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마당은 텍 관련 질문/답변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질문 전에 아래를 읽어 보세요. 좋은 질문이 좋은 답을 받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질문에 맞는 제목을 붙이세요. 질문의 내용과 관련없는 "고수님", "긴급질문", "도와주세요"와 같은 제목은 답이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글은 질문입니다. 굳이 [질문], [Q]를 적으실 필요도 없습니다.
- 내용을 충실히 적어 주시고,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예제가 같이 있어야 합니다.
- 최소 예제는 "Minimal working example"을 읽어 보세요.
- 파일을 첨부하실 때에는 가능한 압축하여 파일 크기를 줄여서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사용하신 글꼴이 들어 있는 경우, preparefont.sty에 관한 답변을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 줄을 비웁니다.
-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를 누르면 <BR> 태그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 수식를 문서내에 삽입하시려면 에디터를 툴바에서 [소스]를 눌러 HTML로 입력할 수 있게 바꾸신 후 <pre> </pre> tag를 사용하셔서 <pre> 여러 줄의 수식 </pre>처럼 입력하시면 좋습니다.
부산체 글꼴을 쓰고 싶습니다.
2023.08.24 17:14
XeLaTeX에서 부산체 글꼴을 쓰고 싶습니다.
사용 환경
MacOS
TeXLive 2023, XeLaTeX
documentclass: standalone, kotex
부산체 글꼴은 https://www.busan.go. kr/bhbusan 에서 다운 받아서 서체 관리자로 설치했습니다.
kr이 사용 금지 되어 있어서 글꼴 주소는 띄어 썼습니다.
Keynote에서 글꼴 지정해 보니, 부산체가 잘 나옵니다. 이제 이걸 TeX에서 쓰고 싶은데, 글꼴 설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댓글 9
-
likesam
2023.08.24 18:37
-
puzzlist
2023.08.24 18:53
댓글 감사합니다.
그런데 BusanFont_Provisional.ttf와 BusanFont_Provisional.otf 둘 다 "Package fontspec Error: The font "BusanFont_Provisional" cannot be found." 라는 에러가 납니다.
Keynote에서는 서체 목록에 "부산체_가칭"으로 나와서 그냥 선택하면 되었는데, TeX에서는 어떤 이름을 써야 하나요? 맥의 서체 관리자에서는 한글로 "부산체_가칭"으로 나오고 그 아래에 Regular가 있습니다.
-
likesam
2023.08.24 20:30
1. 글꼴 이름을 "부산체_가칭" 으로 바꾸고 해보세요.
2. 공주대학교 문서작성 워크숍 2019 에서 "폰트: 설치, 설정, 적용 (김강수)"로 발표한 https://app.box.com/s/rotbh1sn6vftg1idasfylpt2hooaouvw 를 참조하세요 여기서 "부산체_가칭" 으로 부르는 것은 by fontname 을 참조하시면되고, BusanFont.ttf 처럼 부르는 방법은 by filename 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어느쪽이나 장단점이 있으니, 편하신 방법으로 써보세요.
-
puzzlist
2023.08.24 20:51
Library/Fonts 에 BusanFont_Provisional.otf를 붙여 넣고 TeX 파일 컴파일을 해봤습니다만, 여전히 폰트를 찾을 수 없다고 나옵니다. ㅠㅠ
XeLaTeX에서 글꼴을 여러가지로 쓰는 건 이상하게 제대로 된 적이 별로 없습니다. 사용 방법을 제가 잘 이해하지 못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만. ㅠㅠ -
likesam
2023.08.24 21:06
화일이름으로 부를 때, BusanFont_Provisional 가 아닌, BusanFont_Provisional.otf로 확장자까지 모두 써주셨나요?
그리고 저 화일를 복사하여 넣으셨으면 컴파일이 안되죠, 글꼴은 .otf 인데, 저 소스는 .ttf를 부르고 있습니다
-
puzzlist
2023.08.24 21:35
확장자 otf를 붙였는데도 못 찾는다고 에러가 나서, 혹시나 싶어 아예 확장자를 없애고 불러 봤더니 됩니다!
