려주신대로 xelatex 로 바꿔서 컴파일을 했는데, 해당 폰트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뜨네요.
따로 폰트를 다운받아야 하는건지, 아니면 xetexko 패키지에 폰트들이 다포함 되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제가 쓰고 싶은 폰트는 나눔바른고딕입니다. 혹시 따로 폰트를 다운 받아야 하는것이면 어떻게 다운로드하고 추가 시켜야 하는지 알려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
큰바위
2021.08.22 23:13
자신이 쓰고 싶은 글꼴은 웹에서 찾아 내려받은 뒤 설치해야 합니다. (윈도우스는 ttf 임)
윈도우스 7, 8, 10의 경우 내려받은 폰트를 더블클릭 하면 설치가 된다고 합니다.
안될 경우는 글꼴을 c:/Windows/Fonts 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
likesam
2021.08.23 09:54
1. TeX Live를 모두 설치하면 설치되어 있는 글꼴은 아마도 CTAN에 등록되어 있는 글꼴들일 것입니다. 이는 https://ctan.org/search?phrase=korean+fonts 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2. 나눔바른고딕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것입니다. 나눔바른고딕을 https://hangeul.naver.com/font 에서 TTF를 받았다고 가정하고 이를 본문글꼴로 사용하는 방법은
% !TEX program = xelatex \documentclass{article} \usepackage{kotex} \setmainhangulfont{NanumBarunGothic.ttf} \begin{document} main hangul font로 ``나눔바른고딕''을 알려주었기에 ``한글과 영어와 숫자가 섞인 문장 ABCDEFGasdbadf1243546576797''는 나눔바른고딕으로 ``\textsf{한글과 영어와 숫자가 섞인 문장 ABCDEFGasdbadf1243546576797}''부분은 기본 sanserif 글꼴로 \end{document}
-
yihoze
2021.08.23 09:59
여러 국가의 사용자들을 감안하면 텍라이브에 (폰트 저작권자의 허락을 얻어) 아주 다양한 폰트를 포함하기 어렵겠죠.
likesam님이 보여주신 것처럼 폰트 파일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편합니다.
\setmainhangulfont{NanumBarunGothic.ttf}
폰트 이름을 사용하려면 성가신 설정이 필요합니다.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46627
-
noname
2021.08.23 20:02
- Windows 운영체제,
- XeTeX (XeLaTeX)으로 컴파일,
- "사용자 권한으로 설치한" 폰트
- "폰트 이름으로" 호출
이 네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폰트 활용에 대하여 "사용자 폰트 활용"에 관한 사항은
http://wiki.ktug.org/wiki/wiki.php/%EC%84%A4%EC%B9%98%ED%95%98%EA%B8%B0Windows/UserFont
이 위키 페이지를 Reference로 활용해주십시오.일반적인 설치 상황에서 위의 네 가지 조건이 일치할 때에 약간의 추가 조치가 필요합니다.
(즉, 예를 들면 lualatex으로 컴파일하거나, "관리자 권한으로 설치"한 폰트이거나, "폰트 파일 이름으로 호출"한 경우에는 이런 추가조치가 필요없다는 뜻입니다.) -
dbsxowls
2021.08.25 12:08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Overleaf 에서 컴파일러를 xelatex 로 바꾸고
\usepackage{fontspec}
\setmainfont{NanumBarunGothic}
\usepackage{kotex} %한국어 패키지
위의 세가지 페키지를 이용하니 나눔 바름 고딕이 적용이 되네요.
혹시 문제가 될만한 점이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texmaker의 기본 설정된 compiler가 pdflatex 으로 추측됩니다. 이를 xelatex으로 바꾸세요. usepackage{xetexko} 를 하셨다면 compiler로 xelatex을 쓰려고 하니 여기에 맞는 한글 설정을 가져오라는 뜻입니다. (컴파일러에 상관없이 쓰시려면 "xetexko"대신 "kotex"으로 바꾸세요.)
2. latex의 기본부터 익히세요. wiki:처음시작하기에서 "LaTeX4Wp-kr"과 "모두를 위한 LaTeX" 은 읽어 보시기를 권하고, 조금더 나아가서 좋은 입문서인 "lshort"는 꼭 읽어 보시기를 권합니다.
3. 단순히 고딕체만을 써보고 싶으시다면 아래를 참조하세요.
4. 긁어 오신 예제는 기본으로 설정된 roman, sanserif 글꼴외에 임의의 글꼴을 추가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경우로서, 이렇게 사용하시는 것 보다는, sanseif 글꼴을 재정의하여 사용하시는 것이 좀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5. texmaker의 기본 컴파일러를 pdflatex에서 xelatex으로 바꾸는 방법은 google에 물어 보세요. ^^; 혹은 소스의 첫 행을 아래처럼 설정하면 texmaker에서 이를 인식하여 compiler를 xelatex으로 바꾸어 줄 수도 있습니다. (제가 texmaker를 사용하지 않기에 확인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