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ktug,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google.com, sil.org, kopus.org, github.com, .io, i.com, tistory.com 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폭이 좁아 라인 넘어갈 때 여백이 흐트러지는 경우
2023.02.21 23:23
용어를 몰라 질문이 어수선해졌습니다...
이 부분을 보시면 130에 비해 131이나 132가 라인을 넘어가면서
뭔가 줄맞추느라 여백히 흐트러집니다만...
130. Moebius - Plank - Neumeier – ((Zero Set))
131. Suicide – ((Suicide: Alan Vega · Martin
Rev))
132. Deutsch Amerikanische Freundschaft –
((Alles Ist Gut))
아니면 아래처럼 넘치는 단어가 우측정렬이 되면 더 좋을것도 같습니다.
130. Moebius - Plank - Neumeier – ((Zero Set))
131. Suicide – ((Suicide: Alan Vega · Martin
Rev))
132. Deutsch Amerikanische Freundschaft –
((Alles Ist Gut))
이런 것에 대응되는 정렬 옵션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댓글 6
-
yihoze
2023.02.22 09:28
-
판돌이
2023.02.22 11:20
엇 잘되네요. 고맙습니다~
번호를 엑셀로 붙였던 이유는... 10개 단위로 잘라서 그 사이에 음반 표지같은걸 끼워넣으려는 계획이 있었습니다만, 뭔가 wrapfig으로 하다가 잘 안되어서 포기한 흔적입니다 ㅠㅠ
-
noname
2023.02.23 08:09
최대 두 줄이고 두번째 줄만 오른쪽으로 정렬되게 하는 것은 memoir의 \raggedrightthenleft 라는 걸로 가능합니다. 이 매크로는 첫 줄은 raggedright, 나머지는 raggedleft로 정렬합니다. \justlastraggedleft는 한 문단을 justify하고 마지막 줄만 raggedleft하는 것입니다.
-
판돌이
2023.02.23 15:22
고맙습니다~
raggedrightthenleft 같은 것이 역시 있었구나 하고 해봤는데...
compactenum환경에서는 안되는 것 같았구요.문단 단위로 나눴을 때는 첫줄에서 동작하네요.
001. Talking Heads – ((emain In Light))\\
002. U2 – ((The Joshua Tree))\\
003. The Police – ((Synchronicity))\\
004. Donald Fagen – ((The Nightfly))\\
005. XTC – ((Skylarking))\\
006. Sonic Youth – ((Daydream Nation))\\
007. Young Marble Giants – ((Colossal Youth))\\
008. Roxy Music – ((Avalon))\\
009. Prince – ((Sign o’ the Times))\\
010. Prefab Sprout – ((Steve McQueen))\\
011. John Lennon Yoko Ono – ((DoubleFantasy))\\
012. Guns N’ Roses – ((Appetite ForDestruction))\\
013. AC/DC – ((ack In Black))\\
014. Scritti Politti – ((Cupid Psyche 85))\\
015. The Smiths – ((The Queen Is Dead))\\
016. Lou Reed – ((New York))\\
-
noname
2023.02.23 16:57
물론 이것은 "문단", 그 중에서도 평문단에 대해 동작하는 것이고, list형 문단(compactenum인가도 그런 종류일 겁니다만)에서는 잘 안 되는 게 맞습니다. 이런 모양을 내기 위해서 제어하는 파라미터들이 list형 문단에서는 무력화되거나 별도로 설정되기 때문인데요, 그럴 경우에는 여러 파라미터들을 바꿔야 합니다. 차라리 마지막 한 줄에 마크업하는 게 빠를지도 모릅니다.
-
판돌이
2023.02.23 22:27
네 그런것 같네요. 그래도 이런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었다는 점을 배워서 좋습니다. 고맙습니다~
\begin{compactenum}[001.]\raggedright
이렇게 하면 되지 않나요? 중간에 빠지는 번호가 있는 것도 아닌데 왜 굳이 번호를 일일이 기입하셨는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