이게 어찌된 일인지 ㅎㅎㅎ
컴파일 잘 되고, 글자도 잘 나옵니다. 감사합니다. -
Progress
2023.08.24 21:22
http://wiki.ktug.org/wiki/wiki.php/MacOSX%EC%99%80XeLaTeX#s-1
맥에서 MacTeX 또는 TeXLive를 설치해서 사용중이라면, 위 문서에 폰트 찾기를 위한 texmf.cnf 수정 을의 내용을 한번 읽어보시고 실행해보시죠.
1. 결론적으로 다음 명령을 맥 터미널에서 내리는 겁니다.
sudo echo OSFONTDIR = {~/Library/Fonts//;/Library/Fonts//;/System/Library/Fonts//} >>`kpsewhich texmf.cnf`
2. 위 방법이 안 되면 [서체관리자(FontBook)]에서 부산체 폰트 지운 다음, 부산체 폰트를 ~/Library/Fonts 에 복사한 다음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Library/Fonts 폴더 말고)
-
puzzlist
2023.08.24 21:39
일단은 해결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noname
2023.08.25 12:09
대화 중에 나온 몇 가지 의문에 대하여 요약해두려 합니다. (이 내용은 Mac OS에만 해당하는 것으로 Windows는 관련이 없습니다.)
(1) "파일이름으로"와 "폰트이름으로"의 문제
Xe(La)TeX으로 폰트를 부르는 경우, TeXLive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 TeXLive 폰트(/usr/local/texlive 아래에 설치되는 폰트)는 "파일 이름"으로만 부를 수 있습니다.
- \setmainfont{texgyretermes-regular.otf} (O)
- \setmainfont{TeX Gyre Termes} (X)
- 시스템 폰트(/Library/Fonts와 /System/Library/Fonts 아래 설치된 폰트)는 "폰트 이름"으로만 부를 수 있습니다.
- 사용자 폰트(~/Library/Fonts) 역시 "폰트 이름"으로만 부를 수 있습니다.
- \setmainhangulfont{NotoSerifCJKkr-Regular.otf} (X)
- \setmainhangulfont{Noto Serif CJK KR} (O)
(2) KTUG Wiki의 권고 사항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 TeXLive 폰트를 "폰트 이름"으로도 부를 수 있게 한다.
- 시스템 및 사용자 폰트를 "파일 이름"으로도 부를 수 있게 한다.
texmf.cnf 파일에 OSFONTDIR 변수를 설정하면, 시스템 및 사용자 폰트를 파일 이름으로도 부를 수 있게 됩니다.
~/Library/Fonts 폴더에 texlive의 truetype, opentype 폴더를 심볼릭 링크하는 것(또는 TeXLive 폰트를 시스템에 등록)에 의해, TeXLive 폰트를 폰트 이름으로도 부를 수 있게 됩니다.
(3) 왜 이런 복잡한 절차가 필요한가?
한글 폰트를 쓰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4) 파일 이름이 아닌 "폰트 이름"을 어떻게 확인하는가?
otfinfo 에 -a 옵션을 주어 실행합니다.
$ otfinfo -a BusanFont_Provisional.otf
(5) "왜 확장자만 제거했을 뿐인데 잘 되는 건가요?"
이 폰트가 특이하게도 "폰트 이름"이 BusanFont_Provisional로 되어 있으므로 확장자만 제거하는 것이 "폰트 이름"을 지칭하게 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폰트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폰트 이름"으로 해당 파일을 지시한 결과가 되었고 처음에 언급하였듯이 시스템 및 사용자 폰트는 (초기 상태에서) 파일 이름으로 부를 수 없고 폰트 이름으로만 부를 수 있으므로 이렇게 된 것입니다.
- TeXLive 폰트(/usr/local/texlive 아래에 설치되는 폰트)는 "파일 이름"으로만 부를 수 있습니다.
XeLaTeX을 사용하신다고 하셨으니 XeLaTeX에서 한글 조판을 도와주는 XeTeX.ko를 참조하세요. ( https://texdoc.org/serve/xetexko-doc.pdf/0 ) 여기서 4 글꼴 명령을 보시고, 글꼴의 이름이 들어갈 곳에 BusanFont_Provisional.ttf 를 넣어주시면 될 겁니다. 단 설치하신 글꼴이 TTF가 아닌 OTF라면 글꼴이름을 고쳐서 넣으세요.
소스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