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UG마당은 KTUG를 방문하는 모든 이용자가 대화를 나누고 소식을 전하는 곳입니다.

  • 로그인 없이 자유롭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철학은 처음과 같이 계속됩니다.
  • Team Blog의 글을 이곳 게시판의 "정보글"로 모았습니다. Team blog는 기고자가 올린 글에 질문을 받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곳 게시판으로 모으면서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게시물을 작성하실 때 댓글을 원하지 않으시면 댓글을 허용하시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불필요한 소모성 댓글을 달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eX과 관련된 질문이나 답변은 QnA 마당을 이용하십시오. TeX과 관련된 질문은 지웁니다
  • MathJax를 이용한 수식조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조하세요.
  • 스팸 글을 막기 위하여 짧은 시간 내에 다시 글이 등록되는 IP를 막거나, 광고 글을 막기 위하여 금지어로 .com, .net 등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으시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 금지어에서 stackexchange, stackoverflow, ctan, overleaf, , github, google.com, gmail.com, .org, .io, sil.org, wiki.com, tistory.com등은 해제하였습니다.
  • 사용하는 편집기는 CKeditor입니다. 편집기에서 [enter]를 누르면 <p> 태그가 들어가고, 문단으로 생각하고 한줄을 비웁니다. 글줄만 바꾸려면 shift-enter 를 누르시면 <BR>가 들어가므로 용도에 맞게 나누어 쓸 수 있습니다.

정보글 \vsplit : 수직 박스 쪼개기

2011.07.06 11:40

DohyunKim 조회 수:6597 추천:1

아래 기사의 verbatim 배경색 칠하기는 박스를 이용하므로 페이지 끝에 박스가 걸렸을 때 잘라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거니와 이를 해결해주는 프리미티브가 \vsplit 이다. 예제를 보이고자 하는데 코드가 다소 복잡하므로 보고싶은 분만 보시면 된다. 다만 \vplit 명령으로 수직박스를 둘로 쪼갤 수 있고 따라서 박스를 두 쪽에 걸쳐 조판할 수 있다는 것만 알고 계시면 좋겠다. framed 패키지에서 바로 이 프리미티브가 사용되고 있다.

\usepackage{xcolor}
\usepackage{etoolbox}
\newbox\n \newbox\m   % vsplit에서 사용할 박스 두 개의 주소를 선언한다
\preto\verbatim{\medbreak\setbox\n\vbox\bgroup\hsize.95\linewidth}
\appto\endverbatim{\egroup\splitverbbox}
\def\splitverbbox{%
  % 현재 페이지의 남은 수직 공간을 계산한다. \baselineskip은 실험값
  \dimen0\dimexpr \ifdim\pagegoal=\maxdimen\vsize\else\pagegoal\fi
    -\pagetotal-\baselineskip \relax
  % 박스 높이가 남은 공간보다 크다면
  \ifdim\dimen0<\ht\n
    % vsplit! 이게 핵심. 남은 길이만큼 쪼개서 \m에 할당. 나머지는 \n에 남는다
    \setbox\m=\vsplit\n to\dimen0
    % m이 빈 박스가 아니고 높이가 충분하다면(이것도 실험값) 배경색을 칠한다
    \ifvoid\m\else \ifdim\ht\m>.5\baselineskip
      \noindent\colorbox{gray!30}{\box\m}\par \fi\fi
    % 페이지가 찼으므로 output으로 보내고 \n에 대해 재귀
    \eject \expandafter\splitverbbox
  \else
    % \n을 위한 공간이 되므로 약간의 검사를 거쳐 배경색 칠한다
    \ifvoid\n\else \ifdim\ht\n>.5\baselineskip
      \noindent\colorbox{gray!30}{\box\n}\medbreak \fi\fi
  \fi}

수직 모드에 대해서는 필자가 잘 알지 못하므로 위 코드는 분명 불안정하고 엉성할 테지만 다만 기본적인 작동원리를 보이고자 할 따름이다.




XE Login